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정도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6초

조사연구에서 순위절차를 이용한 항목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Ordering Items from Ranking Procedures in Survey Research)

  • 허순영;장덕준;신재경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29-49
    • /
    • 2008
  • 설문조사에서 어떤 주제와 관련된 여러 항목들을 제시하고 응답자들의 가치 기준에 따라 응답하게 한 후, 그 응답들을 종합하여 항목들 간의 순위를 결정할 목적으로 설문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순위척도(ranking scales)와 평정 척도(rating scales)이다. 순위척도 중에서도 주어진 항목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게 하는 축소순위척도(reduced ranking scales)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로 항목간의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순위응답을 고려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는 순위절차(ranking procedures)에 의한 설문응답에서, 순위응답을 고려하여 항목순위를 결정하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또 몇 가지 사례를 통해 그 방법들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순위척도를 조건부평정척도로 간주하였다. 축소순위척도에 의한 항목순위결정의 경우, 1순위와 2순위 그리고 3순위에 각각 2와 1 그리고 0의 값을 부여함으로써 1순위의 응답비율을 희석하지 않으면서 2순위 응답비율을 적절히 수용하여 보다 합리적인 항목순위를 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행위자-관찰자 관점에서의 운전분노 차이: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Differences in Driver Anger as a Function of Gender, Driving Experience, and Actor-Observer Perspective: A Driving Simulation Study)

  • 이재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2호
    • /
    • pp.107-1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성향요인이 강조된 끼어들기 상황 vs. 상황요인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행위자 관점 vs. 관찰자 관점)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분노 수준 차이를 운전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차이를 운전상황 유형이나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함께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차이가 각각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행위자-관찰자 효과는 도로여건 등과 같은 상황변인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보다는 상대운전자의 의도가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조건인 끼어들기 상황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셋째,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펴본 결과 운전경력이 짧은 여성운전자의 경우 타인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분노를 경험하는 반면, 자신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상대운전자가 운전분노를 경험할 것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에서의 차이가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과 행위자- 관찰자 관점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요가심리학과 긍정적 정서 (Yoga Psychology and Positive Emotions)

  • 조옥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227-23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신체-정서-마음-영혼의 전일적이고 통합적인 건강을 지향하는 요가심리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 심층에 존재하는 긍정적 잠재력의 개발에 있음을 강조하면서, 이를 긍정심리학의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이를 위해 요가심리학이 추구하는 자기실현의 내용을 소개하고, 집중과 몰입이라는 요가의 방법을 통해 개인이 경험하는 기쁨과 엑스타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행복의 의미를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집중과 몰입이 깊어졌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의식상태의 변화와 행복의 수준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논의하였다. 행복, 지복, 엑스타시는 요가심리학과 긍정심리학의 주된 관심사이기 때문에 서로 일맥상통하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요가심리학에서는 긍정적 정서를 넘어서서 무집착, 초연함, 평정심을 가장 가치로운 덕성으로 삼고 있다. 요가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평정심은 고요한 중립의 상태로서 오랫동안의 고된 요가수련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긍정심리학이 아직 포섭하고 있지 못한 마음의 심층에 놓인 상태로서 긍정심리학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학교준비도 잠재계층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및 심리적 특성 차이 검증: 부모, 교사의 중다 평정 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School Readiness and Testing its' Relationship to School Ada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1-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에 기초한 최적의 잠재계층을 탐색하고, 탐색된 잠재계층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 문제행동, 자아존중감, 행복감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10차년도(2017년) 자료의 1,154명을 분석 대상으로 했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에 기초했을 때, 잠재계층은 '일치된 하 집단', '부모가 교사보다 더 높게 지각한 집단', '교사가 부모보다 더 높게 지각한 집단', '일치된 상 집단'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1~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차이 검증 결과, '일치된 상 집단'과 '교사가 부모보다 더 높게 지각한 집단'이 '일치된 하 집단'보다 대체로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모두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1~3학년 시기의 학업 수행능력, 문제행동,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일치된 상 집단'이 '일치된 하 집단'보다 대체로 학업수행능력, 자아존중감, 행복감 수준은 높지만, 문제행동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취학 전 유아 시기의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를 활용하여 학교준비도 수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에 기초한 적절한 교육적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뇌졸중 환자의 말, 언어장애 선별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 및 훈련효과 (Inter-rater Reliability and Training Effec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for Stroke Patients)

  • 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07-413
    • /
    • 2011
  •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를 정확히 판별하고 환자의 미세한 언어적 변화를 적절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신뢰로운 검사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검사자가 해당 도구의 사용에 있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의 진단에서 검사자의 전공영역에 따른 관찰자간 신뢰도를 살펴보고 훈련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침상에 있는 뇌졸중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언어치료사, 신경과 전공의, 그리고 간호사 각각 4명씩 총 12명이 동시에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전공 영역의 전문가들 간에 말명료도 과제와/아/모음연장발성 과제의 '음질' 영역에서만 'acceptable'로 나타났고, 나머지 하부검사 영역에서는 'good-excellent'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가 'acceptable'로 나타난 과제들에 대해 3주간의 비디오 훈련 전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훈련 후 말명료도 과제에서 검사자들 간의 평정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음질' 평정의 정확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상 경험 정도와 각 하부검사에 대한 평정 정확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언어치료사들은 임상 경험 정도가 증가할수록 그림설명하기 과제와 말명료도 과제에서, 그리고 의사 및 간호사들은 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 판정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진단에 있어 신경언어장애 환자 중, 특히 말장애환자에 대한 꾸준한 경험과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며, 훈련을 통해 평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정보화 역기능의 파수꾼 "한국정보보호센터"출범

  • 구근우
    • 정보화사회
    • /
    • 통권101호
    • /
    • pp.16-17
    • /
    • 1996
  • "한국정보보호센터"가 정보통신부와 국가안전기획부 등의 전적인 후원아래 지난 4월 10일 출범했다. 멀지않은 미래에 펼쳐질 사이버스페이스라는 망망대해에서 벌어질 각종 하이테크 범죄를 평정하기 위해 돛을 올린 것이다. 이같은 정보보호센터의 설립에 대한 움직임은 몇년 전부터 있었으나 지난 95년 8월 4일 정보화촉진기본법이 공포되면서 본격화됐다.

  • PDF

임상간호사의 업무수행 평정도구개발 (Development of a Task Performance Evaluation Instrument for Clinical Nurses)

  • 백현옥;한상숙;이상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5-103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of task performance evaluation for clinical nurses, thus testing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84 Head Nurses and 255 General Nurses. A conceptual framework, composed of 4 factors of meaning in task performance evaluation, was identified through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A total of 78 items were developed and were us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Through factor analysis, items whose factor loading was below 0.50 were deleted, thus 35 items remain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SPSS 11.0 windows program was used. Result: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4 factors were classified and the cumulative percent of variance was 67.54%.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test indicated that Cronbach's coefficient of the total 35 items was over 0.9176.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 loadings of all items was over 0.50. Conclusively,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ere proven. Conclusion: This study was identified as a tool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신생아의 성숙도 평정에 의한 재태기간 사정 (Assessment of Gestational Age based on Newborn Maturity Rating ; Ballard Examination)

  • 안영미;구현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86-96
    • /
    • 1998
  • Newborn period is a transitional stage for independent adaptation from intrauterine to extrauterine life by maintaining respiration, temperature and nutrition. In general, the adaptability of the newborn is proportional to the gestational age(GA), so knowing the accurate GA is critical to develop nursing process in the newborn nursery. A newborn ma turity rating, a Ballard examination, has been used to measure GA by assessing the maturity of new-born. It consists a total of 12 items, which is the 6 items for the neuromuscular maturity and the 6 items for the physical maturity A total of 75 new-born were assessed for the maturity and GA using the Ballard examination. The results are follows : 1) The score of each item of Ballard examination is propotional to GA using the Ballard examination as well as LMP. 2) There was a greater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euromuscular, physical and total maturity, and the GA measured by Ballard examination, than the GA measured by LMP. 3) Any stressful environment to the newborn could influence to the maturity of newborn. In summary, the study showed the Ballard examination Is more reliable and clincially feasible method to measure the accurate G4 compared to the GA by LMP. Therefore, it suggests the application of Ballard examination to measure the new born maturity and GA is beneficial in developing nursing process. The expansion of the study with the variety of the subject characteristics nil on hance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he examination.

  • PDF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2인용 협동댄스게임 구현 (Development of twosome collaboration dance game using Brain-Computer Interface)

  • 박태룡;김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575-2581
    • /
    • 2011
  • 최근에 이르러 뇌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뇌파를 활용하기 위한 Brain-Computer Interface(BCI)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BCI 기기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 기술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뉴로 스카이사의 마인드셋 SDK(System Development Kit)를 이용하여 집중도과평정도에 따라 협동심과 사회성을 길러주는 기능성 게임으로 기존의 1인용 게임과 차별을 둔 "2인용 협동 댄스게임" 구현을 제안한다. 이 게임은 일반인의 뇌 활성화 및 ADHD 아동과 경도인지장애를 보이는 노인 치료에 도움을 주고 청소년들의 게임문화에 대한 사회적 순기능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과 영상분류 (User Perception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Videos for Reality Improvement)

  • 이국희;이형철;안충현;최지훈;김신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9-232
    • /
    • 2013
  •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가 내가 좋아하는 냄새인지 (냄새자체선호), 그리고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가 얼마나 구체적인지 (냄새의 구체성)라는 네 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네 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