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생학습도시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평생학습도시 사이버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City)

  • 변종임;이재경;양흥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1-71
    • /
    • 2007
  •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지역의 인적 물적 자원을 재구조화하여 지역주민의 평생학습 지원을 통한 지역 발전과 혁신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부터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이 시작되어 2006년 현재 전국적으로 57개의 평생학습도시가 선정되어 주민의 평생학습 지원을 위한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지역의 지속가능 발전의 주요한 전략으로 인식하면서 질적 양적으로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평생학습도시의 발전 전략의 하나로 사이버네트워크시스템 구축을 제시하면서 사이버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평생학습도시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향후 평생학습도시 사이버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독일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 고찰 - 초·중등학생의 참여 관점에서 - (Students'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 implications from the German case)

  • 강구섭;김진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05-124
    • /
    • 2016
  • 평생학습이 하나의 전 사회적 문화로 형성되고 일상에서 향유되는 사회가 평생학습 사회이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그러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단위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의 내용을 고찰하고 우리의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에서는 개인학습지원, 다음 학제 단계로의 전환과정 지원, 직업 및 진로 지도라는 세 가지 방향에서 초 중 고등학생의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독일의 사례는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가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평생교육의 실질적인 대상을 확장하고 초 중등학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학습 관련 필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학교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평생학습도시의 지역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구리시의 지리 탐방대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Learning Program in the lifelong Learning City - Based on an Empirical Case Study of the Geography Exploration Group in Guri, Gyeonggi Province -)

  • 서정훈;주경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72-589
    • /
    • 2010
  •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함께 국내의 많은 도시들이 평생학습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지리 지식을 중심으로 지역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것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을 밝히려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지역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은 학습자, 교수자, 지역의 특징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상황학습론적 접근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학습동아리 구성과 같은 지역인적자원의 적극적인 양성과 이들의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봉사학습(SERVICE-LEARNING)이 교수법으로 효과적이다. 둘째, 연구자가 직접 구성하고 참여한 지역학습 프로그램인 '지리 탐방대'를 통한 현장중심 체험학습의 결과, 대부분 참가자들이 지역과 지역정체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 일어났다. 셋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지리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지리교사를 비롯하여 지역전문가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었다. 현실적으로 지역을 종합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지역전문가들의 역할이 긴요하였다. 이후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생활에 적용이 이어진다면 지리교육은 평생학습사회에서 안정적인 토대가 될 것이다.

  • PDF

성인학습자를 위한 CAD와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방안 (A Training Scheme of CAD and 3D Printing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Adult Learners)

  • 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07-812
    • /
    • 2015
  • 평생교육은 시대적 키워드이다. 성인학습자를 위한 친화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전문적인 학사관리를 대학이 제공해야한다. 이를 통해 대학은 성인학습자에게 생애 단계별 평생학습을 지원하고 평생교육대학의 교육편제를 유지하면서 계속학습의 편의를 마련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평생학습도시 여건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한다. 본 논문은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산업체환경을 고려하여 평생학습자에게 비학위 재교육 과정으로 3D 프린팅과 CAD 전문인력 양성과정개설을 위한 정책적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 평생교육 정책의 유형화와 발전과제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Policy and Developmental Tasks of South Korea)

  • 최돈민;김현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47-69
    • /
    • 2018
  • 이 연구는 한국의 평생학습 정책 집행과정을 정책의사결정 모형으로 유형화하고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평생학습 정책은 2000년에 평생교육법의 제정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평생교육법에 따라 평생학습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양한 열린 교육제도를 도입하였다. 그 결과 한국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한 학습기회의 제공, 평생학습도시 선정, 평생학습문화 구축, 평생학습결과의 인정, 평생학습 중심대학 선정 등 다양한 평생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국민의 평생학습을 지원하였다. 한국은 정부가 평생교육정책을 결정하고 재정 지원을 담당하지만 평생교육예산이 교육부 예산의 0.07%에 불과하여 아직도 학교교육 위주의 교육정책을 추진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한국의 정부관료적 평생교육정책은 그린(Green, 2000)의 입법모형에 비추었을 때 국가주도 모형이다. 그러나 이는 교육비 부담을 국가가 담당하는 것이 특징인 모델이므로 학습비를 대부분 개인이 부담하는 한국의 현실과는 맞지 않는다. 따라서 한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생교육 모형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한국의 평생교육 제도는 앨리슨(Allison, 1971)의 정부 / 관료주의 모델, 지글러와 존슨(Ziegler and Johnson, 1972)의 입법모델, 그리핀(Griffin, 1987)의 사회통제 모델, 그린(Green, 2000)의 국가주도 모델로 특징지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학습 활동은 학습시장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NGO의 활동과 취약계층에 대한 학습비 지원을 통해 평생학습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학교 유휴시설 활성화 방안 및 공간적 전략 - 부산광역시 동래구를 대상으로 - (The Practical Use of Unused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Spatial Strategy to Build Learning City - Focused on Dongnae-Gu in Busan -)

  • 강윤원;김종구;손지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51-156
    • /
    • 2016
  •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 도시의 구현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습 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현실에서는 그 공간의 부족과 불균형화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시설의 공간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간 서비스 취약지역에 초등학교의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공간적 불균형화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현재는 학교의 소극적인 참여로 그 효과가 미비하긴 하지만, 추후 학교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해준다면 충분히 공간적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DEA를 활용한 성과평가 지표의 가중치 결정모형 구축 : 평생학습도시 성과평가 지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Learning City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erformance Measure Weighting Decision based on DEA Method)

  • 임환;손명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09-121
    • /
    • 2010
  • Most organizations adopt their own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Those organizations select performance measures to meet their goals. Organizations can give only limited description of what performance measures are. Kaplan and Norton suggest that the Balanced Scorecard (BSC) to complement the conventional performance measures. The BSC can provide management system with a comprehensive strategic vision and integrates non-financial measures with financial measures. The BSC is widely used for measuring corporate performanc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BSC-based performance measures can be applied to Learning City. The Learning City's performance measures and strategy map on the basis of the BSC a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This paper adopt the AR(assurance region)-DEA model which could limit the range of weight on performance measures to prevent each viewpoint of BSC from having unlimited elasticity.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CCR model including a property of unit invariance to use the data without normalization process.

지역사회개발론에 근거한 평생학습도시 사업 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Based on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 양흥권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5-265
    • /
    • 2008
  •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has made quantitative expansion as well as qualitative growth since 2001 but the project has been criticized by academic scholars and field practitioners.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a national policy project which has been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should be required to make production profit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ublic financ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a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tended to promote growth and progress by supporting the community in lifelong learning endeavors. Therefore,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could offer guidelines to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t the national, city, and county levels using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The improvement method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re role allotment between national and wide level projects supporting organiz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and a long term project policy. In addition, the project is to have a more systematic performance. It is to enhance opportunities for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planning, performance of learning, and the proper performance in regard to the community conditions and specificity.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to support the empowerment of community members by making opportunity planning, practicing and sharing lifelong learning more accessible.

  • PDF

학교마을도서관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강릉시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통한 학교마을도서관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Organization of School Community Library -Focusing on a fact-finding study of school community library through life-learning city project carried out by Gangneung-si-)

  • 문정인;이요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1-28
    • /
    • 201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ases of school community library through Gangneung-si's life-learning project and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most space used for school community library has the size of two classes in school on average and locals use generally space for reference and learning at school community library. Secondly, the construction of space of school community library is categorized into one for book-returning, references, reading, group learning and information, and an audio-visual space is also used for group learning and reading. A space for book-returning has features based on the location of its entrance and a space for reading features stand-up and sitting-on space considering size and usability. And a space for group learning has the feature of space planning that makes it possible for local people to get library programs and seminars and a space for information shows its feature of space planning that uses the w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