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문화

검색결과 1,116건 처리시간 0.026초

사회적 변화에 따른 마터니티 웨어 패션 연구 (A Study on Maternity Fashion in a Changing Society)

  • 박혜숙
    • 복식
    • /
    • 제60권4호
    • /
    • pp.30-44
    • /
    • 2010
  • The definition of pregnancy has changed as society and its values have developed through different periods of history. In the ancient period, the definition of a woman's fertility was that female deities provided fecundity to barren women and barren land, and protected both the pregnant women during the period of gestation and also the land during the time of growth. These goddesses also administered the appropriate ceremonial rituals for conception and childbirth, and for planting and harvesting. After that, for the last 2,000 years, the most conspicuous icon has been "The Virgin Mary with the Infant Christ". Mary was the mother of Jesus Christ and model for Christian women. However, the centuries the image of woman and pregnancy has been changed, modern society through education, careers and job opportunities allows many women to be more than just a wife or a mother. Moreover, in the 21st century, many pregnant women want stylish maternity wear because they are proud and their minds are opened by these new icons of birth culture as like the pregnancy of many famous stars. From th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 study on the meaning of woman's fertility from ancient period to present time by social changes. Secondly,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oncept of the maternity wear for current modern maternity fashion market. Finally, to expect to us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basic data for develop of the new researches of the maternity fashion in the future.

하이패션에 나타난 고딕 시크 (Gothic Chic in High Fashion)

  • 임은혁
    • 복식
    • /
    • 제63권5호
    • /
    • pp.1-17
    • /
    • 2013
  • As style is the center of subcultural identity and the clothes and adornments are the most visible symbol of its membership, the style of Goth symbolizes the strong subcultural identity and acts as the practical basis to demonstrate commitment to the subculture. In the turn of the third millennium, fashion designers have drawn upon and extracted elements from many subcultures to use in their collections. High fashion designers have introduced the Goth style since its inception in the 1980s. The energy and authenticity of Goth has been considered to be desirable in high fashion. The aesthetic property of Goth subcultural style defeats the established notion of standardized fashion and stimulates new consciousness, which makes room for diversification and subdivision. This study attempts to forecast the trends of the 21st century via researching the diffusion of Goth style in high fash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esthetics and styles of Gothic chic, along wit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shion collections from the late 1990s to 2000s as well as the images of street fashion magazines.

하위문화맥락에서 본 패션형태의 변화(1)­Zoot Style을 중심으로 (The Changes in Subcultural Style(1) : Zoot Style)

  • 양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17
    • /
    • 2000
  • This study about the Zoot Style is the first part of a series of research, which is to examine various subcultural styles in 1900s. The main concern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a style, the way how it developed, and the reason it appealed to people. Subculture is a marginallized culture which the subordinal groups in the social structure developed as a means of reaction against the dominant groups of a society. The clothes and decorations of these groups can be regarded as the central expressions of exclusiveness, loyalty and identities for their groups. In 1990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bcultural style and high fashion tend to be blurred, because it has gained more influence on the high fashion. Zoot Suit, adopted and diffused by Cap Calloway in 1940s, is the code of a subculture formed by a special race, class, space, gender, and generation identities. It develops as a reaction, and consequently reflects the struggles against the dominant culture: it is to refuse, appreciate and ridicule the dominant style. The Zoot Style had a great influence both in Paris and Cuba: the Zazous Style in Paris and the Caribbean Style of Cuba are the subcultural styles branched from the Zoot Style.

  • PDF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eauty makeups lips design on the impression formation)

  • 안은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54-16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에 따른 인상형상, 선호 입술과 그 이유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법으로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입술의 색상과 형태가 인상 형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입술 화장에 관한 현대인들의 시각을 규명 할 수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입술색상은 레드, 선호하는 입술의 형태는 표준형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입술 색상 중 레드는 유능성요인이 핑크색상은 사교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뷰티디자인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문화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 개발 연구 - 중국, 베트남, 일본의 민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Contents Refl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ociety - Focused on Folk Paintings in China, Vietnam and Japan -)

  • 박상오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119-127
    • /
    • 2017
  • 세계화시대에 따른 다민족, 다문화사회는 이제 전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우리나라도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기에 더 이상은 단일민족이라는 이데올로기에 머무를 수만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다문화사회관련 국가정책과 연구들은 제도적 측면과 한국문화의 일방적 교육에 국한되어 있기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실질적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는데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국의 문화가 함축적으로 반영된 민화에서 디자인 리소스를 확보하고 생활 속 의식주에 가장 밀접한 섬유제품에 접목시킬 수 있는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서, 문화적 교류에 의한 소통방안을 제시하고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의 결혼 이민자 현황을 기반으로 빈도수 상위 3개국인 중국·베트남·일본의 민화의 특성 분석결과를 통하여 배색 및 텍스타일패턴디자인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섬유상품들에 즉각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다문화사회는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결혼이민자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일본, 필리핀, 캄보디아, 타이, 몽골,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화는 각국의 차별화된 문화가 함축적으로 내제되어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적합하였다. 셋째, 중국, 베트남, 일본의 민화를 활용하여 문양 및 배색 DB구축 및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콘텐츠를 개발한 결과 각국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콘텐츠의 활용도와 상품화의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 구성원 간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공유하고 접하는 정서적·예술적 측면의 화합과 차별화된 관련 상품개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Gangnam and the Formation of Gangnam-style Urbanism : On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 지주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07-330
    • /
    • 2016
  •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한국의 도시화 양상 및 서구의 도시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한국의 삶에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남의 독특한 도시성(urbanism)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선망이 되는 물질적 풍경이자 생활양식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의 특징을 서술한다. 강남적 도시성은 물질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상층이 주거와 자산증식을 위해 소유하는 고급 고층 아파트 단지를 특징으로 하고, 사회문화적 생활양식의 측면에서 정치적 보수성, 사적몰입과 공적 무관심, 학력, 외모, 패션 등에서의 경쟁, 유흥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남적 도시성의 원형은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 전략의 공간선택성 속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형성되었다. 즉 그것은 북한과 대치상황 및 서울로의 인구집중 속에서 강북개발과 영등포개발을 억제하고 강남개발과 아파트를 통해 인구를 급히 분산하고 수용해야 했던 반공주의 국가의 필요성, 서민과 도시빈민을 도시개발에서 공간적으로 배제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특성, 그리고 예외공간과 가격왜곡을 통해 건설자본과 중산층에 특혜를 부여하고 강남의 아파트 건설과 불균등 발전을 촉진한 발전국가의 선별적 주택산업정책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공간 선택성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

  • PDF

장신구의 의상분야 연계를 통한 전시유형 연구 (A Study on Ornaments' Exhibition Type through Connection with Costume Field)

  • 김태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8-65
    • /
    • 2021
  • 몸을 치장하기 위한 오브제는 인류가 시작된 원시시대부터 아주 중요한 문화였다. 사회적 지위나 부의 상징물, 또는 개인적 치장을 위한 장신구는 장식성, 화폐성, 희소성, 역사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지니며 발전해왔다. 그러나 귀중함을 중시하는 전통보다 지적 개념이 더욱 가치 있었던 20세기 후반부터 장신구 분야는 예술적 활동과 미적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작가중심의 표현주의적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 장신구는 소재나 기술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예술장르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표현주의적 성향은 예술성을 강조하면서 1960년대부터 장신구만을 위한 갤러리들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특히 이시기부터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많은 장신구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이처럼 장신구 전문 갤러리의 등장은 장신구가 예술의 한 장르로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장신구를 전시하는 데 있어 인체와 의상의 결합을 통한 두 가지 전시유형의 연구이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전시방식에서 벗어나 패션쇼를 갤러리에 끌어들임으로써 관람자와의 소통을 위한 적극적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두 번째는 장신구와 의상과의 소통을 위해 의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적극적 전시홍보를 위해 패션브랜드 매장에서의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스토리텔링에 의한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무대의상 연구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Pansori Ballet Theater 'Dokkaeba! Dokkaeba!' Based on Storytelling)

  • 유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99-406
    • /
    • 2023
  • 본 연구의 배경은 한류의 확산으로 주목되는 공연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전통 소재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창작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공연창작 과정에 스토리텔링을 도입함으로써 나타나는 차별화된 무대의상 디자인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안무가, 작가, 의상 디자이너가 작품 기획부터 작품 내용 창작까지 스토리텔링 과정에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로 한국적 도깨비는 초월적인 힘을 가진 신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인간이나 사물의 모습으로도 나타나는 일상적이고 친근한 존재로 정의되었다. 그리고 공동으로 창작한 시나리오에 따라서 디자인 된 무대 의상은 기존의 공연에서 뿔이나 장식으로 표현하던 '귀면와'나 '오니'를 연상시킬 수 있는 도깨비의 모습을 지양하고, 퓨전한복과 다양한 조형적인 장신구, 색채 대비를 통한 모던 창작 의상, 질감에 의한 간접적인 사물에 빙의한 도깨비 캐릭터 표현, 일상복 착장 등으로 인간화 된 도깨비를 표현함으로써 차별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도깨비를 주제로 한 새로운 공연 콘텐츠 제작에 기여하고 무대의상 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창작 발레극 <'그' 소녀> 에 나타난 무대의상의 확장성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tage Costumes in the Contemporary Ballet Play <'That' Girl>)

  • 유진영;장소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79-785
    • /
    • 2023
  • 비 언어극인 무용에서 무대의상은 시각적 표현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다. 특히 창작무용에서 무대의상은 기존의 기본적인 역할인 장식성이나 신분을 나타내는 시대성 그리고 동작을 위한 기능성 이외에 좀 더 작품에 밀접하게 관련된 확장적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창작 발레 <'그' 소녀>의 작품에 나타난 무대의상의 확장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무대의상 디자인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는 여 연구의 의의를 부여하고자 한다. 창작 발레극 <'그' 소녀>는 피해자들이 겪었을 공포와 공감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위로를 주제로 2개의 막으로 구성되었으며, 2막의 해방과 '한(恨)'의 춤에서 의상의 확장된 역할이 요구되었다. 의상 디자인은 위안부를 형상화한 '소녀상'에서 영감을 받았으나, 발레 동작의 기능성과 의상에 장치된 끈과 천의 운용의 용이성 등의 전제조건을 바탕으로 3개의 초안 디자인과 재질의 실험을 거쳐 완성되었다. 결론적으로 해방의 춤에서 사용된 끈과 '한(恨)'을 표현한 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무대의상의 시·공간의 확장성, 조형의 확장성, 상징적 표현의 확장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인류학적(人類學的) 분류(分類)에 따른 스트리트 스타일의 발생(發生)과 계보(系譜)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Origination and Genealogy on Street Style according to Anthropology)

  • 이영재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4호
    • /
    • pp.183-203
    • /
    • 2007
  •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useful fundamental information to re-establish the theories of modern fashion by examining the origination and genealogy of street style. The street styles focusing on caucasoid have a variety of genealogies such as western type, beat, teddy boy, hippie, skinhead, punk, neuron-mantic, indie kid, riot grrrl, grunge and techno cyber punk. In the same period, on the contrary, the streets styles focusing on negroid are zootie, hipster, modernist, rude boy, two-tone, rastafarian, funky, B-boy, fly girl, raggamuffine, bhangra, and acid jazz, which are seen as the culture of the large cities formed along Atlantic Ocean and Caribbean sea like England, America and Jamaica. These have root as the main fashion in western society. Ironically, most of the subculture concentrated on the whites were racists. Because of such a reason, the street styles have been formed as resistance culture that was unable to sympathize with their society and characteristics by distinguishing the whites and the colored people. Zootie or hipster that is one of the street fashion styles was formed in the 1940-50s, while the colored people who lived in the west Indies migrated to England or America. As a minimal modernist style called Ivy look in US, in that time, anti-culture formed by teenagers in whitey, teddy boy and mods fashion can be strictly different from the zootie and hipster. The colored people's street styles of the 1960s developed into aggressive and hard forms from the rude boy and two-tone while their resistance toward the whites was stronger. The rastafarian style researched the peak as the colored people's traditional ethnic characteristics or resistance intention for their freedom in the 1970s. In that time, The colored people's street styles of the 1960s developed into aggressive and hard forms from the rude boy and two-tone while their resistance toward the whites was stronger. The rastafarian style researched the peak as the colored people's traditional ethnic characteristics or resistance intention for their freedom in the 1970s. In that time, the street styles of the whites were mostly the skinhead or hippie. Most of them were racists toward the colored people. The punk type on shown on the whites focused on luxury and exaggerative costume. On the contrary, the funky style of the colored people focused on aggressive nihilism and form. With B-boy, fly girl, reggae, rap music, and break dancing in the 1980s, the subculture gradually told on the high fashion as well as the culture between the whites and the colored people. From such aspects, the colored people tried to maintain their uniqu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ir individual values surged by the coming young generation excluded the colored people's characteristic street styles. Focusing on gender, violence and private success among their major concerns, the raga muffin style that represents multi-races and multi-cultures was formed. The jazz style in the 1990s showed cold post-modernistic eclecticism different from that of the 1940s-50s. Simultaneously, the various classes appeared their street styles by emphasizing on each personality. Now that we are living in multi-cultural society, a human race or nationalism concept is getting obscurer. There is no obvious boundary line in the differences between human race and its 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