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펄스 생성기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Characteristics of Ultrashort Pulse Fiber Laser using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편광유지 광섬유를 이용한 초단펄스 광섬유 레이저 제작 및 특성연구)

  • 김봉규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232-233
    • /
    • 2000
  • 초단펄스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이득 스위칭, 광 변조기, 모드록킹 레이저 등이 있다. 이중에서 모드록킹 광섬유 레이저를 이용한 초단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부피가 큰 단점을 갖고 있지만, 매우 짧은 펄스 폭 생성, 고 출력의 펄스생성, 그리고, 파장 및 주파수를 조절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모드록킹 방법에는 수동형과 능동형이 있다. 수동형 방법은 아주 짧은 펄스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할 수 있지만, 출력이 불안정하고 펄스의 발생주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반면, 능동형 방법은 상대적으로 펄스폭은 넓지만, 안정된 출력과 펄스 발생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 반복률의 안정된 펄스를 사용하는 초정밀 광 계측기나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능동형 모드록킹 광섬유 레이저가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중략)

  • PDF

Implementation and miniaturization of High Order Derivative Gaussian Pulse Generator for DS-UWB (DS-UWB를 위한 고차 미분 가우시안 펄스 생성기의 소형화와 구현)

  • Kim, Dong-Ho;Bang, Gyeong-Nam;Park, Chong-Dae
    • Journal of IKEEE
    • /
    • v.10 no.2 s.19
    • /
    • pp.109-115
    • /
    • 2006
  • In this paper, High order derivative Gaussian pulse generator for DS-UWB communication satisfying the regulation of FCC was proposed and fabricated. In order to transform rectangular signal of 100Mbps to a Gaussian pulse, the fabricated Gaussian pulse generator consists of only two SRD. The output pulse had the widths of 330 psec and amplitudes of 920 mV. In addition, the designed and fabricated dual bandpass filter shows high order derivate characteristics by using micro-strip line and parallel stub to remove WLAN band. We generated the 13th Gaussian pulse restricted frequency spectrum of WLAN band more than -25dB. The pulse had pulse width of 1 nsec and amplitude of 25 mV.

  • PDF

Temporal characterization of sub-10-fs laser pulses using multi-shot frequency-resolved optical gating technique (다중펄스 주파수분해 광게이팅을 이용한 10 펨토초 미만의 레이저 펄스의 시간특성 측정)

  • 이용수;홍경한;성재희;남창희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40-41
    • /
    • 2003
  • (self-focusing)을 이용한 커렌즈 모드록킹(Kerr-lens mode-locking; KLM) 방법을 이용하면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공진기로 100 펨토초(femto=10-13) 미만의 레이저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KLM 티타늄사파이어(Ti:sapphire) 레이저의 발달로 10 펨토초 영역의 레이저 펄스를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넓은 스펙트럼 폭을 가지는 처프거울(chirped mirror)의 사용과 정확한 분산의 보정을 통한 5 펨토초(800 nm 파장의 두 주기에 해당) 영역의 레이저 펄스 생성도 보고되고 있다.

  • PDF

Upgrade and Test of 150MW Pulse Modulator (150MW 모듈레이터의 성능개선과 시험)

  • Kwon, S.J.;Son, Y.G.;Jang, S.D.;Oh, J.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490-1491
    • /
    • 2006
  • 포항가속기연구소 선형${\mu}$가속기의 대전력 RF부품의 시험과 RF증폭을 위해 사용되는 클라이스트론 튜브의 시험용 전원으로 펄스전원인 모듈레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고전적인 방식의 교류전압을 변환하여 직류로 만들고 이 전원을 L-C공진충전에 의해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커패시터에 약 2배의 직류전원으로 충전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전원은 저주파의 대용량 변압기를 사용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부품들의 부피가 크다. 새로운 충전기법을 적용한 펄스전원의 경우는 고주파 인버터 전원을 채택하여 그 부피를 줄이고 지령충전에 의해 펄스를 생성하는 싸이라트론의 애노드에 고전압이 머무는 시간을 줄임으로서 자발방전이나 고전압 아크에 의한 오동작을 최소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전원 방식을 채용한 펄스 모듈레이터의 제어방법의 개선과 부피를 줄여 운전의 효율성을 높인 내용으로 발표하고자 한다.

  • PDF

High-Voltage Pulsed Power Modulator based on single IGBT switch with Fast-Rising Time (빠른 상승률 갖는 단일 IGBT 스위치 기반 고전압 펄스 파워 모듈레이터)

  • Liu, Chang-yu;Cho, Chan-Gi;Song, Seung-Ho;Ryoo, Hong-J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46-48
    • /
    • 2019
  • 본 논문은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DCM) 플라이백 컨버터로 생성한 고전압 펄스를 스파크 갭으로 펄스 상승 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관하여 다룬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된 빠른 상승률 특성을 가지는 고전압 펄스 전원장치는 친환경 가스 처리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스태킹 구조의 펄스 전원 장치는 많은 수의 스위치들과 에너지 저장 소자가 필요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반면, 분 논문에 제안된 전원 장치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체 시스템의 소형화 및 제조 단가를 낮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된 설계 토폴로지는 플라이백 변압기 2차 측에 다이오드의 사용 유무에 따라 두 개의 변형된 회로로 응용 가능 하다. 변압기 2차측에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음의 성분 없이 깨끗한 고전압 출력 펄스를 만들 수 있지만 사용한 다이오드의 전압 정격을 고려해야 한다.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고전압 출력 펄스에 음의 성분이 발생하지만 비용과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PSIM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제안하는 전원 장치의 23kV, 0.5 ㎲, 10 ns rising time의 출력 펄스 발생 성능을 검증하고, 다이오드 사용에 따른 출력 펄스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using Pulse Power Source for Carna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카네이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펄스 전원을 활용한 방전관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 Song, Hyun-Ji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1 no.7
    • /
    • pp.68-74
    • /
    • 2007
  • For carna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compact-low cost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using pulse power source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his paper describes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the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with variation of the output voltage of pulse power source, the quantity of flowing air and the operating number of ozonizer. The important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discharge voltage and current values are proportional to the output voltage of pulse power source. The ozone concentration and generation are proportional to the output voltage of pulse power source and the number of ozonizer. The maximum value of the ozone concentration and generation of the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can be obtained 890[ppm] and 59.7[mg/h] respectively. In the carnation productivity house, when the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is used the carnation is good quality in the uniformity of the carnation stalk thickness and increased the productivity through improvement of the air and the soil.

Study for Transient Pulse Radiation on pMOSFET (pMOSFET의 과도펄스 방사선 영향 연구)

  • Lee, Hyun-Jin;Oh, Seung-Chan;Lee, Nam-Ho;Lee, Min-Su;Lee, Yo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698_1699
    • /
    • 2009
  • 핵폭발 등에서 방출되는 과도펄스(Transient pulse) 형태의 방사선이 반도체 소자에 조사되면 소자 내부에서는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전하가 생성된다. 이 전하들이 일정방향으로 증폭된 광전류가 소자의 고장과 오동작을 유발하거나 극단적으로 소진(Burn out)되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과도방사선 펄스가 입사하였을 때 pMOSFET 소자 내에 생성되는 전자 정공 쌍(EHP)으로 인해 형성되는 광전류가 소자의 방사선 피해로 나타나는 과정 및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반도체 공정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전하들의 거동과 광전류 크기를 시뮬레이션하고, 전자가속기에서 실측시험을 병행하였다. 가속기 주변의 전자장을 인한 큰 잡음으로부터 가속기 펄스신호에 의해 pMOSFET에서 발생된 소신호의 광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 정밀 신호처리 회로를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측시험에서의 결과 비교/분석에서 두 광전류 파형은 유사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andom PRF Pulse Design for Signal Processing Unit of Small Tracking Radar (소형 추적 레이더 신호처리기용 Random PRF 펄스 설계)

  • Hong-Rak Kim;Man-Hee Lee;Sung-Ho Park;Youn-Jin Kim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4 no.2
    • /
    • pp.59-64
    • /
    • 2024
  • The small tracking radar randomly changes the transmission period to avoid deceptive signals such as RGPO (Range Gaet Pull Off) operated on the target. Since the code repeats after a specific section, it becomes difficult to avoid a deceptive signal when the repetition is exposed. In this paper, a more realistic transmission pulse code is generated by adding random code generation through FPGA and system white noise. We present the research results of code generation that generates PRF that can avoid repetition while using pseudo-random code in EPROM using FPGA. Also, the result of designing random PRF pulse was confirmed by applying it to tracking radar.

초단 광펄스와 광롱신 및 광 신호처리

  • 김경헌
    •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7 no.2
    • /
    • pp.40-49
    • /
    • 2003
  • 근래에 들어와 초단 광펄스 생성 기술이 발전되어 다양한 초고속 현상 및 물성 분석 연구에 활용되고 있으며 통신 및 신호처리에 대한 응용 기술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다. 특히 대용량 광통신 기술로는 이미 기술적인 성숙도를 보인 파장분할다중 (WDM) 기술과 더불어 전기적 신호를 다중화하여 광신호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전기적 시간분할다중 (ETDM) 기술이 있으며, 초단 광펄스를 이용하는 40 Gbps 급 이상의 고속 광시간분할다중 (OTDM) 광통신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이 OTDM기술에 있어서는 초단 광펄스 생성 기술과 고속 광신호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술. 광동기신호 재생 기술 등이 주요 핵심 기술을 이루고 있다. 본 글에서는 근래에 들어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광통신용 펨토초급 초단 광펄스 생성 기술과 이를 이용한 40 Gbps급 이상의 고속 광시간분할다중 (OTDM) 광전송 및 광신호처리에 관련된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GMSK Modulation for Bipolar Delta Signal (바이폴라 델타 신호에 대한 GMSK 변조)

  • Bang, Seung-Cheol;Lee, Woo-S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B no.7
    • /
    • pp.581-588
    • /
    • 2013
  • In the basic GMSK, the modulated signals are generated by the preprocessing of NRZ pulse trains with the gaussian low pass filter.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GMSK modulation system with the delta pulse trains. The proposed system constructed with the gaussian pulse generator triggered by the bipolar delta pulse, the differentiator between $+T_b/2$ and $-T_b/2$, and then a matched filter for frequency-modulation function. The spectrum of proposed system was found to be smaller than about 35[%] at 40[dB] attenuated bandwidth, and the center spectrum to be lower than the basic GMSK with zero-crossing prop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