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열전달계수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혼합증기(수증기/공기)와 물의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현상

  • 이한춘;김무환;박수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577-583
    • /
    • 1998
  • 직접 접촉에 의한 응축 열전달은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 비응축 가스(공기)의 질량비, 액막의 레이놀즈수, 그리고 액막의 과냉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평면으로부터 87˚ 기울어진 수직 사각 덕트에서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의 각 실험 변수에 따른 평균 열전달 대수의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실험결과로부터 혼합증기 레이놀즈수, 비웅축 가스의 질량비, 액막 레이놀즈수, 그리고 제이콥수를 변수로 하여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누셀트수에 대한 실험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혼합증기의 직접 접측 웅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열전달 계수는 비응축 가스의 질량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으며, 액막의 과법 정도가 증가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가 30,000 이상의 템위에서는 액막 레이놀즈수의 변화에 따라 평균 열전달 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PD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the Evaporator of a Soft Ice Cream Maker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 증발기의 전열 특성)

  • Byun, Ho-Won;Lee, Jin-Wook;Kim, Nae-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4
    • /
    • pp.1466-1473
    • /
    • 2012
  • Soft icecream is made by scraping an ic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evaporator, where R-404A is evaporating in the annulu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refrigerant evaporation and those during icecream formation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Results show that the refrigerant-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s are highly dependent on the location in the evaporator due to the complex annulus configuratio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at the inlet is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other locations.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s as heat flux increases or saturation temperature decreases. A correlation is developed to predict the refrigerant-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 The icecream-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 oscillates continuously due to the periodic removal of ice formed on the surface.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during icecream formation is approximately 280 W/$m^2K$, and that during single-phase cooling increased from 150 W/$m^2K$ to 250 W/$m^2K$.

3X3 봉다발에서의 국소 열전달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정장환;정문기;유성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356-361
    • /
    • 1996
  • 물질전달과 열전달의 유사성을 이용하는 나프탈렌 승화법을 핵연료집합체 모델에 적용하여 봉다발에서의 국소 열전달 계수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실험 모델은 가압경수형 원자로에서 나타나는 부수로 즉, 벽면 부수로와 모서리 부수로 및 내부 부수로로 구성되는 3$\times$3 봉다발이다. 봉다발에서의 국소 열전달 계수 값은 부수로의 형상과 인접한 봉 및 벽면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내부 부수로에 둘러져 있는 봉에서의 국소 열전달계수값은 봉과 봉 사이에서는 부수로 중심 방향보다 낮았고, 평균열전달계수는 Dittus-Boelter의 상관식보다 약간 낮은 값을 보였다. 벽면 부수로에 인접한 봉에서의 열전달계수는 벽면의 영향으로 내부 부수로에 있는 봉보다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모서리 부수로의 봉에서는 벽면의 영향이 증대되어 더욱 낮게 나타났다.

  • PDF

Heat transfer of a pulse combustion water heater (맥동연소식 온수기의 열전달)

  • Park, Jong-Jin;Kang, Kun;Lee, Kwan-Soo;Pak, Hi-Y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2 no.6
    • /
    • pp.1372-1380
    • /
    • 1988
  • A heat transfer model for a pulse combustion water heater is developed, and an associated computer simulation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s well as heat transfer rate. Parametric studies a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perating and design variables on the thermal performance and heat transfer rate. They are found to be influenced mainly by energy input rate, the amount of excess air, the volume of combustion chamber, and the diameter of flue tube.

Experimental Study on the Air-Sid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Spirally-Coiled Circular Fin-Tub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Geometric Parameters (형상변수에 따른 나선형 원형핀-튜브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ang, Tae-Hyung;Lee, Moo-Yeon;Kim, Yong-Chan;Yun, Sung-J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5
    • /
    • pp.515-522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ir-sid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spirally-coiled circular fin-tube heat exchanger for various geometric parameters under non-frosting condition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heat exchanger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heat exchanger geometrie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ctangular-plate fin-tube heat exchangers with discrete fin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ube rows and an increase in the fin pitch. The optimum length of the L-foot was 2.7 mm.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rate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tube pitch and the tube thicknes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spirally-coiled circular fin-tube heat exchanger was 24.3% higher than that of the rectangular-plate fin-tube heat exchanger.

Measurement of Average Poo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 on Near-Horizontal Tube (수평 가까운 튜브 표면의 평균 풀비등 열전달계수의 측정)

  • Kang, Myeong-Gi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1
    • /
    • pp.81-88
    • /
    • 2014
  • An experimental study is performed to obtain an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around the perimeter of a near horizontal tube. For the test a stainless steel tube of 50.8 mm diameter submerged in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is used. Both subcooled and saturated pool boiling conditions are considere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ube is change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to $9^{\circ}$ in steps of $3^{\circ}$. In saturated water, the loca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 at the azimuthal angle of $90^{\circ}$ from the tube bottom can be regarded as the average of the coefficients regardless of the tube inclination angles. However, when the water is subcooled the location for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depends on the inclination angle and the heat flux. It is explained that the major mechanisms changing the heat transfer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intensity of the liquid agitation and the generation of big size bubbles through bubble coalescence.

Numerical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in Inclined Flat Plate Enclosures (경사진 평판형 밀폐 공간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의 수치 해석)

  • Kim, Yong Hyun;Koh, Hak Kyun;Noh, Sang Ha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0 no.1
    • /
    • pp.24-38
    • /
    • 1985
  •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 마주 보는 두 벽면의 온도 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연 대류 현상은 여러 공학 분야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열전달 현상으로서, 최근 들어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를 설계하려는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의 경우 덮개판으로 부터의 대류 열손실을 감소시킴으로서 집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소형 집열기를 제작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될 것이다. 밀폐된 공간에서 최초에 정지 상태에 있는 얇은 유체층을 하부에서 가열시켜 주면 열팽창 현상이 일어나고, 이것에 의한 부력이 점도나 열전도도 등의 안정화 요인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커지면 System이 불안정하게 되어 자연 대류 현상이 수반되며 이 때문에 열전달율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지배 방정식은 연립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특수한 경계 조건외에는 일반적으로 해석적 해를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험적 연구가 많이 실시되어 왔고 이들 결과의 대부분은 전반적인 열전달 특성치만을 구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해석법의 하나인 유한 차분법을 도입하여 이차원으로 가정한 경사진 평판형 밀폐 공간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의 지배 방정식을 유한 차분화시켜, $$2.74{\times}10^3\leq_-Gr\leq_-2.0{\times}10^6$$, Pr=0.73, $$15^{\circ}\leq_-a\leq_-150^{\circ}$$, 종횡비는 1, 2, 3, 5, 9에 대하여 정상 상태에서의 해를 구하면서 수치적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석적으로 구하기 어려운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 자연대류현상의 지배 방정식을 유한 차분법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대류항과 확산항을 따로 고려한 유한차분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2) 저온과 고온 벽면에서의 온도를 각각 균일하게 놓고 단변으로 이루어진 벽면은 완전히 절연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를 구한결과, 이전의 해석적 및 실험적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온도 및 유선의 변화를 현상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3) 평균 열전달 계수에 미치는 경사각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종횡비가 1 인 경우 경사각이 $45^{\circ}$에서, 종횡비가 2, 3, 5, 9인 경우 경사각이 $60^{\circ}$에서 각각 평균 열전달 계수 최대치가 나타났다. (4) Ra수(Rayleigh number) 가 증가될수록, 경사각에 상관없이 평균 열전달 계수도 증가되었다. 한편 Ra수 및 경사각의 변화에 따라 종횡비가 증가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경사각이 $90^{\circ}$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 경사각이 $90^{\circ}$인 경우, 평균 열전달 계수는 종횡비가 2 인 곳에서 최대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종횡비가 계속 증가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점차 감소되어짐을 볼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lumina nanofluid (알루미나 나노유체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Yeong-Geun;Jo, Sun-Hyeng;Seong, Yong-Jin;Chung, Han-Shik;Jeong, Hyo-Mi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1
    • /
    • pp.16-21
    • /
    • 2013
  • Nanofluids are suspensions of metallic or nonmetallic nano powders in base liquid and can be employed to increase heat transfer rate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research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has been experimented by alumina(50 nm)/water nano-fluid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alumina nanofluids local and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d. The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6 Wt% nanofluid was increased 37~46% than water at X/D=50~120.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6 Wt% nanofluid was rapidly increased than water at Reynolds number 1100~1300.

Experimental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the KURT (KURT 내 열전달계수 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on, Chan-Hoon;Kwon, Sang-Ki;Kim, Ji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9 no.6
    • /
    • pp.507-516
    • /
    • 2009
  • In cases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heat load is apparent by radioactive waste decay. The safety of a waste repository would be influenced by changing circumstances caused by heat transfer through rock. Thus, a ventilation system is necessary to secure the waste repository. The first priority for building an appropriate ventilation system is completing a computer simulation research with thermal rock properties and a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is study,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KURT wa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ment of inner circumstance factors that include dry bulb and wet bulb temperature, rock surface temperature, and barometric pressure. The heater that is 2 m in length and 5 kw in capacity heats the inside of rock in the research module by $90^{\circ}C$.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heating section, the changes of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found to be a maximum of 7.9%.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approximately 4.533 w/$m^2{\cdot}K$.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ydrocarbon Refrigerants in Horizontal Tubes of 7.73 mm and 5.80 mm (7.73 mm와 5.80 mm 수평관내 탄화수소 냉매의 응축 열전달 특성)

  • Son, Chang-Hy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9 no.4
    • /
    • pp.331-339
    • /
    • 2008
  • 본 논문은 내경 7.73 mm와 5.80mm의 수평관내 프레온계 냉매 R-22와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600a의 응축 열전달 계수의 실험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구성된다. 응축 실험은 질량유속 $35.5{\sim}210.4\;kg/m^2s$이고, 응축온도 40$^{\circ}C$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R-600a의 평균 열전달 계수는 프레온계 냉매 R-2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R-600a의 평균 열전달 계수가 모든 관경에 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험결과와 종래의 상관식을 비교한 결과, 모든 관경과 냉매에 대해 Haraguchi 등의 상관식이 가장 좋은 일치를 보였다. 그 중에서 Cavallini-Zecchin의 상관식은 7.73 mm 관경의 실험데이터와, Dobson 등의 상관식은 내경 5.80 mm 관경의 데이터와 좋은 일치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