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보정계수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Securing the Flow in Mankyung Watershed (만경강유역의 유량확보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 분석)

  • 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7-437
    • /
    • 2021
  • 새만금유역의 용수이용체계는 농업용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규모 관개시스템을 통해 하천수가 농업용수로 공급되고 있어 하천의 수질관리와 수생태계 보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농업용수와 공업용수 대부분을 하천으로부터 확보하고 있는 만경강은 용담댐과 금강호와 같은 외부 공급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역내 위치하고 있는 수원인 대아저수지와 경천저수지는 관개기에 대부분 유량을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어 하천유지유량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만경강유역의 용수별 공급 및 이용체계에 따른 용수 확보방안을 검토하고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역내에서 용수 확보방안에 따른 시나리오를 구성하였고, 수역의 기작 등을 합리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질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본류구간의 수질변화를 예측하였다. 수질모의시 유황조건은 하천수질환경기준의 설정근거인 저수량(Q275)과 평수량(Q185)을 기준으로 하였고, 각 구간별 수리입력계수와 수질입력계수를 입력하여 보정하였으며, 보정 및 검증자료는 환경부 자료에서 기준유량의 ±20 % 내에 측정된 시기의 값을 활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저수량 조건에서 시나리오별 확보되는 유량증가에 의해 주요지점에서의 수질개선율이 평균 BOD 12.1 %, T-N 4.9 %, T-P 10.1 %, 평수량 조건에서 평균 BOD 4.7 %, T-N 4.1 %, T-P 5.6 %로 평가되어 본류구간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수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역내 용수별 공급 및 이용체계에 따라 확보되는 유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외부 수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유역내에서 자체적으로 만경강 및 새만금호의 유입량을 확보뿐만 아니라 수질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in a Channel with Roughness Correction Blocks (조도보정 블록 수로에서의 조도계수 추정)

  • Choi, Heung Sik;Kim, Si 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107-116
    • /
    • 2014
  • A volume density of roughness correction blocks in a channel is defined and the corresponding roughness coefficient(n) is estimated by analyzing the divers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VR, the product of the average velocity and the hydraulic radius, block Reynolds number ($Re^*$), drag coefficient ($\acute{C}_D$), and the roughness coefficient ($n_b$) of bottom shear. The increase of VR and block Reynolds number causes the exponential decrease of roughness coefficient converged to a constant value as expected. The drag coefficient also exponentially decreases as block Reynolds number increases as well. The drag force is governed by the block shape defined by volume density in high block Reynolds number of turbulent flow region.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the use of the correlation equation of it is required by block Reynolds number and volume density.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n-VR, $\acute{C}_D-Re^*$, and $n_b-\acute{C}_D$ are presented. The regression equations of roughness coefficient are also presented by block Reynolds number and volume density. The developed equ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by block Reynolds number and volume density has practical use by confirming the coincid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results of HEC-RAS using the developed equation.

Impact Assessment of Spatial Resolution of Radar Rainfall and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on Parameter Estimation (레이더 강우 및 분포형 수문모형의 공간해상도가 매개변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 평가)

  • Noh, Seong Jin;Choi, Shin Woo;Choi, Yun Seok;Kim, Kyung Ta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5
    • /
    • pp.1443-1454
    • /
    • 2014
  • In this study, we assess impact of spatial resolution of radar rainfall and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on parameter estimation and rainfall-runoff response. Radar data measured by S-band polarimetric radar located at Mt. Bisl in the year of 2012 are used for the comparative study. As different rainfall estimates such as R-KDP, R-Z, and R-ZDR show good agreement with ground rainfall, R-KDP are applied for rainfall-runoff modeling due to relatively high accuracy in terms of catchment averaged and gauging point rainfall.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is implemented for flood simulations at the Geumho River catchment with spatial resolutions of 200m, 500m, and 1000m. Automatic calibration is performed by PEST (model independent parameter estimation tool) to find suitable parameters for each spatial resolution. For 200m resolution, multipliers of overlandflow and soil hydraulic conductivity are estimated within stable ranges, while high variations are found from results for 500m and 1000m resolution. No tendency is found in the estimated initial soil moisture. When parameters estimated for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are applied for other resolutions, 200m resolution model shows higher sensitivity compared to 1000m resolution model.

Analysis of the Met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Basin (유역 호우의 기상특성 분석)

  • Lee Sang Jin;Hwang Man Ha;Ko Ick Hwan;Lee B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99-604
    • /
    • 2005
  • 최근 일부 댐유역에서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태풍 등과 같은 특이 호우에 대하여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안전한 치수 및 방재업무를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일부 댐유역의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원인으로 강우 관측자료의 신뢰성이 결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으며, 만일, 강우관측소에서 계측된 강우자료의 신뢰성이 결여 되어 있다면, 이로 인한 유역 강우의 추정오차는 제거될 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는 관측소의 고도, 지형적인 장애(산악영향, 지장물 등) 및 기상학적인 장애(기단의 이동방향, 호우의 발생원인, 돌풍 등)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의 다른 여러 외부적 요인들 중 가장 큰 요인으로 돌풍과 같은 풍속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연구대상 유역인 임하댐 유역의 유출율과 치대 풍속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유출율은 최대 풍속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호우에서 강우관측소의 강우는 강우시 돌풍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적게 관측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평가된 강우자료로부터 산정된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로 인해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출율과 풍속간의 관계로부터 강우보정계수 추정식을 산정하였으며, 추정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관측된 강우자료를 보정한 후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댐유입수문곡선을 보정전에 비해 보다 근사하게 모의하였다. 위해서는 대상유역에 적합한 선행 강우일수의 결정이 중요하리라 판단된다.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

  • PDF

A Study on The Eatimation of GcIUH for the River Basins of Korea (국내 유역에 적합한 GcIUH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 HwangBo, Jong-Ku;Lee, Keon-Haeng;Kim, Hung-Soo;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12-1417
    • /
    • 2007
  • 국내에서는 빈약한 홍수량 자료로 인해 일반적으로 설계호우의 개념과 강우-유출해석을 통해 설계홍수량을 추정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유출해석에 의해 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설계홍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분석과정에서 불확실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우-유출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자의 주관성을 배제한 객관적인 입력변수 추정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해석을 수행하는 대신 지형인자와 기후인자로만 단위유량도 유도가 가능한 GcIUH(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도)를 국내 유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립국토지리원에서 제공하는 1:25,000 유역도에서 추출된 최고차 하천의 길이 $L_{\Omega}$와 길이비 $R_L$를 산정하였다. GIS와 유역도로부터 산정된 각각의 $L_{\Omega}$$R_L$를 이용하여 지점별 단위도를 각각 유도하고, 유도된 단위도로부터 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였다. 실제 지형도에 의해 산정된 GcIUH와 유역면적, 유역평균경사별 첨두유량, 그리고 첨두시간의 상관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유역평균경사별 첨두유량이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첨두시간은 유역면적이나 유역평균경사에 상관없이 비교적 정확하게 실측치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평균경사별 첨두유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GcIUH의 보정계수인 a를 도입하여, a 값을 유역평균경사별로 제시하였다.

  • PDF

Computer-Assisted Ultrasonic Diagnosis of Fatty Liver (영상처리를 이용한 지방간의 초음파 진단)

  • 정지욱;이수열;김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337-33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얻어진 95개의 영상 자료를 전산화하여 특정 간 영역의 명도분포를 분석하여 이와 간의 지방화 정도와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지방화 정도를 판단하는 임상적 기준으로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지방간지수와 계산된 평균 명도 수치와의 선형 상관 계수를 구하였다. 각각의 영상의 밝기 및 에코정도가 일반적으로 불균일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 밝은 명도와 어두운 명도의 기준영역을 선정하여 상대명도를 추출하였다. 두 가지 독립적인 방법으로 기준 영역을 선택하여 비교한 결과, 임상 지방간지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고, 지방간 진단의 보조자료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계산된 지방간지수와 상대명도의 상관계수는 0.69 에서 0.79로 나타났다.

  • PDF

Revising Passive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Retrievals over East Asia Using SMOS (MIRAS) and GCOM-W1 (AMSR2) Satellite and GLDAS Dataset (자료동화 토양수분 데이터를 활용한 동아시아지역 수동형 위성 토양수분 데이터 보정: SMOS (MIRAS), GCOM-W1 (AMSR2) 위성 및 GLDAS 데이터 활용)

  • Kim, Hyunglok;Kim, Seongkyun;Jeong, Jeahwan;Shin, Incheol;Shin, Jinho;Choi, Minha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2
    • /
    • pp.132-147
    • /
    • 2016
  • In this study the Microwave Imaging Radiometer using Aperture Synthesis (MIRAS) sensor onboard the Soil Moisture Ocean Salinity (SMOS) and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 (AMSR2) sensor onboard the Glo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Water (GCOM-W1) based soil moisture retrievals were revised to obtain better accuracy of soil moisture and higher data acquisition rate over East Asia. These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products are revised against a reference land model data set, called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using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matching and regression approach. Since MIRAS sensor is perturbed by radio frequency interferences (RFI), the worst part of soil moisture retrieval, East Asia, constantly have been undergoing loss of data acquisition rat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threshold of RFI, DQX, and composite days were suggested to increase data acquisition rate while maintaining appropriate data quality through comparison of land surface model data set. The revised MIRAS and AMSR2 products were compared with in-situ soil moisture and land model data s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vising process increased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of SMOS and AMSR2 averagely 27% 11% and decreased the root mean square deviation (RMSD) decreased 61% and 57% as compared to in-situ data set. In addition, when the revised products'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are calculated with model data set, about 80% and 90% of pixel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MOS and AMSR2 increased and all pixels' RMSD decreased. Through our CDF-based revising processes, we propose the way of mutual supplementation of MIRAS and AMSR2 soil moisture retrievals.

Development of Axial Power Distribu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wo-Level Encore Detector (상하부 2개의 노외계측기를 이용한 축방향 출력분포 감시계통 개발)

  • Chi, Sung-Goo;Song, Jae-Woong;Ahn, Dwak-Hwan;Kuh, Jung-Eu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4
    • /
    • pp.294-301
    • /
    • 1989
  • The Axial Power Distribution Monitoring System(APDMS) program was developed to calculate a detailed axial power distribution using two-level excore detector, cold leg temperature and control rod position signals. The unnormalized two-level excore detector signals were corrected for the rod shadowing factor determined by control rod position and for the temperature shadowing factor calculated based on cold leg temperature. A shape annealing matrix was then applied to the corrected excore detector response to yield peripheral power. After the core average power was obtained using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re average and peripheral power, the boundary point power correction coefficient was applied to core average power in order to obtain boundary power for both upper and lower core axial boundaries. Then, the axial power distribution was synthesized by spline approximation. In spite of burnup, power level, control rod postion and axial offset changes, the comparisons of axial power distributions between BOXER simulation program and APDMS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s within 5% root mean square error for Kori Unit 3 Cycle 4.

  • PDF

Estimation of R-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ith Monthly Precipitation Data in North Korea (북한 지역의 월 강수량으로부터 토양 유실 예측 공식 적용을 위한 강수 인자 산출)

  • Jeong, Yeong-Sang;Park, Cheol-Soo;Jeong, Pil-Kyun;Im, Jung-Nam;Shin, Jae-S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5 no.2
    • /
    • pp.87-92
    • /
    • 2002
  • Soil erosion is detrimental to sustain soil productivity in north Korea, since agriculture of this country depends largely upon the slope land in mountainous area. Taking any measure for protection from erosion should be based on prediction of soil loss. Estimation of rainfall factor, R, in north Korea for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as attempted. The monthly precipitation data of the twenty six locations provid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were us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II_30 and the July-August precipitation concentration percents,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was obtained. The rainfall factor was calculated with the monthly precipitation data and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The annual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ranged from 606 to 1,520mm, and the July-August precipitation concentration percents were 34.4 to 53.8.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ranged from 0.53 to 1.33 showing lower value in the highland and east coastal region than in the mid mountainous inland and west region. The R-factor value estimated from the monthly precipitation and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ranged from 107 to 483, which was lower than average value in south Korea.

A Comparative Analysis of Standard Uptake Value Using the Recovery Coefficient Before and After Correcting Partial Volume Effect (부분 체적 효과에서 회복 계수를 이용한 보정 전과 후 SUV의 비교 분석)

  • Ko, Hyun-Soo;Park, Soon-Ki;Choi, Jae-Min;Kim, Jung-Sun;Jung, Woo-Young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15 no.1
    • /
    • pp.10-16
    • /
    • 2011
  • Purpose: The partial volume effect occurs because of limit of the spatial resolution. It makes partial loss of intensity and causes SUV to be lower than it should actually b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recovery coefficient for correcting PVE from phantom study an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SUV correction applying to PET/CT ex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flangeless Esser PET phantom consisting of four hot cylinders was used for this study. All of the hot cylinders were filled with FDG solution of 20.72 MBq per 1000 ml, and the phantom background was filled with FDG solution of different concentrations (33.30, 22.20, 16.65 MBq per 6440 ml) to yield H/B ratios of around 4:1, 6:1 and 8:1. Using the Biograph Truepoint 40(SIEMENS, Germany), we applied recovery coefficient method to 3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lung cancer after PET/CT exam. And then we analyzed and compared SUV before and after correcting partial volume effect. Results: The smaller the diameter of hot cylinder becomes, the more recovery coefficient decreased. When we applied recovery coefficient to clinical patients and compared SUV before and after correcting PVE, before the correction all lesions gave an average max SUV of 7.83. And after the correction, the average max SUV increases to 10.31. The differences in the max SUV between before and after correction were analyzed by paired t test.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7.21, p=0.000). Conclusion: The SUV for quantification should be measured precisely to give consistent information of tumor uptake. But PVE is one of factors that causes SUV to be lower and to be underestimated. We can correct this PVE and calculate corrected SUV using the recovery coefficient from phantom study. And if we apply this correction method to clinical patients, we can finally assess and provide quantitative analysis more accurat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