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매장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143초

중국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 구성요소 특성 분석 (Analysis of VMD Elements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festyle Shops)

  • 김현주;이민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67-278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내 1인가구의 증가 및 소비패턴 등의 변화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샵이 급부상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중국의 라이프스타일 샵을 선정하여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화를 두었고 또한 VMD 구성요소 특성 분석을 통해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라이프스타일 샵-GAROSU, CH'IN, NOME의 VMD의 진열적요소에서 집기와 소도구는 상품컨셉과 디자인에 따라 차별화된 형태 및 재질을 이용하고 있었고, 비주얼이미지의 정보내용, POP의 내용에 있어서 라이프스타일샵의 컨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연출적 요소에 있어서도 VP, PP, IP에 있어서 매장 상품군 및 상품의 진열량에 따라 VP의 형태와 PP, IP의 연출방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후속연구에서 국내 라이프스타일 샵에 관한 연구 및 중국과 국내 라이프스타일샵의 VMD 비교분석 연구를 진행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여자 기성복 매장의 패션 판매종사자의 실태와 역할인식 (The Actual Condition and Role Recognition of Fashion Sales Related Persons in Women's Ready-to-Wear Shop)

  • 구양숙;이정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5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fashion sales related persons and analyze their different role recognition in women's Ready-To-Wear shop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78 fashion sales related persons in department stores and individual shop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rosstabs, $X^2$, t-test, Scheffe's test and ANOVA by using of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role of fashion salespersons, managers participated highly in the merchandise buying plan, actual merchandise buying and advertisement, and shopmasters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salespersons and keeping good relation with customers and display.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shopmasters in sales promotion. Shops with shopmasters had regular sales and filed up customer cards. 3. Shopmasters and salespersons attached importance to fashion information, market information, sales result information, and managers attached importance to customer information, enterprise environment information in utilizing of informations. Managers considered customer survey very important but shopmasters and salespersons did not. Shopmasters, managers, and salespersons all attached importance to customers' preference survey as customers' information sourc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urvey, buying method survey, preference survey, street fashion survey, brand identity survey and advertizement effect survey of customers by the different roles of fashion salespersons.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merchandise knowledge, service and after service in sales service recognition by the different roles of fashion salespersons.

  • PDF

패션 브랜드 매장에서의 관계 형성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브랜드 관심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중 액티브 시니어 소비자 비교를 중심으로 - (Marketing strategy effects on brand interest and consumer behavior to establish a consumer relationship in fashion brand stores - Comparing of Korean and Chinese active seniors -)

  • 이상인;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5호
    • /
    • pp.634-650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on the brand interest and behaviors among Korean and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and whether this effect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A survey was conducted by having participants complete questionnaires administered by a research firm.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EFA, CFA, SEM, the metric invariance test,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relationship marketing positively affected both brand interest and consumer behavior. Although service marketing positively affected brand interes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behavior. In other words, brand interest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behavior through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Korean and Chinese active consumers in terms of how relationship marketing affected their brand interest, but a difference existed in how it affected their behavior. Service marketing had a greater influence on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brand interest than on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However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how service marketing affected their behaviors. Finally, brand interest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behavior through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but not on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In conclusion,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should be used to enhance the brand interest among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and business activities should be planned by building relationships with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to affect their behavior.

김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위해평가 모델 개발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Model for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b)

  • 박경진;오덕환;하상도;박기환;정명섭;천석조;박종석;우건조;홍종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84-491
    • /
    • 2005
  •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는 국민건강에 영향을 주는 잠재된 위해를 연구하여 식품내 존재하는 병원성미생물과 관련한 위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깁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QMRA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식품위생관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여, 식품안전 분야에서의 QMRA의 필요성과 활용성을 알리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QMRA 모델은 매장에서부터 최종소비에 이르기까지 4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미생물 성장모델과 조사자료 그리고 확률분포가 김밥의 최종소비에서의 S. aureus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S. aureus에 대한 양-반응모델이 없는 관계로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S. aureus의 오염수준을 잠재적인 위해를 결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5 log CFU/g이상을 잠재적 유해수준으로 가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최종 소비되는 김밥에서 이 유해수준을 초과할 가능성은 30.7%로 나타났다. 김밥에서의 S. aureus의 오염수준은 평균 2.67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 분석에서는 매장에서의 김밥 보관온도 및 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김밥 매장에서는 현실적으로 보존시간 관리가 어렵다고 한다면 보관온도를 $10^{\circ}C$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QMRA는 식품 내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평가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식품위생관리에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삼의 분석방법별 기준인 ginsenoside -Rg1과 -Re의 함량비($Rg1/Re{\Leq}3.87$)에 부합되었다.도에서 MA 저해 효과는 쑥갓>미나리>참깨의 순으로, 각각 54, 48, 29%를 나타냈다. 참깨는 20, $100{\mu}g/mL$의 농도에서처럼 가장 작은 효과를 보여줬고, 쑥갓은 50%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는 참깨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줬지만 Lipid MA asaay에서는 그에 비해 가장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여진다.ificantly more inclusive. As a result of the evolution of new fibers, materials, processes and markets, we assert that a new "ENGINEERING WITH FIBERS" (EwF)(중략)web.cnu.ac.kr/~fabric이다. 제작된 멀티미디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결과 수강생(32명)의 96.9%가 보조자료로 사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자료가 실험관련 교과목 수업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고, 87.5%가 활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자료에 만족하며, 75%가 기존의 교과서와 비교하여 더 많이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개인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은 패션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가 하면, 많이 다루어진 주제라 할지라도 개념이나 용어가 통일되지

장신구의 의상분야 연계를 통한 전시유형 연구 (A Study on Ornaments' Exhibition Type through Connection with Costume Field)

  • 김태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8-65
    • /
    • 2021
  • 몸을 치장하기 위한 오브제는 인류가 시작된 원시시대부터 아주 중요한 문화였다. 사회적 지위나 부의 상징물, 또는 개인적 치장을 위한 장신구는 장식성, 화폐성, 희소성, 역사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지니며 발전해왔다. 그러나 귀중함을 중시하는 전통보다 지적 개념이 더욱 가치 있었던 20세기 후반부터 장신구 분야는 예술적 활동과 미적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작가중심의 표현주의적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 장신구는 소재나 기술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예술장르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표현주의적 성향은 예술성을 강조하면서 1960년대부터 장신구만을 위한 갤러리들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특히 이시기부터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많은 장신구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이처럼 장신구 전문 갤러리의 등장은 장신구가 예술의 한 장르로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장신구를 전시하는 데 있어 인체와 의상의 결합을 통한 두 가지 전시유형의 연구이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전시방식에서 벗어나 패션쇼를 갤러리에 끌어들임으로써 관람자와의 소통을 위한 적극적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두 번째는 장신구와 의상과의 소통을 위해 의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적극적 전시홍보를 위해 패션브랜드 매장에서의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40~60대 남녀의 골프웨어 구매 및 선호실태조사 (A Survey on the Purchase and Preference of Golf Wear for Men and Women in Their 40s, 50, and 60s)

  • 백경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727-737
    • /
    • 2023
  • 본 연구는 40~60대를 위한 골프웨어 설계 및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 1회 이상 라운딩 활동과 골프 연습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는 의도표집된 대상자 64명을 대상으로 골프웨어 구매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골프웨어는 상설할인매장에서 구매하고 TV 및 인터넷광고를 통하여 정보를 활용하며, 구매빈도는 연간 1~2회로 연간 구입비 50만원~100만원 미만, 1회 지출 비용 20만원~5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골프웨어 구매 시 디자인을 먼저 고려하고 여성은 흰색, 남성은 검은색·회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남성은 PK 칼라의 단추여밈 스타일, 여성은 라운드 네크라인의 니트 스타일을 선호하는 편이었고 상의여유량은 여성은 세미 피티드, 피티드, 남성은 세미 피티드, 루즈한 핏을 선호하여 유의차를 보였다. 골프웨어 제작 시 고려사항으로 젊어 보이는 디자인에 대한 응답결과가 연령이 낮을수록 비율은 높아져 연령에 맞는 디자인을 우선시하여 골프활동을 위한 기능성을 반영한 골프웨어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