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식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the School-aged Children (학동기 아동에서 변비의 실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 Cho, Sung-Jong;Ahn, Young-Jun;Kim, Eun-Young;Rho, Young-Ill;Yang, Eun-Suk;Park, Young-Bong;Moon, Kyung-Rye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5 no.1
    • /
    • pp.26-32
    • /
    • 2002
  • Purpose: Constipation in childhood is a significant problem, however, understanding of its epidemiology has been limited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onstipation in school-aged children, helping to manage and prevent it.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sive observational prevalence study included children (2grade, 1st and 6th grade) who were attending two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ssociated symptoms, and risk factors were evaluated by questionnaire. A child was considered to be constipated when he or she defecated two or less times per week. Results: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was 15.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and grades. Of the causes of constip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deficiency, frequent intake of convenience food, long-time watching TV, unbalanced diet and enuresis history between constipation and normal group. Especially, long-time watching TV, exercise deficiency, and enuresis history were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constipation. Only 27.1% of children with constipation were treated by laxative and enema. Conclusion: Even though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was high, more than half of them was not treated at all. We should endeavor to educate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prevent constipation by evaluating the feeding and behavioral habit completely, and treating them properly.

  • PDF

유아를 위한 메뉴 개발 및 평가

  • 신은경;이연경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3-1054
    • /
    • 2003
  • 유아기는 식품 기호도, 식사예절, 식습관 등 식행동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서 특히 편식이 생기기 쉽고, 식욕부진과 영양과잉 등 불균형한 식품 섭취로 인한 영양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7월 구미지역 2개 보육시설의 92명 유아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아들의 식습관과 식품 기호도를 조사하고 이를 고려하여 유아를 위한 메뉴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개발한 메뉴는 일반식 (삼각김밥, 오징어전), 편식 (도라지강정, 브로콜리스프), 빈혈식(쇠간함박스테이크, 참치깻잎쌈밥), 비만식(참치샐러드, 닭안심깻잎조림), 전통식(떡찜, 두부선) 등 각 2가지씩 총 10가지이며, 2003년 10월 시식회를 거쳐 656명의 유아들에게 맛, 냄새, 모양,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메뉴평가를 실시하였다. 식습관 조사결과 편식습관이 있는 경우가 70.7%였으며, 평소 싫어하는 음식에 대해서는 권유로 마지못해 먹는다가 67.4%로 가장 많았다. 성별에 따른 유아의 식습관을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남녀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아가 여아보다 탄산음료를 즐겨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기호도 조사결과 10가지 식품군 중 과일류에 대한 기호도(3.97$\pm$0.65점)가 가장 높았고, 채소류에 대한 기호도(2.46$\pm$0.68점)가 가장 낮았으며, 기호도가 특히 낮았던 식품으로는 곡류 및 감자류 중에는 보리밥과 콩밥, 육류 및 가공품 중에는 간과 내장, 두류 및 가공품 중에는 팥, 어패류 중에는 굴, 해조류 중에는 파래, 채소류 중에는 토란, 브로콜리, 도라지 등이었다. 조리법별로는 튀김류(3.80$\pm$0.68)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볶음ㆍ구이류(3.77$\pm$0.56)였으며 기호도가 가장 낮은 음식은 생채류(2.61$\pm$1.27)와 숙채류(2.85$\pm$1.1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한 메뉴의 선호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맛에 대한 선호도(4.30$\pm$0.91)가 가장 높았고, 모양에 대한 선호도(3.95$\pm$0.89)가 가장 낮았다. 메뉴별 맛에 대한 선호도는 닭안심깻잎조림 (4.85$\pm$0.36)과 두부선(4.85$\pm$0.52)이 가장 높았고, 참치깻잎쌈밥(3.43$\pm$1.61)이 가장 낮았으며 냄새에 대한 선호도는 두부선(4.76$\pm$0.69), 닭안심깻잎조림 (4.64$\pm$0.53), 브로콜리스프(4.59$\pm$0.88)가 유의하게 높았고 참치깻잎쌈밥(2.95$\pm$1.24)은 유의하게 낮았다. 모양에 대한 선호도는 두부선이 4.85$\pm$0.52점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쇠간함박스테이크(3.03$\pm$0.17)와 참치깻잎쌈밥(3.11$\pm$1.33)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조직감에 대한 선호도는 두부선(4.80$\pm$0.56)과 브로콜리스프(4.63$\pm$0.60)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참치깻잎쌈밥(3.20$\pm$1.29)이 유의하게 낮았다. 전반적인 선호도는 맛, 냄새, 모양, 조직감에서 모두 선호도가 높았던 두부선이 4.82$\pm$0.49점으로 가장 유의하게 높았으며 참치깻잎쌈밥이 3.17$\pm$1.3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음식의 맛, 냄새, 모양,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식의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맛 자체뿐만 아니라 냄새, 모양, 조직감 등 다양하므로 어릴 때부터 가정과 보육시설에서 다양한 식품과 조리법을 이용하여 맛있고, 먹고싶은 냄새가 나고, 부드러우며, 모양도 먹음직스럽게 조리하여 유아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 -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 (어린이집 아동의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조사 연구 - 식습관과 영양지식을 중심으로 -)

  • Kim, Hye-Kyung;Kim, Ji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7
    • /
    • pp.866-8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dietary habits, health related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and body indices,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for designing and monitor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1,200 preschool children, aged $4{\sim}6$ years. A measurement of the height and weight was conducted. The general home environment, the dietary habit of children and nutrition knowledge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information about family income,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Using the PIBW, 14.6% of the preschool children were under weight, 54.4% were normal, and 31.0% were overweight or obese. We regarded to food habit score, the highest score was in the regularity of breakfast, while the lowest score was in consumption of yellow-green vegetables such as spinach and carrots. Result in food behavior showed that 69.1% of preschool children had a unbalanced diet, and their favorite snack was fast food like pizza and hamburger then followed soft drink and fried foods (chicken of potato).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re was somewhat improvement in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preschool children from $7.7{\pm}1.7$ point to $8.9{\pm}1.5$ poi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help preschool children change their nutrition knowledge. Therefore, it would be needed that new appropriate nutrition education to improve dietary habits and health status.

A Study for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by Gender (서울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식행동 양상 연구)

  • Rha, Young-Ah;Kim, Yi-Su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1 no.4 s.27
    • /
    • pp.77-91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kinds of an effect on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by gender. So this survey is classified into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 dietary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is different from gender, male is scoring 6.90 out of 10 and female is scoring 7.03 out of 10. Food habit is also different from gender, male is scoring 4.17 out of 10 and female is scoring 4.79 out of 10. Dietary behaviors also female is better than male. This result shows that food service should be mo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ood service quality than the food service quantity.

  • PDF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Choi, Yooun-Sook;Kim, Mi-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7
    • /
    • pp.109-11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coping with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52 nursing students in 6 colleges in B and K city, and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23.0.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chool life satisfaction (F=9.18, p<.001), happiness score (F=20.64, p<.001), health status (F=12.40, p<.001), eating breakfast (t=-3.31, p=.001), unbalanced diet (t=-4.20, p<.001), time spent sleeping (F=2.64, p=.049), and exercise (t=5.20, p<.001). In the correlations,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fe stress (r=-.289, p<.001),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ping with stress (r=.539,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tress coping (β=.439, p<.001), happiness score (β=.251, p<.001), exercise (β=.172, p<.001), unbalanced diet (β=.125, p=.002), life stress (β=-.121, p=.005), and eating breakfast (β=.083, p=.046). The above variables explained 46.0% fo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through improving coping with stress, creating a sense of happiness, reducing life stress, and maintaining exercise and good eating habits.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Jeonn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 - 전남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 Oh, Mi-ae;Kim, Soo-kyung;Jeon, Eun-raye;Jung, Lan-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8 no.1
    • /
    • pp.59-6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ood allergy symptoms, they responded 'skin trouble' 63.6% the most. For the causing foods of allergies, they responded, 'I don't know the causing foods' 33.5%, 'I was diagnosed' 51.0%, 'I was treated' 63.9%, and therefore 'I restricted foods' 53.5%, due to 'I restricted foods through hospital diagnosis' 40.5% the most. For family history, 67.9% responded the family history matters. 70.3% responded the seasons would not affect to the symptoms. 64.1% responded the cause of food allergy is specific foods. For allergy solution, they responded, 'I don't use any treatment' 42.8% the most. For effective treatment, they responded, 'I restricted causing foods' 45.1% the most.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such as 'have heard or known about food allergies'(p<.001), 'whether participated in consultation and training'(p<.001), 'problems of growing children when putting limits on causing foods'(p<.001), 'interests in getting information about food allergy'(p<.001), 'feeling the needs of allergy education about careful foods'(p<.01), 'wish for schools to be educated'(p<.01). Dietary attitud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of unbalanced diet(p<.001).

Awareness and Use of Fast Food on Elementary School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Pyeongtaek City (평택시 초등학생의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과 이용)

  • Kim, Kyeong-Hyun;Jung, Eun-Hee;Rhie, Seung-G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79-79
    • /
    • 2009
  • 최근 아동들 사이에서 칼로리가 높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의 섭취가 증가하는 경향과 함께 비만 등 영양적인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아동기는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올바른 식품선택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평택 초등학교 2개교의 4, 5,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 섭취실태를 조사하였다. 평균연령은 11.7세, 키는 141.5cm, 몸무게는 36.7kg이였다. 아침 식습관태도 조사에서는 일주일에 5번 이상 아침식사를 한다(여학생 78.1%, 남학생 74.3%)는 답이 가장 많았다. 아침결식 이유는 밥맛이 없기 때문(여 58.2%, 남 54.4%)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편식은 여학생의 54.2%, 남학생의 48.9%가 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편식하는 식품은 나물이나 샐러드 등의 채소류(여 51.1%, 남 61.4%)가 많았다. 간식섭취는 가끔 섭취한다는 답이 여학생 59.8%, 남학생 60.0%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간식은 부모님이 사주신다(여 32.6%, 남 39.1%)고 하였으며, 여학생은 50.5%가 가족과 함께 먹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44.8%가 혼자 먹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간식으로 과일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는 여학생의 33.0%가 2-3일에 2회 이상 섭취한다고 했지만, 남학생은 29.5%가 매일 먹는다고 답을 하여 과일섭취는 모두 딸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스트푸드의 이용동기는 맛이 좋아서(남 60.8% 여 55.2%), 다음은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며(남 32.4% 여 40.6%), 주로 이용하는 곳은 분식 및 편의점이었다. 패스트푸드 이용횟수는 월1-2회(남 52.4%, 여 51.6%)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주1회 정도(남 21.9%, 여 32.0%) 이용한다고 하였다. 이용시간은 방과 후 저녁시간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남 47.6%, 여 50.5%), 남 녀 모두 사서 집에서 먹거나(남 44.7%, 여 41.2%), 배달시켜 집에서 먹는다(남 39.8%, 여 37.1%)고 하였다. 가장 좋아하는 패스트푸드는 라면 등의 분식으로 여학생의 40.2%, 남학생의 26.2%가 해당되었고, 그 다음 순서로 남학생은 피자(22.3%)와 치킨(22.3%) 및 햄버거(18.5%), 여학생은 치킨(25.8%)과 도너츠(12.4%)를 더 선호하였다. 패스트푸드 만족도를 3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맛이 가장 높은 점수(2.42)였으며, 가격(1.98), 위생(1.92) 서비스(2.15)는 보통으로 평가했다. 본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들의 패스트푸드 섭취는 가끔 먹는 간식과 같은 형태로 당장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10대와 20대에 특히 섭취율이 증가함을 감안할 때, 중학생이 되기 전 단계에서 우리음식의 우수성과 패스트푸드 섭취지양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Relation between Maternal Eating Behavior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Children (어머니의 식행동과 아동의 치아우식경험도와의 관련성)

  • Kim, Young-Nam;Yang, Seung-Kyeong;Kim, Yoon-Shin;Han, Gyeong-Soo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5
    • /
    • pp.423-430
    • /
    • 2011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ducting reducing children's dental caries, and proper eating habits and in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activities by survey of children's oral examination and their mothers based on 9 elementary school at a local area in Gyeonggi Province from May, 4 until July, 20 2009,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ildren's DMF rate by gender was higher in men than women, the children's dental caries by grades was higher in higher grades than lower grades, 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dental caries experiences in gender and grades(p<0.05). 2. Moth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other's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the mother's protective food intake frequency and the snack consumption etc. had not great effects on the children's dental caries(p>0.05). In the dental caries experience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maternal eating behavior,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etween the degree of unbalanced diet in mother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df index in children. Proper eating behavior of balanced diet in mother must take precedence for children's oral health, and required for their children to have interests about proper eating habits and oral health.

Non-Point Source Mitigation Analysis by Applying Riparian Area in Nakdong River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낙동강유역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분석)

  • Han, Kun-Yeun;Kim, Dong-Il;Park,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97-601
    • /
    • 2007
  • 1990년대 정부는 비점오염원 부하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5년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그리고 영산강 이른바 4대강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조사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의 경우 처리시설만으로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성 때문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과 제도적 관리방안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하고, 토지매수를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토지매수에 따른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 변화 해석 및 토지매수에 따른 최적 수변녹지대 조성을 위한 식생 효과를 분석 하였다. 수변구역 내의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이 수변구역(riparian buffer strip), 또는 수변완충구역(riparian buffer zone)을 조성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수변구역은 하천유역의 토양, 식물, 동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하천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물에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중 및 육상의 식물과 동물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질과 수량 그리고 생태계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낙동강 수계에 수변구역 조성시의 수질개선효과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위해서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유량 및 수질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역내 수변구역을 조성시 수변구역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점오염원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로 대부분의 가정(家庭)은 아침 식사로 밥을 좋아하였다. (8) 편식을 고치는 것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어린이 간식에 대하여는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2. 영양교육(營養敎育) 현황실태(現況實態) (1)식생활(食生活)에 필요한 지식(知識)은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와 텔레비젼을 통해서 대체로 얻고 있다. (2) 음식과 영양섭취와의 관계성이 있다고 답한 주부(主婦)는 70.8% 이었으며, 가족(家族)의 영양(營養)에 대하여 늘 생각하는 주부는 60% 이었다. 3. 식품섭취 빈도 거의 먹지 않는 식품(食品)으로 버터가 43.%로 가장 높았고, 육류의 섭취율이 낮았다. 반면, 김치와 채소류의 섭취율은 높았다. 집단간의 상관도를 보면 교육별로 김치, 장아찌, 콩이 각각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멸치가 유의한 차가 없었고(p>0.5), 수입별로는 콩이 유의한 차가 없었다(p>0.5). 4. 영양지식(營養知識) 검토 가정생활(家庭生活)에 필요(必要)한 일반적(一般的)인 영양지식(營養知識)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어린이 영양, 편식의 해로움, 비만증의 해로움, 임신부 그리고 수유부 영양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이유기 영양, 어린이 발육에 필요한 식품, 식품과 영양소와의 관계, 우유의 성분, 노인영양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이 낮았으며, 인체의 영양소, 식단작성여부, 간식의 이론, 식품감별법에 대하여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각 영양지식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고, 교육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0.001

  • PDF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and Eating Behaviors of the 3 Groups (여대생의 체형별 식품영양섭취와 식행동)

  • 이병순;이연숙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9 no.4
    • /
    • pp.441-446
    • /
    • 1996
  • This study chosed the 3 groups(lean type(41), the normal type(48) and the obese type(58)) according the BMI and then by comparing the nutrition intake and eating behaviors of each 3 group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 significantly difference of nutrition-intake in 3 groups is shown in the take daily food-intake and calorie-intake of snack, which the obese type intakes of protein most, the normal type that intakes of calcium most. The food-habit shown in the self report of each subject, is the irregularity of the food-eating in all 3 groups. In terms of self-estimation by actual physique, the obese type estimates mostly correctly his own physique. To compared self-estimation of eating behaviors, The estimation of the unbalanced deities mostly corr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