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ren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ed on foreigner parent's language education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 연구동향 -이주부모나라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8.12
  • Accepted : 2016.09.05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bilingual education which are focused on foreigner parent's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After searching, total 36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1) relevant researches started from 2009, later then the number of researches kept about 4-6 yearly and reached the peak of 11 (31%) in 2004; (2) a large majority (75%) of the analyzed researches published in the magazines relative to a field of language education or children education; (3) divers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appli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similar with on quantitative ; (4) the researches mainly studied on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67%), and 10 analyzed researches investigated parents and children together 28%, and 9 targeted on parents or one of them (25%), and 5 just on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14%). and, (5) The research topics mainly divided into four fields current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31%), bilingual education (31%), interaction related to bilingual education (22%), suggestion on policy improvement(17%).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on bilingual education and foreigner parent's language education will be provided.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국내 이중언어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교육에서도 이주 부모나라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등재후보 이상 학술지에 게재된 총 3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먼저,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에 관련된 논문은 2009년을 기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꾸준히 4~6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2014년에 11편(31%)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부분(75%) 관련연구 논문들이 언어학 관련 학술지와 아동교육 관련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에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방법이 비슷하게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대상에서 24편(67%)은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중 10편은 부모와 자녀에 대하여 동시에 연구하였고, 9편(225%)은 부모만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5편(14%)이 자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다섯째, 연구내용에서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 31%, 이중언어 교육문제 31%, 상호작용 22%, 정책적 제안이 17%를 차지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의와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다문화가정을 위한 이중언어교육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