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토성(土城)의 공간구조 특성 연구

  • Lee, Sang-Seo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Jang, Mi-R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 이상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장미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4.02.03
  • Accepted : 2014.03.17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based on topography, which are locational and Plane morphology,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Target areas of this study are 37 earthen walled fortresses which a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methodologies of literature review, field investigation, investigation on topography materials and relation analyses of topography&spatial structure. The results from study on spatial structure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are as follows. First,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flat topography were adjacent to water systems like rivers or streams. Plane morphology showed regular shapes. The cross section morphology presented trapezoid the most with earthworks of which outer and inner walls were built. Second, More than 70%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hilly topography had water system within close range of approximately 1.5km.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73%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rphology with more than 86%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existing topography like mountains. Third, 59%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in mountain areas had water system within their close range, which indicated that they depended on external water system less than those with hilly topography.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67%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noslope method with more than 94%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mountains.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에 의한 입지, 평면 및 단면 형태 등 토성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사적이나 시도기념물로 지정된 37개소의 토성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현장조사, 지형자료조사, 지형과 공간구조와의 관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토성의 공간구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지형 토성은 강이나 천과 같은 수계와 인접하였으며, 토성의 평면 형태는 정형적이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의 사다리꼴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구릉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70%이상을 차지했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73%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토루의 단면 형태는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86%이상을 차지하였다. 셋째, 산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59%이하로 평지형이나 구릉지형에 비해 외부 수계의존도가 낮았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67%이상으로 주류를 이루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방식의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94%이상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2011). 수체계로 본 수원화성 건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 137-147
  2. 강형웅(2007). 4세기 한성백제의 관방체계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3. 경기도박물관(2006). 파주 육계토성. 경기도박물관.
  4. 경주문화재연구소(1993). 남미질부성지표조사보고서. 경주문화재연구소.
  5. 국립문화재연구소(2011). 풍납토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6. 김갑진(2011). 경상도 연해지역 판축토성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도훈(2010). 백제 한성시기 성곽의 연구 : 한반도 중서부지방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부식(1145). 삼국사기. 국가기록유산 http://www.memorykorea.go.kr/
  9. 김영모, 김충식(2006). 부소산성 발굴 유적과 유구의 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 : 70-85
  10. 김호준(2007). 경기도 평택지역의 토성축조방식 연구. 한국문화사학.
  11. 김충식, 이재용, 김영모(2011). 명활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시곡면과 누적가시도 분석기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 78-86
  12.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연구소(2001). 포천 고모리산성 지표조사 보고서. 단국대학교.
  13. 백종오, 김병희, 신영문(2004). 한국성곽연구논저총람. 서경.
  14. 부산대학교박물관(1995). 울산 검단리 마을유적.
  15. 유원재(2007). 백제시대의 서천지방의 건지산성. 공주교육대학 교육연구소. 공주교대논총. Vol.44 No.2, 1-19쪽.
  16. 이상석(2006). 조경디테일. 조경. 서울.
  17. 이중환(1751). 택리지. 김영사
  18. 정권영(2005). 대전지역의 산성에 관한 역사지리학적 고찰.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19. 정약용(1812). 민보의.
  20. 한병길(2001). 중부지방 백제토성의 축조기법. 충북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1. 황종현(2007). 산성의 정비복원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