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 between Maternal Eating Behavior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Children

어머니의 식행동과 아동의 치아우식경험도와의 관련성

  • 김영남 (경복대학 치위생과) ;
  • 양승경 (대구산업정보대학 치위생과) ;
  • 김윤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한경순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8.15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ducting reducing children's dental caries, and proper eating habits and in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activities by survey of children's oral examination and their mothers based on 9 elementary school at a local area in Gyeonggi Province from May, 4 until July, 20 2009,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ildren's DMF rate by gender was higher in men than women, the children's dental caries by grades was higher in higher grades than lower grades, 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dental caries experiences in gender and grades(p<0.05). 2. Moth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other's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the mother's protective food intake frequency and the snack consumption etc. had not great effects on the children's dental caries(p>0.05). In the dental caries experience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maternal eating behavior,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etween the degree of unbalanced diet in mother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df index in children. Proper eating behavior of balanced diet in mother must take precedence for children's oral health, and required for their children to have interests about proper eating habits and oral health.

본 연구는 아동의 치아우식병 감소와 올바른 식습관 및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사업을 수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5월 4일부터 7월 20일까지 경기도 일지역의 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아동에 대한 구강검진과 그 어머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 아동의 영구치우식경험률(DMF rate)은 남자에 비해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 년별 아동의 치아 우식은 대체로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에서 높게 나타나, 아동의 성별, 학 년별 치아우식경험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아동의 치아우식경험도는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특성, 청정식품과 보호식품 및 간식 섭취빈도 등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p>0.05), 어머니의 식사태도 중 편식정도와 아동의 우식경험유치(df)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아동의 구강건강을 위해서는 편식하지 않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어머니의 올바른 식행동이 이루어지고, 더불어 아동 스스로가 올바른 식습관과 구강보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배 등: 공중구강보건학. 4차 개정판. 고문사, 서울, pp.160-164, 2009.
  2. 강명신 등: 구강보건인식, 태도, 행동 및 지식도가 치태관련 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8(1): 144-168, 1994.
  3. 보건복지부: 2010년도 국민구강보건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10.
  4. 이선이: 광주지역 초등학교 아동들의 식습관 및 식품 기호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4(1): 46-61, 2001.
  5. 이언영: 초등학교 아동의 간식섭취 및 구강관리 실태가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창원, 1994.
  6. 현경희: 아동의 식습관과 치아우식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서울, 2008.
  7. Petersen PE: Oral health behavior of 6-year-old Danish children. Acta Odontol Scand 50(1): 57-64, 1992. https://doi.org/10.3109/00016359209012747
  8. Peretz B, Zadik D: Parents' attitudes toward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during dental treatment. Pediatr Dent 21(3): 201-204, 1999.
  9. Cosper BA, Wakefield LM: Food choices of women. Personal, attitudinal and motivational factors. J Am Diet Assoc 66(2): 152-5, 1975.
  10. 정순자, 김화영: 주부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3(4): 101-108, 1985.
  11. 김민선: 어머니의 식행동이 초등학생 자녀의 성장 및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06.
  12. 보건복지부: 2006년도 국민구강보건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7.
  13. 보건복지부: 2009년 구강보건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09.
  14. 박종윤: 학부모들의 생활습관과 아동의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2004.
  15. 이재선: 어머니의 영양지식이 식행동이 자녀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을 중심으[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2007.
  16. 최규범: 부모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 위논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해, 2003.
  17. 김대업 등: 미취학아동의 우식활성과 구강위생습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4(1): 247-264, 1997.
  18. 이봉호 등: 도시지역과 전원지역의 초등학생 치아우식경험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1): 21-32, 2000.
  19. 김은희: 마산, 창원지역 초등학생의 식행동, 간식섭취 및 치아우식 실태조사[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창원, 2007.
  20. 장종화: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비만 및 구강건강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지 8(4): 229-239, 2008.
  21. 김지화, 김영선: 유아 구강건강실태 및 요인연구. 치위생과학회지 8(2): 117-128, 2002.
  22. Rayner JF: Socioeconomic statu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dental practices of mothers. Am J Public Health Nations Health 60(7): 1250-1258, 1970. https://doi.org/10.2105/AJPH.60.7.1250
  23. 강은주, 장선희: 모친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건강신념이 유치우식증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1):31-39, 2001.
  24. 이승희: 부모의 취업상태와 자녀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경산, 2010.
  25. 권호근 등: 과천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간식섭취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3(2): 113-124, 1999.
  26. 한지형, 임도선, 안용순: 일부 경기지역 5세 아동의 구강건강실태와 어머니의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9(1): 115-120, 2009.
  27. Hamasha AA et al.: Oral health behaviors of children in low and high socioeconomic status families. Pediatr Dent 28(4):310-315, 2006.
  28. 이선미, 김송전: 초등학생들의 체중신장지수(WLI)와 치아우식증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3(1): 25-43, 2003.
  29. Alm A et al.: Body adiposity status in teenagers and snacking habits in early childhood in relation to approximal caries at 15 years of age. Int J Paediatr Dent 18(3): 189-196, 2008. https://doi.org/10.1111/j.1365-263X.2007.00906.x
  30. 김종배 등: 예방치학. 4차 개정판. 고문사, 서울, pp.198-19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