• 제목/요약/키워드: 평지붕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The Types of the Rural Housing i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 이전;성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0-672
    • /
    • 2015
  •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경남 도서지역 가옥의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지역의 가옥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 우진각 맞배지붕과 같은 전통적인 지붕 형태를 가진 가옥이 많고, 전통적인 지붕 형태 이외의 가옥 유형에서는 단순평지붕 가옥이 많다. 두 개 이상의 지붕 형태를 가진 결합양식지붕 가옥 유형의 경우, 경사-평지붕 가옥이 경사-경사지붕 가옥보다 10여 배나 많다. 지붕 재료 중에서는 시멘트,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정 지붕 재료가 특정 지붕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주요한 가옥 유형을 '지붕 재료와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 PDF

저토심 경사지붕과 평지붕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Retention and Evapotranspiration in the Extensive Greening Module of Sloped and Flat Rooftops)

  • 류남형;이춘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7-116
    • /
    • 2013
  • 본 연구는 저토심 옥상녹화모듈의 빗물유출 및 도시열섬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저토심 경사 평지붕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린초를 식재한 라이시미터(깊이 100mm)를 4방향(동, 서, 남, 북)의 50% 경사 지붕과 평지붕 위에 구축하였다. 그리고 저토심 경사지붕 및 평지붕 녹화모듈을 대상으로 연간 수분보유량 및 저류량과 증발산량 그리고 옥상과 평지붕 녹화모듈의 표면온도를 2012년 9월 1일부터 2013년 8월 31일까지 1년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은 다음과 같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수분보유량은 눈이 오는 겨울철을 제외하면 강우 직후 8.7~28.4mm까지 상승하였으며, 무강우 지속 시 3.3mm까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은 최대 22.2mm까지 강우를 저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녹화모듈의 강우량 대비 강우 저류율 예측식은 경사지붕의 경우 [강우 저류율(%)=-18.37 ln(강우량(mm))+107.75, $R^2$=0.79], 평지붕의 경우 [강우 저류율(%)=-22.64 ln강우량(mm))+130.8, $R^2$=0.81]였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증발산량은 강우 후 경과일수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봄철과 가을철에는 로그함수형으로, 여름철에는 거듭제곱함수형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강우 후 일증발산량은 여름 > 봄 > 가을 > 겨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사량 및 기온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녹화모듈의 증발산량은 강우 후 3~5일간 2~7mm/day에서부터 1mm/day 미만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녹화모듈에 식재된 기린초는 수분이 충분할 경우에는 수분을 급격히 소비하고, 수분이 부족할 때는 수분을 보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름철 알베도는 옥상면이 0.151, 옥상녹화면이 0.137 그리고 겨울철 알베도는 옥상면이 0.165, 옥상녹화면이 0.165로 나타나, 옥상면과 옥상녹화면의 알베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여름철 녹화에 의한 표면온도의 저감효과는 일평균표면온도가 $1.6{\sim}13.8^{\circ}C$(평균 $9.7^{\circ}C$), 일최고표면온도가 $6.2{\sim}17.6^{\circ}C$(평균 $11.2^{\circ}C$)로 나타났다. 겨울철 녹화에 의한 온도 차이는 일평균 표면온도가 $-2.4{\sim}1.3^{\circ}C$(평균 $-0.4^{\circ}C$), 일최고표면온도가 $-4.2{\sim}2.6^{\circ}C$(평균 $0.0^{\circ}C$)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증발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녹화에 의한 저감온도가 선형함수형으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발산량에 따른 저감온도의 예측식은 [저감온도($^{\circ}C$)=$1.4361{\times}$증발산량(mm)+8.83, $R^2$=0.59]였다. 무강우 지속 시 녹화에 의한 표면온도 저감은 세덤 수관에 의한 차양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녹화모듈에 의한 저토심 옥상녹화는 저류와 증발산 작용에 의해 빗물 유출 및 도시열섬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린초는 무관수 저토심 옥상녹화용 수종으로 이상적 식물재료이며, 장기적인 도시열섬 완화라는 측면에서는 기린초의 증발산효과뿐 아니라 차양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태풍에 의한 강풍 피해 산정을 위한 대표 주택 유형 선정 (II)

  • 박종길;정우식;최효진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9-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상륙하는 태풍에 의해 강풍이 발생하여 지상의 주택에 미칠 피해를 산정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한반도 주택의 가장 보편적인 유형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1층 단독주택의 대표적인 지붕 유형은 평지붕과 모임지붕이며 천정고는 2.3m, 층고는 2.6m, 평균 면적 85$m^2$에 대한 대표적인 수치를 구하면 폭과 길이는 11,300mm 와 7,530 mm 라 할 수 있다.

  • PDF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in Jeju Island)

  • 이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69-382
    • /
    • 2016
  •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을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특성을 논의한다. 이러한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경관을 이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본다. 제주도 촌락 가옥에서는 우진각지붕이나 우진각지붕/평지붕의 지붕 형태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평지붕 맞배지붕 눈썹평지붕 등의 지붕 형태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 시멘트, 기와/시멘트, 슬레이트/시멘트 등의 지붕 재료 사용 빈도가 높다. 외벽 재료에서는 시멘트를 단일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현무암석재/시멘트, 타일/시멘트, 타일, 사이딩 등을 사용한 가옥이 많다. 제주도 촌락 가옥은 지붕 형태와 외벽 재료의 특성이라는 측면에서 경남 촌락 가옥과 사뭇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으로는 우진각지붕 가옥이 매우 많다는 점, 팔작지붕 가옥이 매우 희귀하다는 점, 현무암석재를 외벽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 PDF

옥상녹화 평지붕의 표면온도 저감효과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Surface Temperature Reducing Effect Of Green Roof System Flat Roof)

  • 이두호;이응직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83-88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measured value came out by the field test to verify the surface temperature reduction of the flat roof due to green roof, and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green roof based on it, and assessed the possibility of saving structures' energy and reducing $CO_2$ emission of structures. For the actual measurement, the differences of the averag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green roof and non-green roof flat roof were $8.67^{\circ}C$ and $0.787^{\circ}C$, and the average floor temperature gaps were $11^{\circ}C$ and $2.008^{\circ}C$ in October and November respectively. It was expected that if it's measured on around summer solstice that the temperature gets higher, the devia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should be bigg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roof eventually raises insulating effect of structures and will influence on cooling and heating effects such as energy saving and insulating.

불영사계곡의 명승 지정구역 조정 및 현상변경 방안 연구 (Rearrangement of the Designated Area and Modification of Features of Buryeongsa Valley as a Scenic Site)

  • 안승홍;홍윤순;김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8-56
    • /
    • 2010
  •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경치가 아름다워 금수강산으로 일컬어 왔으며, 문화재보호법에서는 경치가 아름다운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대상을 명승으로 지정하여 보존과 이용을 도모하는 자연문화재로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명승은 사적이나 여타 문화재와 같은 행위 제한방식을 중심으로 관리되고 있어 지역발전과 재산권 침해 등 역기능을 줄 뿐만 아니라 문화재로서의 지정 취지를 잘 이해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79년 명승으로 지정된 불영사계곡을 대상으로 명승구역 경계의 조정과 현상변경 허용기준을 마련하여 주민들의 재산권을 보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승구역의 경계조정은 산 능선의 가시권을 기준으로 한 외곽경계의 조정과 경관미를 상실한 훼손지의 지정구역 해제 그리고 기존 취락을 중심으로 내부 해제지에 대해 조정하였으며, 기 지정면적 대비 약 $11,928,932m^2$, 38.6%를 지정구역에서 해제하였다. 둘째, 경관 보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변경 기준으로 '문화재 외곽경계~500m 반경 이내'에 대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셋째, 건축물의 '높이규제' 허용기준은 지붕형태에 따라 평지붕과 박공형태로 나누고, 평지붕은 높이 8m와 2층, 박공의 경우 높이 12m와 2층으로 적용하였다.

평지붕 건물 축소모형의 지붕색에 대한 표면 온도의 비교평가: 쿨루프 성능평가 차원에서 (Comparative Evaluation of Surface Temperature among Rooftop Colors of Flat Roof Building Models : Towards Performance Evaluation of Cool Roof)

  • 류택형;엄정섭
    • KIEAE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83-91
    • /
    • 2013
  • Cool roofs are currently being emerged as one of important mechanism to save energy in relation to the building. It is specifically proposed that the changing trends of rooftop surface temperature in the flat roof building model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n indicator to reduced cooling load reduced by cool roof since it can present stable temperature record, that is not influenced according to the nearby physical as well as human variables. The temperature of cool roof in summer was lower around $20^{\circ}C$, compared to the general roofs. Such a seasonal or daily comparative study for rooftop temperature in the building model will highlight that the cool roof efficiency could be calculated in much area-wide context according to rooftop color distribution in urban residential area.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in identifying energy saving by cool roof since an objective monitoring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 rooftop temperature in the building model, fully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rmal infrared image.

지역별·시기별 농촌주택의 재료 및 구법 특징 변화 연구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Structure of Rural Housing in the aspect of Period and Region)

  • 배웅규;주대관;정동섭;윤용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504-6513
    • /
    • 2013
  • 본 연구에서 농촌주택을 대상으로 농촌주택의 구법과 재료의 지역별 시기별 변화 특징 분석결과, 지붕형태는 팔작지붕/우진각지붕(1970)-평지붕(1980)-맞배지붕(1990), 지붕구조재료는 한식목조/간이한식목조-파라펫눈썹지붕/경사슬래브-양식목조-경량철골조, 지붕마감재료는 초가/한식기와-슬레이트-시멘트/강판-아스팔트슁글/샌드위치패널/몰탈방수, 벽체구조재는 한식목조/간이한식목조-시멘트조적조-RC조-경량철골조/양식목조, 벽체마감재료는 흘미장/회벽-치장벽돌쌓기/시멘트미장위 페인트마감-자연석치장/사이딩/타일, 담장재료는 전시기별로 돌담과 시멘트블록, 마당재료는 흙바닥, 콘크리트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변화특징으로 주택구조, 지붕형태, 지붕구조재료, 벽체마감재료, 외부공간에서 담장재료와 마당재료는 북부지역, 중부지역, 남부지역별로 농촌주택 특징변화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붕구조재료, 벽체구조재료는 지역별로 유사한 변화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지붕 설치 태양광시스템의 표면형태 조사·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Surface Morphology of Roof-Top Photovoltaic System)

  • 이응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7-65
    • /
    • 2016
  • Domestic photovoltaic system for roof-top is installed towards the south at an angle of 20 to 35 degrees and the shape of PV array is divided into two kinds; a plane shape and a curved shap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n actual condition of PV facility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upport structur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and to consider the best PV surface shape by analyzing theoretical logics of these two surface shapes and architectural perspective-based realistic case studies. This study targeted 98 facilities including common houses, public institutions and education institutions. In common houses, all of 59 PV facilities have a plane surface. In public institutions, 7 of 15 PV facilities have a curved array surface and 8 PV facilities have a plane surface. In education institutions, also, 14 of 24 PV facilities have a plane array surface and 10 PV facilities have a curved surface. Most of 98 facilities have a flat roof supporting shap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urved shape wasn't positive for PV generation due to the change of radial density and it was at least 10 % more expensive to produce its structure. Also, domestic general large single-plate PV facilities have problems of harmony with buildings and wind loa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or fixed-type roof-top PV, a plane PV array shape is good for optimum generation and economic efficiency and a parallel array structure on the roof surface is favorable to wind load and snow load without being a hindrance to the building facade.

평지붕의 방위별 열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Flat Roof in Proportion to Directional Changes)

  • 박병규;황하진;이경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91-198
    • /
    • 2001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flat roof in proportion to various directional changes, the results of which were drawn from the miniature model experiment. In this process, various therm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to research their aspects of changes. The brief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indoor temperature and load per hour in proportion to directional changes shows the same degree of changes. As for the results of the clear-sky and cloudy-sky experiments, both of them generally appear advantageous in the order of S, $S-30^{\cire}C$-E, $S-30^{\cire}C$-W, $S-60^{\cire}C$-W, E, $S-60^{\cire}C$-E, despite slight differences in the indoor temperature and load per hour in proportion to directional changes. 2) As for the total load of degree day per direction of the clear-sky and cloudy-sky experiments, both of them shows their advantageous results in the order of S, $S-30^{\cire}C$-E, $S-30^{\cire}C$-W, $S-60^{\cire}C$-W, E, $S-60^{\cire}C$-E, despite minor differences in their loads. 3) As for the peak load of degree hour, while the clear-sky experiment shows its advantage in the order of $S-30^{\cire}C$-E, S, $-30^{\cire}C$-W, $S-60^{\cire}C$-W, E, $S-60^{\cire}C$-E, the cloudy-sky experiment does so in the order of S, $S-30^{\cire}C$-E, $S-30^{\cire}C$-W, E, $S-60^{\cire}C$-W, $S-60^{\cire}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