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면 형태

Search Result 78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scour effect of drop structure with various apex angles (낙차공의 평면각 변화에 따른 하류부 세굴 영향 실험)

  • Kim, Chang-Sung;Eom, Jung-Hyun;Kang, Joon-Gu;Koo,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0-340
    • /
    • 2011
  • 자연하천의 안정은 하상경사, 유사이동, 원지반의 상태, 저수로의 깊이, 하도 및 하안의 구조와 하안식생 등에 달려있다. 이 중 하상경사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하도의 안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김혜주 등, 2003). 이러한 자연하천의 안정을 위하여 주로 하상유지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낙차공의 설치는 하천설계기준을 근거로 하상의 안정성 확보라는 설치 목적에 맞게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 하도의 안정에는 나름대로 효과적이지만 하천환경의 연속성 차단 등 다양한 생태·환경적 폐해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혜주 등, 2003).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낙차공과 같은 횡단구조물의 본체에 어도를 설치하거나 계단형 또는 경사형 본체를 갖는 구조물이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보완적인 방법들로는 근본적인 생태단절을 해소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낙차공 등 하천 수공구조물 설치로 인해 야기되는 생태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상하천에 서식하는 생물에 대한 이해가 우선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 및 시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구조물 설치에 따라 변화되는 수리현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제안되고 있는 낙차공 중 통나무를 이용한 낙차공의 평면형태에 따른 하류부 세굴현상을 수리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형태(horizontal)에 따른 세굴영향을 파악하고자 평면각을 $70^{\circ}$에서 최대 $180^{\circ}$로 변화시켜 세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향 V형만을 고려한 이유는 하향 V형의 경우($\theta$>$180^{\circ}$)에는 낙차공을 월류하는 흐름으로 인해 구조물 하류부 좌 우안측에 세굴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자연하천의 경우 호안측 침식이 발생한 수 있고 또한 실험수로 벽면영향으로 인해 세굴형태가 왜곡될 우려가 있어 하향 형태의 낙차공은 실험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낙차공의 평면 형태가 세굴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유입 Froude 수( )에 대해 높은 상관이 있으며 또한 평면각도에 따라 변하는 낙차공의 횡단길이가 낙차공 하류부의 세굴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세굴길이의 경우, 평면형태에 따른 세굴길이와 세굴심의 비는 낙차공의 평면각도의 증가에 따라 세굴 길이가 짧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es for hydraulic gradient and major flow direction of groundwater in the soil aquifer (토양층에서 지하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 분석)

  • Kim, Tae-Yeong;Kang, Dong-Hwan;KIm, Sung-Soo;Kwon, Byung-Hyuk;Yu, Hu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55-19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토양층에서 지하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여 변동특성을 분석하고, 그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부지는 부경대학교 환경연구동 앞 잔디밭이며, 2008년 10월 18일 ${\sim}$ 11월 1일의 기간 중 12일(10월 21, 28일은 관측 못함) 동안 24회 관측되었다. 관측된 지하수공은 9개공이며, 4 m ${\times}$ 4 m의 정방형으로 설계되었다. 지하수위에 의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산정은 총 9가지 형태의 평면으로 가정하여 산정하였다.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기 위한 평면은 모두 9가지 형태로 가정하였다. 첫 번째는 9개공 모두를 이용한 정방형 평면(TW), 두 번째는 6개공을 이용한 4가지 경우의 삼각형 평면(T1, T2, T3 및 T4), 세 번째는 6개공을 이용한 4가지 경우의 직사각형 평면(R1, R2, R3 및 R4)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평면에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였다. 이상에서 가정된 9가지 평면에서 산정된 평균 수리경사는 0.0094(R2) ${\sim}$ 0.0123(T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9개공 모두를 이용한 평면(TW)에서의 평균 수리경사는 0.0109로 산정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T1과 T3 평면의 평균 주 흐름 방향은 각각 -84.9818과 -86.2487로서, 다른 7개 평면의 평균 주 흐름 방향이 79.7045(T4) ${\sim}$ 85.8405(TW)의 범위로 나타난 것과는 반대의 흐름 방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 적용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산정기법(Devlin, 2003)이 삼각형 형태의 평면에는 부적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관측기간 중 10월 12일에 내린 소량의 강우(12 mm)에 의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변동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방형, 삼각형 및 직사각형의 평면 토양층에서 지하수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여 전체 및 국부적인 부지에서의 차이를 파악하고, 평면의 형태에 따른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차이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Urban Form in Gosan-Up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 Lee, Kyung-Chan;Kang, In-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4
    • /
    • pp.37-49
    • /
    • 2014
  •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own plan of Gosan-up(高山), which was provincial administrative focus town in Josun dynasty, basing on morphological viewpoint. Morphological concepts, such as morphological frame, urban plan, kernel, colonization, route system, fixation line, fringe belt, plan unit & plan division, morphological period derived from the study of Conzen, M.R.G. and Caniggia, G. epidome district, break point, broken plot, urban fallow, privatization are adopted for the interpretation of urban form. Morphological period of Gosan can be divided in four ; formation of kernel & morphological structure, disintegration & redevelopment of the kernel, augmentative development of the kernel & formation of modern epidome district, outwards expanding of urbanized area, transition & reorganization of epidome district. Especially public leading projects such as construction of new regional connection road and public facilities such as myeon(township) office, agricultural cooperatives federation office, market, are main factors of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ownplan. In the early stag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construction of the new matrix route(Gosan-ro) through the kernel and followed planned routes gave way to disintegrating traditional areal plan unit and forming small block plan units in administrative facilities area. And linear plan units with commercial buildings were formed along the new matrix route and planned route adjacent to periodical market. In the latter stage, with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ies, private sectors' large circulation institution and terminal outside the kernel with planned routes formed areal block based plan units with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And part of the spatial area with the linear plan unit were turned into urban fallow. With the transformation of town plan, new roads outside the kernel have substituted for traditional fixation line of waterway with road and topographical feature. Fringe belts were made successively along the new road and around the major intersections outside of existing urbanized area. Land use in fringe belts, constituting of outer locational tendency early on formation, was gradually replaced with commercial & business buildings.

Real-time Interactive Projection Mapping Using Face Recognition (얼굴인식을 활용한 실시간 인터랙티브 프로젝션 매핑)

  • Jo, In-Jae;Kim, Do-Hui;Lee, Joohun;Kim, Kyong-Ah;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13-101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각형의 형태를 벗어나 임의의 다각형 평면에 원하는 "카메라 입력 영상", "비디오 클립", 혹은 "3차원 그래픽 실시간 렌더링 영상"등을 보다 쉽게 매핑 시킬 수 있는 인터랙티브 프로젝션 매핑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얼굴 인식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 혹은 관객이 프로젝션 매핑 작품 앞에 등장하였음을 인식하고, 관객의 모습이 미디어 콘텐츠의 일부로 실시간 포함되어 임의의 평면에 매핑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제안 시스템은 프로젝션 매핑의 초보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텍스트 기반의 구성 파일 (Configuration File)에 매핑 평면과 미디어 콘텐츠의 형태 및 내용을 정의해 주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제안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육면체, 원구형, 사각 평면 형태의 실제의 객체에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콘텐츠를 매핑 한 미디어 작품을 제작하였다.

A Study on the Abstract Shapes and Flat Colors of Emotional Games (감성 게임의 추상적 형태와 평면적 색채 고찰)

  • Park, Jin-Hong;Kim, Seung-I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7 no.5
    • /
    • pp.7-18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form 'and' color 'by paying attention to the art of emotional game, which is directed toward abstract, as opposed to the game' s art is directed toward concept. First, the form and color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the researcher model and the NCS color system, and the result was derived as 'abstract' and color as 'pastel ash'. Based on the results, he insists that 'emotion' game is oriented to abstract form and plane color, and supports the claim through the boring almost abstract impulse and Baudrillard's pastel order.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토성(土城)의 공간구조 특성 연구)

  • Lee, Sang-Seok;Jang, Mi-R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1
    • /
    • pp.74-82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based on topography, which are locational and Plane morphology,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Target areas of this study are 37 earthen walled fortresses which a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methodologies of literature review, field investigation, investigation on topography materials and relation analyses of topography&spatial structure. The results from study on spatial structure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are as follows. First,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flat topography were adjacent to water systems like rivers or streams. Plane morphology showed regular shapes. The cross section morphology presented trapezoid the most with earthworks of which outer and inner walls were built. Second, More than 70%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hilly topography had water system within close range of approximately 1.5km.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73%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rphology with more than 86%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existing topography like mountains. Third, 59%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in mountain areas had water system within their close range, which indicated that they depended on external water system less than those with hilly topography.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67%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noslope method with more than 94%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mountains.

An Automatic Modeling Method of Volume Data Using Metacubes (메타큐브를 이용한 볼륨 데이터 자동 모델링 방법)

  • 김은석;김재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99-501
    • /
    • 2000
  • 음함수 곡면 모델의 대표적인 구조 요소인 메타볼은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모델링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갖는다[1]. 그러나 복잡한 형태의 물체는 곡면 뿐 아니라 평면적인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메타볼만으로 부정형 물체를 모델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메타큐브는 메타볼의 장점을 수용하면서 적은 수의 데이터로 평면 형태의 물체가지 모델링할 수 있는 메타볼의 확장 형태로서, 두 개의 매개변수만으로 구에서 정육면체까지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다[2]. 본 논문은 메타큐브를 이용하여 볼륨 데이터로부터 3차원 물체를 자동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볼륨 데이터의 형태에 기반하여 분할된 볼륨 트리를 이용하여 비교적 빠른 시간에 볼륨 데이터로부터 비슷한 형태의 3차원 물체를 재구성하는 메타큐브 집합을 추출한다. 다양한 볼륨데이타에 대한 실험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제안 방법의 효용성을 증명한다.

  • PDF

3D Shape Descriptor Based on Surface Distance (표면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형태 기술자)

  • ;Shin, Hyun-Bin;Park, Hyun;Moon, Yo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847-8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객체의 전체적인 기하학적 특성을 3차원 형태 기술자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술자는 기존의 방법에서 문제가 된 부분적 자세변화에 대한 민감성 부분을 해결한다. 3차원 객체의 평면상의 모든 점들을 대상으로 형태 함수를 이용하여 형태 분포(Shape Distribution)를 생성한다. 이때 평면상의 두 정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존의 D2 형태 함수를 최단경로를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변형해 3차원 객체의 부분적 자세 변화에 강건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형태 분포와 비교하여 성능 평가한 결과 관절 객체에 대해서는 약 $ 51\%$, 전체에 대해서는 약 $24\%$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By Basic Plane Figure, An Analysis Study on Appearance Type of Character in Domestic Kids TV Animation -Focus on the Broadcasting Animation on EBS- (기본 평면도형을 활용한 국내 TV 유아동 애니메이션 캐릭터 형태 분석 -한국교육방송 방영작을 중심으로-)

  • Kim, Suk-Rae;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4
    • /
    • pp.397-405
    • /
    • 2016
  • Specially, the character in the kids animation is the fundamental visual element, and also has the high value which is to connect to various related business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for character's appearance by the basic plane figure, and it has studied on the authority of recognition capability which is to catch the simple shape rapidly and clearly rather than complex shape. For this study, I established the standard of analysis and then applied that to the characters which were selected in broadcasting domestic kids animation on EBS. Through this procedure, I analyzed character's appearance with the distribution chart. As the result, the circular and oval shape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shapes for character's appearance. Finally, I expec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one of the design index for the character creation in pract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ransformer as a function of Coiling method (코일 형태에 따른 변압기의 특성)

  • Kim, Hyun-Sik;Kim, Jong-Ryung;Lee, Hae-Yon;Evgeniy, Ustinov;Oh,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b
    • /
    • pp.161-164
    • /
    • 2004
  • 변압기는 권선방법에 따라 많은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게 되는데 일반적인 동선의 권선법과 코일형태로 동판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평면 권선방법, 그리고 고전류용 변압기에 이용되는 것으로 코어의 권선창 표면을 감싸는 형태의 관형 권선방법의 3가지의 코일 형태 또는 권선방법에 따른 변압기의 특성 변화와 컨버터에 채용되었을 때의 전력효율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평면 코일을 이용한 변압기는 높은 코일간의 결합도로 인해 가장 낮은 누설인덕턴스와 가장 높은 성능지수 및 결합계수를 나타내었고, 관형코일을 이용한 변압기는 높은 누설특성으로 인해 가장 낮은 성능지수와 결합계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들을 DC-DC 컨버터에 채용하여 분석한 결과 평면변압기가 가장 높은 효율을 발휘하였다. 관형변압기는 저전력에서는 높은 누설량으로 인해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출력전력이 증가할수록 상승하는 발열량에 대한 방열효과가 높아 효율의 감소폭이 작아서 고주파 또는 대전류용 변압기 응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