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 소비자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의 가격과 객관적 품질에 관한 비교 연구 - 1990년대를 중심으로 -

  • 백수경;황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50-51
    • /
    • 2001
  • 많은 소비자들이 가치지향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제품의 품질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며, 제품구매시 불완전한 정보 상황에서 빈번히 제품품질의 지표로서 가격을 이용한다고 한다(Peterson & Wilson. 1985). 이와 관련하여 시장에서의 실제 가격과 객관적 품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효율성을 파악한 연구가 각국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패션제품에 관한 가격과 객관적 품질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국내 외적으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객관적 품질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 패션제품의 품질수준을 비교해 보 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격이 제품품질의 지표가 될 수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 시장의 가격과 품질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의 가격과 객관 적 품질의 상관관계가 패션산업범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제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탐색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구매이득은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를 위한 내용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양국의 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중립적 정보원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의 <소비자 시대>와 미국의 에 개 재 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의 상품비교테스트 정보중에서 패션제품군에 관련된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한국의 36개 패션제품군, 470개 제품과, 미국의 40개 패션제품군. 692개의 패션 제품이었으며, 패션산업범주는 여성복, 남성복, 유니 섹스 의류, 스포츠 의류, 유.아동복, 언더웨어. 잡화. 제화류, 침장류, 섬유직물, 화장품. 학생복 등 11 가지 산업범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의 지난 십년간의 가격 과 품질의 상관관계는 매우 약한 정(+)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패션제품의 전체 서열상관계수의 평균은 0.091이었고, 미국의 상관계수 평균은 0.192였 다. 상관계수의 수치만으로 볼 때 한국보다는 미국 패션제품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관계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양국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한국 패션제품의 경우에는 제품군의 가격대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1만원 미만의 저가 제품군과 330만원이상의 고가의 제품군의 경우 부(-)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둘째.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제품군별. 산업범주별 로 상이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패션제품군별로 보 면, 한국의 경우는 가장 높은 '여행용가방(r = 0.707)' 에서 가장 낮은 '자외선 차단화장품(r = -0.58)'까지, 그리고 미국 패션제품군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팬티 스타킹'의 0.820에서 '남성용 런닝슈즈'의 -0.472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알 경우 얻을 수 있는 소비자의 구매이득 을 추산한 결과 패션제품시장에서 완전한 품질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현명한 사람'은, 최고가격의 제품만을 구입한다고 가정한 '부유한 사람들'의 구입방식에 비해 최고 좋은 품질의 상품을 총 지불액의 비율로 보아, 한국의 소비자는 약 50% 정도를, 미국의 소비자는 약 91%나 되는 액수를 절약하여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과 미국 모두 제품군별, 그리고 산업범주별로 상관관계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양국의 소비자들이 패션제품 의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오로지 가격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은 위험하고 비합리적인 구매의사 결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좀 더 합리적인 구매의사결정을 하여 재정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에 관한 신뢰있는 정보의 탐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 PDF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of Fashion Social Brand on Brand Equity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Na, Youn Kue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8 no.2
    • /
    • pp.1-14
    • /
    • 2016
  • 사회적기업의 브랜드를 추구하는 패션 소비층은 개인적인 가치 기준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고 자신만의 감도를 찾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패션 사회적 브랜드는 새로운 각도에서 소비자들을 이해하며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세부적 요인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해 규명하며,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패션사회적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여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전략을 진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bigcirc}{\bigcirc}$ 패션 사회적 브랜드 상품구매경험자를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0.0, AMO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감성적 유대는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감성적 유대,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PDF

A Study on the Message Framing Types of Sustainable Marketing Campaigns of Luxury Impact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Brand Trust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마케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in-Jung Kim;Eun-Jung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245-252
    • /
    • 2024
  •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the impact of the message framing type of a fashion brand's sustainable marketing on consumers' brand tru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shion brand's message framing type increased consumers'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that the recipient's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ea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onsumers' trust in the br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ashion brand's message frame directly had a positive effect in forming consumers' brand trust.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 (한국에서의 윤리적 패션 소비자 행동 - 윤리적 패션 소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

  • Koh, Ae-Ran;Noh, Ji-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2
    • /
    • pp.1956-1964
    • /
    • 2009
  • Understanding ethical fashion consumers in Korea is essential for the expansion of the ethical fashion market. This study analyzed ethical consumers in Korea in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ethical purchase behavior and attitudes. The differences between ethical fashion consumers and non-ethical fashion consumers were investigated using eight variables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PCE), self-direction, benevolence, universalism, social responsibilit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ace saving, and group conform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from April 20 to June 7, 2009. Only the respondents knowledgeable of ethical products or ethical consumption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494 samples were used for analyses.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between two groups were examin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thical fashion consumers and non-ethical fashion consumers in attitudes toward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behavioral intention, PCE, self-direction, universalism, social responsibility, and face saving variables.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were investigated by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For ethical fashion consumers, the attitudes to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were largely influenced by PCE and benevolence. Social responsibility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in guiding behavioral intention. Behavioral intention was also influenced by benevolence and attitude. Group conformity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ehavioral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ignificant guidance for marketers of ethical fashion products. This study is the start of ethical fashion consumer research in Korea and can develop into variable subfields in the future.

버버리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특성과 구매행동 연구

  • 전수영;이선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44-44
    • /
    • 2004
  • 본 연구는 세계적 패션명품인 버버리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과 소비행동의 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초점은 구매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문화가치 및 이 문화가치에 영향을 받은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이 버버리 패션명품구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중략)

  • PDF

국내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이승희;부정화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114-115
    • /
    • 2003
  • 본 연구는 패션 주얼리를 이용하는 소비자특성(과시소비, 패션리더, 상표충성도, 물질주의)과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 성인여성 중에 On-line(TV 홈쇼핑, 인터넷쇼핑, 카달로그쇼핑)과 Off-line (백화점, 대형할인점,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상점, 동네 주얼리 상점)의 패션 주얼리 점포를 통해 패션 주얼리를 구입해 본적이 있는 성인 여성만을 선택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Ethical Ideologies on the Korean Consumers'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Counterfeits (소비자의 윤리의식이 패션복제품에 대한 인식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Mi-Young;Johnson, Kim K.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12
    • /
    • pp.1793-1802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thical ideologies and consumers' perceptions of fashion counterfeits. Forsyth's Ethics Position Questionnaire(EPQ) measuring consumers' ethical ideologies-- idealism and relativism -- was used. College students enrolled at a large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N=31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unterfeit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on their ethical ideologie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on their perceptions toward two of the perceptions toward counterfeit factors: economic and psychological uncertainty. Idealis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ticipants' perceptions toward fashion counterfeit, while relativism was positively related only to participants' perceptions concerning the return-related uncertainty of fashion counterfeits.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consumers' economic, psychological, and return-related uncertain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nt to buy counterfeit goods.

The effect of Fashion Leadership and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Fashion Mobile Commerce (유행선도력과 상거래 특성에 따른 패션 모바일 커머스 수용태도 연구)

  • Na, Youn-Kue;Jeong, Hye-Yeon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5 no.1
    • /
    • pp.1-19
    • /
    • 2013
  • 본 논문은 모바일 패션 쇼핑의 소비자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모바일 패션소비자의 유행선도력(유행선도성향, 의견선도성향, 선도잠재성향)과 모바일 상거래 특성(모바일 편재성, 모바일 개인화, 모바일 위치성)을 패션 수용상황에 적합한 기술수용 관점에서 관련성을 제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및 커머스를 1회 이상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패션 소비자 406명을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소비자의 유행선도력의 유행선도성향과 선도잠재성향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소비자의 모바일 상거래 특성의 편재성은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패션커머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지각된 유용성과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바일 패션커머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모바일 패션커머스에 대한 지각된 신뢰는 지각된 유용성과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패션 소비자의 유행선도력과 모바일 상거래 특성이 패션 모바일 커머스를 확산하는 능력을 지녔음을 제시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의 패션상품 구매의도 형성요인들과 통합할 경우, 보다 설명력 있는 확장된 혁신수용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Consumer need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n Clothing based on Digital Fashion System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섬유제품 수요 경향)

  • Cho, Ha-Kyung;Kim, E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99-99
    • /
    • 2012
  •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대량 맞춤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 및 디지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는 최근 의류 분야에서 주요한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량 맞춤화 의류 제품의 수요는 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최근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인터넷 맞춤서비스를 기반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CAD 등의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하여 디자인, 패턴제작, 재단 등의 자동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을 통해 3차원 바디 스캔,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3차원 Simulation, DID, DTP, 맞춤주문형 제품의 대량 생산기술 등의 단위 기술이 기업단위로 활용되는 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가상쇼핑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섬유패션 산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 전체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 공정을 단축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날염 방식으로, 대량 맞춤형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 중 하나의 단계로 소비자의 수요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대량 맞춤형 의류 제품에 있어 소비자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대량맞춤형 섬유제품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적용 섬유제품에 대한 기초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기초 소비자 태도를 반영하여,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의류 제품의 선호도, 인지도, 수요도 및 구입의향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 적용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의류 제품의 수요 경향을 제시하였다.

  • PDF

The Study about Visual Environment in Fashion Store (Part I) - Focusing on the Elements of Store Visual Environment - (패션 점포의 비주얼(visual) 환경에 관한 연구 (제1보))

  • Kim Seonsook;Jin Sunmee;Hyllegard Kare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12 s.138
    • /
    • pp.1617-1624
    • /
    • 2004
  •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retail store is an important factor to attract consumers to the store, to satisfy consumers, and finally to increase retailers' profits. This study focused on store visual environment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First, how store environment influenced time that consumers spent in a retail store was examined. Next, visual environment elements of the store that consumers perceived important were identified and the elements of store visual environment preferred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retailers can realize importance of store visual environment and can also use the findings to establish a new visual merchandising policy of the store or to improve the store environment new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