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편부모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5초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원영희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359-37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색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저소득층이 밀집된 48개 지역에 거주하는 635명의 편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만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증,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이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적 배경 요인(모델 1), 사회적 지원 요인(모델 2), 자아통제 요인(모델 3)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인 자아통제 요인은 내외통제성,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증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력이 낮고 적극적 대처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증이 낮았다. 2) 자존감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 중 내외통제청과 적극적 대처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판명되어, 내적 통제감이 놓고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하는 편부모일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고연령이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갖고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3) 삶의 만족도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가 유의한 변인으로 분석되어,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는 낮으며 적극적 대처력이 높은 편부모가 삶의 민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강, 종교, 자녀와의 관계는 두 모델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자아통제 요인을 첨가하자 의미성이 없어졌다. 예상외로 부모, 형제, 친구, 공공기관, 종교기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거의 모든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미미한 편으로 변이가 없기 때문으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편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는 물론 자아통제를 제고하는 것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하는 주요 방안이라 팔 수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의 적극적 실행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최근 10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Development and Imple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Research in Recent 10 Years)

  • 이재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08-31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프로그램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부모교육 프로그램'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박사학위 논문 41편, 석사학위 논문 88편, 학술 논문 73편 등 총 202편이다. 먼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연구 동향을 대상과 주제별로 살펴보았다. 그다음,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동향을 개발 근거, 적용 대상, 주제, 프로그램 설계 유형, 프로그램 횟수와 진행 시간, 교수-학습 방법, 교육자, 프로그램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과정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양육형태에 따른 저소득층 자녀의 안경착용실태 연구 (Research on the Wearing Actual Conditions of G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ents in the Rearing of Low-income Children)

  • 이완석;예기훈;신범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7-216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저소득층 양육형태에 따른 자녀의 시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양육형태에 따라 교정 전 후의 시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소득 최하위층에서 교정 전 양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91, 편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3, 조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2 그리고 소득 중하위층에서 교정 전 양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0, 편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77, 조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50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양육형태에 따른 저소득층 자녀의 시력에 대한 관심 부족은 근시유발의 한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시기의 부모의 역할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 연구동향 -이주부모나라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ed on foreigner parent's language education)

  • 천지아;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107-120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국내 이중언어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교육에서도 이주 부모나라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등재후보 이상 학술지에 게재된 총 3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먼저,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에 관련된 논문은 2009년을 기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꾸준히 4~6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2014년에 11편(31%)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부분(75%) 관련연구 논문들이 언어학 관련 학술지와 아동교육 관련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에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방법이 비슷하게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대상에서 24편(67%)은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중 10편은 부모와 자녀에 대하여 동시에 연구하였고, 9편(225%)은 부모만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5편(14%)이 자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다섯째, 연구내용에서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 31%, 이중언어 교육문제 31%, 상호작용 22%, 정책적 제안이 17%를 차지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의와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다문화가정을 위한 이중언어교육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메타분석을 통한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with Young and School-age Children through Meta-Analysis)

  • 정계숙;유미숙;차지량;박희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65-387
    • /
    • 2013
  •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2000년~2012년의 학술지 및 석, 박사 학위논문 중 유아기와 아동기의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각각 41편과 15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방법, 내용, 목표에 따른 일반적인 경향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및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운영방법은 큰 차이가 없었고, 내용 및 목표는 유아 및 아동의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모두 양육 관련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룬 경향을 보였다. 둘째, 부모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 크기는 유아에 비해 아동의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와 아동 부모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부모가 함께 참여했을 때 가장 효과가 컸으나, 대상 수, 회기 당 시간, 회기 수 측면에서는 서로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또한 내용 및 목표별 효과 크기에서는 유아 부모 프로그램은 부모 자신의 심리 관련 요인인 자기체계 역량 요인이, 아동 부모 프로그램에서는 양육 역량 요인의 효과가 가장 컸다. 본 연구는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숲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위 논문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Forest Play: Focusing on Domestic Dissertation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9권
    • /
    • pp.77-104
    • /
    • 2022
  • 본 연구는 숲놀이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숲놀이 연구의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분석하여 숲놀이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숲', '놀이', '숲놀이'를 주제어로 국회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57편을 추출하였다. 숲놀이 연구를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의 네 가지 준거로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놀이 연구의 시기별 동향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석사학위 49편(85.9%), 박사학위 8편(14.1%)으로 석사학위 중심으로 숲놀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기초연구 16편(28.1%), 실천연구 41편(71.9%)으로 나타났다. 숲놀이 연구는 실천연구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 39편(68.4%), 질적연구 17편(29.8%), 문헌연구 1편(1.8%) 순으로 나타났다. 숲놀이 연구는 양적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질적연구와 문헌연구가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단일대상 연구가 56편(98.2%).으로 나타났다. 단일대상은 아동 52편(91.2%), 교사 3편(5.2%), 부모 1편(1.8%) 순으로 나타났다. 혼합대상은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1.8%)으로 혼합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필요하다. 물적대상 연구는 자연환경 42편(73.7%), 교육기관 13편(22.8%), 매체 2편(3.5%) 순으로 나타났다. 숲놀이 관련 가정환경 연구는 부족하여, 추후 숲놀이와 관련된 부모, 어린이-부모, 가정환경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섭식 문제를 위한 부모교육의 효과: 체계적 고찰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on Feeding Problem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최연우;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52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섭식 문제에 대한 부모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00년 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Cochrane library, Embase, Ovid,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총 6개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연구의 근거 수준에 따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에 따라 정리하였다. 결과 : 최종 선정된 논문 중 4편이 근거 수준 1이고, 나머지는 근거 수준 3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의 기반이 되는 중재 접근법 중 행동치료가 기반이 되는 논문이 3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모두 근거 수준 1에 해당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섭식 문제를 가진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가정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방법의 부모교육을 알아봄으로써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부모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신생아 스크리닝이 부모에게 미치는 사회심리적 영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Psychosocial Impacts of Newborn Bloodspot Screening on Parents: A Scoping Review)

  • 유경은;김진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137-153
    • /
    • 2024
  • 본 연구는 신생아 스크리닝(newborn bloodspot screening, NBS) 과정이 부모에게 미치는 사회심리적 영향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Arksey와 O'Malley (2005)가 제시한 방법론을 사용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검색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 RISS, KISS, DBpia였으며,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출판된 논문을 포함하였다. 총 749편이 검색되었으며, 32편이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설문지나 면담을 통한 서술적 조사연구였고, 부정적인 사회심리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특히 NBS 양성 결과 통보시 의사소통 방법 및 시기적절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을 얻기 어려운 것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사회심리적 영향을 받았다. NBS에 대한 지식, 교육 및 의사소통의 질과 만족도, 정보의 근원 및 정보제공자의 역량이 NBS로 인한 부모의 사회심리적 영향의 관련 요인이었다. 산전 및 산후의 반복적 교육, 시기적절하고 신뢰할만한 정보제공 및 건강관리제공자와 부모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NBS 과정의 부정적인 사회심리적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하다. 간호사는 NBS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n Adolescent Period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 Parents)

  • 김명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3호
    • /
    • pp.36-46
    • /
    • 1995
  • 본 연구는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가 노인의 생활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들간의 인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가 애정적.권위적.자율적이고 갈등의 정도가 낮았을수록 높았다. 2) 노인의생활만족도는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가 애정적.자율적이었으며 갈등의정도가 낮 았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권위적 관계였을수록 과거 생활만족도는 높았고 미래 생활만족도는 낮았다 또한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현재 성인자녀가 접촉적.정서적 .일치적.기능적.규범 적 결속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구조적 결속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3) 노인의 생활만족도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중 갈등적 관계였다.

  • PDF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개념분석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 최미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05-112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입원 환아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개념을 탐색함으로써 아동간호 실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근거로 1994년부터 2012년 사이에 이루어진 부모의 참여 관련 논문 중 입원 환아 간호, 부모참여를 주요어로 하여 고찰한 논문 30편을 통해 속성, 선행요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속성은 협상, 돌봄 활동 수행, 개별화된 간호 제공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요인은 환아의 연령과 상태, 환아 부모 참여 필요성에 대한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태도 및 상호 이해이며, 결과는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효율적인 파트너십이 이루어지고,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를 임파워먼트시키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개념 정의와 속성은 아동간호실무 이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