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균 맥박수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3초

Neural Network 기반의 PPG 신호 검출 시스템 (Detecting PPG signal using Neural Network)

  • 김치성;한동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78-279
    • /
    • 2016
  • 최근 웨어러블 장치의 개발로 인하여 다양하게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표적으로 측정하는 신호가 PPG(plethysmography) 신호이다. PPG 신호를 이용하여 맥박수, 혈박출량, SPo2 등의 값들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장치의 특성상 동적잡음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동적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들은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 칼만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여전히 범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Neural Network를 사용하여 개인별로 PPG 신호를 학습하여 PPG 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전 신호의 평균 맥박수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PPG 신호의 정확한 맥박수를 검출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 PDF

다종의 Pulse Oximeter에서 측정된 산소 분압도의 차이와 상호 비교 결과에 대한 보고 (COMPARATIVE STUDY OF SEVERAL TYPE PULSE OXIMETER AND OXYGEN SATURATION EXTRACTED FROM THEM)

  • 유승훈;김응학;권순원;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94-498
    • /
    • 2000
  • 진정요법하의 치과진료에서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러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 중 Pulse Oximeter가 있다. Pulse Oximeter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계속해서 동맥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기기에 나타나는 산소포화도$(SpO_2)$는 실제로 측정한 동맥혈액의 산소포화도$(SaO_2)$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진료실에 있는 세종류의 Pulse Oximeter를 이용하여 한 환자에게 동시에 두 개의 기기를 적용하였을 경우, 산출값을 상호 비교한 결과, 짧은(3회) 맥박수를 평균하는 기기가 낮은값이 나왔으며, 다른 두개의 Pulse Oximeter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짧은 맥박수를 평균하는 기기는 반응이 빠르나, 산소포화도의 값이 작게 산출되고, 외부의 신호에 더욱 민감하여, 오류가 존재할 가능성 또한 높다. 기기의 특성을 알아, 술자는 적절한 기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광센서와 압력센서를 이용한 맥박측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lood Pressure Measuring System using piezoelectric and photo sensor)

  • 최영숙;김경재;홍우헌;류정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9-154
    • /
    • 2009
  •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늘어남으로써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의 몸 상태를 체크하며 주기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검진을 받는다. 그러나 평소 자신의 맥박이나 혈압의 체크를 통하여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편하게 얻을 수 있으면서도 기본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맥박신호를 혈액량에 따라 투과율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센서를 이용한 방법과 압전 센서를 사용하여 손목의 요골동맥의 압력을 측정하여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맥박측정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두 방법으로 제작된 시스템을 비교연구 하였다.

3G 네트워크 기반 광센서를 이용한 맥박측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G Networked Pulse Measurement System Using Optical Sensor)

  • 배성환;임익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555-1560
    • /
    • 2012
  • 최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늘어남으로써 노령인구, 장애인, 주기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사람 등에게 원격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관리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가정생활에서의 기초적인 건강상태 확인 및 의료 도우미 시스템은 고가의 의료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확인이 가능해야 하며 간단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손가락 끝의 맥박신호 정보를 검출하고 맥박신호의 이상 유무나 맥박간격의 규칙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3G 네트워크 기반의 맥박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PC 기반의 심전도-비관혈식 혈압 환자감시장치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Pc Based EGG-NIBP Patient Monitor)

  • 김남현;김경하;주기춘;라상원;송광석;한민수;김성민;이건기;최태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1-469
    • /
    • 1999
  • 환자감시장치는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및 병실에서 환자의 상태인 심전도 파형, 맥박수 , 혈압등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기본적인 의료장비이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환자감시장치는 심전도-비관혈식 혈압 감지장치이다. 심전도는 심장 근육의 이완과 수축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현상으로 대부분의 의사들은 환자의 심장 상태를 심전도 신호 패턴으로 진단을 하고 있다. 심전도 감시장치는 장시간동안 환자의 심장상태를 감시하는데 사용된다. 환자의 혈압을 재는 일은 일반화된 임상 측정의 하나로, 진찰실에서나 또는 특별한 수술중에도 시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맥 내의 혈압을 비관혈적으로 측정하는 오실로메트릭 방식의 간접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한 환자감시장치를 수술실 장비와 비교, 검토하였다. 매회 심박수의 최대 차이는 1bpm이며,수축기 혈압 최대 차이는 15mmHg, 이완기 혈압 최대차이는 16mmHg, 평균 혈압 최대 차이는 25mmHg를 보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심박수의 평균 오차는 0.15bpm이며, 수축기 혈압의 평균 오차는 5mmHg, 이완기 혈압의 평균 오차는 10mmHg, 그리고 평균 혈압의 평균 오차는 9mmHg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심전도-비관혈식 혈압 환자감시장치는 심전도 파형, 맥박수, 그리고 혈압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의료 장비로서, 설계된 환자감시장치에 산소포화도.호흡.관혈식 혈압감시장치(IPB) 등의 다기능을 모듈로 구성하여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확장 할 수 있다.

  • PDF

벌채작업(伐採作業)에서의 작업강도(作業强度) 측정연구(測定硏究) -침엽수(針葉樹) 간벌림에(間伐林)서- (Studies on Working Intensity in Felling Operation of the Thinning Forest -In Thinning of Some Conifer Species-)

  • 박수규;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96-408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벌림 벌채작업에서 작업강도를 구명하여 산림작업을 성력화하며, 아울러 작업방법의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엽수 간벌림에서 벌채작업을 요소작업으로 구분하여 순수작업시간과 맥박수를 측정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맥박수 측정 분석에서 전체 순수작업시간에서의 1분당 평균맥박수는 작업원 A의 경우 108로 나타났으며, 작업원 B의 경우 130, 작업원 C는 119, 그리고 작업원 D는 125로 나타났다. 2. 요소작업 구분별로 맥박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1분당 맥박수가 가장 높을 때는 작업원 A의 경우 주위정리에서 115였고, 작업원 B는 이동에서 131, 작업원 C는 지타작업에서 122, 작업원 D는 현목처리에서 128로 나타났다. 3. 작업원별로 기준맥박을 100%로 보았을 때 작업강도는 작업원 A(기본맥박 61=100%)가 전체 작업강도 160%, 요소작업 구분중에서는 주위정리가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작업원 B(기본맥박 57=100%)의 전체 작업강도는 220%, 요소작업중에서는 이동이 229%로 가장 높았으며, 작업원 C(기본맥박 73=100%)의 경우에는 전체 강도는 159%, 요소작업중에서는 지타작업이 168%로 가장 높았고, 작업원 D(기본맥박 70=100%)는 전체 작업강도 156%, 요소작업중에서는 현목처리가 1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전체 작업강도를 나다내는 작업원에 따른 노동이행능력 한계점에서의 1분당 초과맥박수는 작업원 A의 경우 30, 작업원 B의 경우 207, 작업원 C는 14이며, 작업원 D는 67로 작업원 B가 가장 작업강도가 높아 신체적인 부담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물 계단 이용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 (Variati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by Use of Building Stairs)

  • 이승주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89-995
    • /
    • 1996
  • 본 연구는 건물 계단을 올라감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동전문대학 물리치료과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 총 136명 중 5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1995년 9월 20일에서 10월 3일까지 14일간 조사된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신장은 평균 166.4cm, 체중은 57.7kg이었다. 2. 안정시 수축기혈압은 평균 121.3mmHg, 이완기 혈압은 78.5 mmHg였다. 3. 안정시 맥박수는 평균 71.8회, 호흡수는 20.4회, 체온은 $36.8^{\circ}C$였다. 각 층에서 심폐기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측정 후 2, 3, 4충간의 수축기혈압은 각각 129.0 mmHg, 127.0 mmHg, 132.0 mmHg로 3층에서는 약간 낮았으나 점차 증가하였고 (P=0.1919), 이완기혈압도 80.1mmHg, 76.5mmHg, 82.0 mmHg로 3층에서 약간 낮은 후 점차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229). 2. 맥박수는 2, 3, 4층에서 각각 74.0회, 73.1 회, 74.0회로 충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 0.8148). 3. 호흡수는 2, 3, 4층에서 21.4회, 23.1회, 24.6회로 층수가 높아짐에 따라 횟수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71). 4. 체온은 2, 3, 4층에서 36.8, 36.6, $36.5^{\circ}C$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짐을 나타내었다(P=0.0040).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물의 계단을 올라감에 따라 호흡수는 증가하였고, 체온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중추신경계환자 및 노약자들은 이 점을 의식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측정을 실시하였지만 향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응급상황을 대비한 무선의료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Healthcare 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 박성철;문병현;임병현;황범석;최상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25-130
    • /
    • 2009
  • 현대 사회에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독거노인들은 지속적인 관심과 사회적인 책임이 요구 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건강상태 (온도 및 맥박수)를 측정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족, 병원의 담당의사에게 휴대전화를 통하여 통보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DB화하는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조도센서와 고휘도 LED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혈류를 감지를 통해 맥박수와 비접촉식 은도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체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을 구현하여 LCD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측정값을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버컴퓨터로 측정값을 전송하여 측정된 간을 관측하고 DB화하여 측정된 값, 평균, 측정된 시간을 주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몸에 이상이 있을 경우 보호자, 의사 및 119구급대에 문자를 전송하여 위급 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지역사회획득폐렴으로 대학 병원에 입원한 성인의 사망률과 관련된 위험인자 (Risk Factors for Mortality in Community-Acquired Pneumonia Patients Admitted to a Referral Hospital)

  • 이영우;정재우;송주한;전은주;최재철;신종욱;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47-355
    • /
    • 2006
  • 배 경: 지속적인 노력에도 지역사회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이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및 예후 평가를 위해 예후 인자들을 확인하려 하였고 종합적인 접근을 위해 Pneumonia Severity Index(PSI) 등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단순 지표들만을 이용한 연구에 그치고 있어 PSI를 이용하여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의 예후에 종합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17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군/사망군 그리고 일반병실 입원환자/중환자실 입원 환자 사이를 비교하였으며, 각 군에 대해 Pneumonia Severity Index를 분석하였다. 결 과: 사망군과 생존군 사이에는 평균 수축기 혈압, 평균 이완기 혈압, 평균 맥박수, 평균 호흡수, 평균 체온, albumin, LDH, total cholesterol, HDL, PT, aPTT, hemoglobin, blood urea nitrogen(BUN)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일반병실과 중환자실 입원환자 사이에는 평균 맥박수, pH, $pCO_2$, $pO_2$, $SaO_2$, 혈청 총 단백질, 알부민, 혈청 총 칼슘, LDH, 총 콜레스테롤, HDL, PT, aPTT, hemoglobin, blood urea nitrogen(BUN)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Pneumonia Severity Index의 경우 class I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고 class가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였으며 class V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결 론: 다양한 지표들을 이용하여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들을 평가할 수 있으나, Pneumonia Severity Index(PSI)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접근을 할 수 있으며 이를 국내 환자에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골·대백혈 자침을 통한 야간 발열 환자 치험 2례 (Two Cases of Night Fever Treated with Acupuncture on Young-gol and Dae-back: Considered from Meridian and Collateral Aspects)

  • 조나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4권3호
    • /
    • pp.164-171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음허로 인한 야간발열 환자 2명에 대한 동씨침의 영골 및 대백혈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경락학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음허로 진단된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영골 및 대백혈에 침 치료를 시행하고, 15분 간 유침하였으며, 치료 전 후에 체온과 맥박을 측정하고, 구갈에 관한 NRS를 치료전에 측정하였다. 결과 : 영골 및 대백혈 자침 1시간 후 체온이 두명의 환자 모두 정상범위로 하강하였으며, Case 1의 경우는 영골 및 대백혈 자침치료를 시작한지 13일후, Case 2의 경우에는 14일 후에 야간발열 증상이 소실되었다. 11 pm에 측정한 맥박수는 Case 1에서 침 치료 시작 전 평균 82.6에서 치료 기간 중에는 75.2, 치료 후 74.8로 변화하였고, Case 2에서는 침 치료 시작전 평균 83.5에서 치료 기간 중에는 78.5, 치료 후 74.3으로 변화하였다. NRS는 Case 1에서 치료 전 평균 4.2에서 치료 기간 중에는 3.2, 치료 후 1.7로 감소하였으나 Case 2에서는 치료 전 평균 3.3에서 치료 기간 중에는 2.3, 치료 후 2.4로 변화하였다. 결론 : 두 가지 Case에서 영골 및 대백혈 자침은 발열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는 영골 및 대백혈이 수양명대장경의 경락 및 경근이 분포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양명대장경의 열성병 치료효과와 대장주진의 생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이와 관련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