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이프 계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ability Analysis of Piping System Conveying Unsteady Flow (비정상 유동을 포함한 파이프계의 안정성 해석)

  • 박철희;이우식;홍성철;김태룡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512-1521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유속과 압력등이 시간과 위치의 함수로 표현되는 비정상 유체 가 흐를 때 그 유동 특성이 파이프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비정상 유동을 포함한 파이프계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유동 변수가 파이프계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A Study on the Nonlinear Behavior of Check Valve System (체크밸브의 비선형거동에 관한 연구)

  • 박철희;홍성철;박창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35-41
    • /
    • 1993
  •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거대한 플랜트(plant)를 포함하여, 원자력 발전소 와 로켓트 등과 같이 구조적 안전성과 정확한 성능의 확보가 극히 중요시되 는 설비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파이프계 (piping system)는 강성 또는 연성재료 및 각종 valve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 고압 고속의 유체가 파이프 내부를 흐를 때 일으키는 진동현상 및 플랜트의 과도운전 상황에서의 일어나는 수격현상(water hammer 또는 steam hammer)과 이로 기인한 제반 진동문제는 안전성확보 측면에서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유체유발진동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파이프계에 장착된 밸브에 대한 연구는 Weaver등에 의하여 실험적, 이론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들은 유동방정식에서 비정상 베르누이 방 정식을 사용하여 내부유동방정식을 간략하게 유도하였으나, jet flow에 의한 유체의 운동량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해석되어 그 결과에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크밸브(check valve)가 부착된 파이프계에서 일어 나는 유체유발진동 및 안정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여, 파이프계의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원자력 발전소와 같이 구조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플랜트를 국내 기술로 설계 시공하려는 국내 실 정에서 이로 인한 파이프계에 발생할 수 있는 유체유발진동과 안정성을 예 측할 수 있는 해석이론은 파이프계의 설계 및 운전조건의 선정에 있어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A Study on the Vibration Responses of Piping Systems by Pulsation Flow (맥동류에 의한 파이프 계의 진동응답에 관한 연구)

  • Lee, Dong-Myung;Choi,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6
    • /
    • pp.68-75
    • /
    • 1997
  •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vibration response of piping systems due to pulsation flow, a transfer matrix method is presented. Fluid-pipe interaction is formulated using wave equation for flow velocity and pressure, which depends on position and time. From the wave equation, transfer matrix is obtained. The dynamic responses of piping systems induced by pulsation flow appeared to depend upon fluctuation fluid velocity and pressure occurrnece from pulsation, and beating phenomena were observed near the resonance. Consequently, the dynamic behaviors of piping systems appeared to the same as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flow pattern of the pipe, and are determined by the inside fluid flow.

  • PDF

Detection of turbid water generated pipe through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관망에서 역추적 계산법을 이용한 탁수 발생관 탐지)

  • Kwon, Hyuk Jae;Kim, Hyeong Gi;Han, Ji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2-482
    • /
    • 2023
  • 상수도관은 사용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며, 노후화된 상수관은 내부적으로 부식, 이물질 퇴적, 균열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결국 수질문제로 연결되어, 탁수사고 발생 확률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 상수도관의 경우 매설년수의 증가로 인해 내구연한이 도래한 상수관망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서울시 문래동 수질사고, 2019년 인천 붉은 수돗물 사고, 2022년 안양 동안구 탁수사고, 2022년 여수시 웅천 탁수사고 등 관의 노후화로인한 탁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수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치고 있다. 현재 정수장 및 상수관망에 설치된 탁도계를 통해 수질에 대한 감시를 진행하고 있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모든 상수도관에 탁도계를 설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제한적인 탁도계의 개수를 통해 수질에 대한 감시 및 관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탁수사고 발생 시 발생 원인분석 및 최초 발생위치 결정이 쉽지 않으며, 보수 보강을 통한 상수도관의 정상화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에서 탁수 발생 시 최초 발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상수도관망에 적용하여 탁수발생 파이프를 탐지하였다. 탁수사고 발생 시 실측된 수질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임의의 파이프에서 탁수가 발생하였다고 가상의 탁수 발생시나리오를 가정하였으며, 완전혼합농도식을 통해 관망에 설치된 탁도계의 NTU(Nethelometric Paultity Unit) 농도를 계산하여 가상의 탁수발생 시나리오를 상수도관망에 적용하였다. 이후, 역추적 계산기법을 통해 파이프의 초기 NTU 농도를 변화시켜주며 관망내 설치된 탁도계의 NTU 농도를 계산하였으며, 가상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계산된 탁도계의 NTU 농도와 역추적 계산법을 적용하여 계산된 탁도계의 NTU 농도의 Percentage Error를 비교/분석하여 탁수 발생 파이프를 탐지하였다. 분석결과, 가상 시나리오의 최초 탁수발생 파이프와 역추적 계산법을 적용하여 탐지한 최초 탁수발생 파이프의 위치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역추적계산을 통한 탁수발생 파이프 탐지기법을 실제 관로 교체사업에 활용한다면 파이프의 개선 우선순위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수도 관망의 유지관리에 활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상수관망 시스템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ystem Architecture for Effective Point Cloud-based Reverse Engineering of Architectural MEP Pipe Object (효과적인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건축 MEP 파이프 객체 역설계 처리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 Kang, Tae-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9
    • /
    • pp.5870-5876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ystem Architecture for Effective Architectural MEP Pipe Reverse Design(PRD) based on the Point Cloud and derive the consideration. To do this, the requirement and use-cases related to the MEP pipe reverse design work were defined and the architecture for the reverse design automation was proposed. To identify a consideration for finding the architecture issues, a prototype was developed using the architecture and evaluated.

The Bend Modelling Technique in the Vibration Analysis of the Exhaust System (배기계 진동해석에서의 굴곡부 모델링 기법)

  • 김윤영;이장명;김영호;김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88-93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배기계의 진동해석과 관련하여, 배기계 파이프에 대한 보 모델링기법을 제안하였다. 굴곡부가 통상의 직석보로 모델링될 때는 실제보다 고유진동수가 상당히 높게 평가되므로, 이 굴곡부의 강성을 적절히 수정해 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적 변형에너지개념을 이용하여 실제 엔지니어들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면서도, 합리적인 기법을 제시하였다. 실제 배기계의 중앙파이프의 진동해석에 적용해 본 결과 이 기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Heat Pipe Heat Exchanger (히트파이프 열교환기)

  • 이영수;이기우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9
    • /
    • pp.805-815
    • /
    • 1995
  • 히트파이프에 관한 연구는 구미, 일본 등 선진 각국뿐만 아니라, 중국, 독립국가연합 및 동구권 에서도 다년간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석유파동 이후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 폐 열회수 장치가 많이 개발되면서 히트파이프를 전열소자로 사용한 폐열회수 장치가 상당히 늘어나 이에 소요되는 히트파이프의 생산량도 급격한 신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히트파이프 자체가 응답성이 좋고, 구조가 간단하며, 전열성이 뛰어난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 문이라 하겠다.그 응용분야는 인공위성으로부터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전기장치 전자소자의 냉각, 음향기기의 냉각, 태양열과 지열의 유효이용, 플라스틱 금형의 냉각, 공작기계의 주축냉각, 포장 기계, 주방기기, 전력케이블의 냉각, 엔진 및 브레이크의 냉각 등 응용분야가 광범위하여 급격 하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히트파이프와 관련된 학술적인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을 뿐,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산업계에서도 관련제품의 대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일부 제작업체에서는 제품이 나오고 있으나 축적기술결여로 그 성능면에 있어서 보증이 어려워 업계의 연구개발에 대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PDF

Vibration Analysis of the Pipeline with Internal Unsteady Fluid Flow by Using Spectral Element Method (스펙트럴요소법을 이용한 내부 비정상류를 갖는 파이프에 대한 진동해석)

  • Seo, Bo-Sung;Cho, Joo-Yong;Lee, U-Si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6 no.4 s.109
    • /
    • pp.387-393
    • /
    • 2006
  • In this paper, a spectral element model is developed for the uniform straight pipelines conveying internal unsteady fluid flow. The spectral element matrix is formulated by using the exact frequency-domain solutions of the pipe-dynamics equations. The spectral element dynamic analysis is then conduct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present spectral element model and to investigat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fluid characteristics of an example pipeline system.

Vibration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Piping System by Transfer Matrix Method (전달행렬법을 이용한 3차원 파이프 계의 진동해석)

  • 이동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 /
    • v.7 no.6
    • /
    • pp.110-116
    • /
    • 1998
  • For the vibration analysis of 3-dimensional piping system containing fluid flow, a transfer matrix method is presented. The fluid velocity and pressure were considered, that coupled to longitudinal and flexural vibrations. Transfer matrices and point matrices were derived from direct solutions of the differential equations of motion of pipe conveying fluids, and the variations of natural frequency with flow velocity for 3-dimensional piping system were investigated.

  • PDF

Designs of Pipe Fitting with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and Kinematic Constrained Equations (파이프 체결을 위한 3차원 측정 및 기구적 구속조건 기반의 설계 방식)

  • Yang, Jeong-Ye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54-61
    • /
    • 2022
  • Ship is a huge system including a variety of pipe arrangements. Pipes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design layout, however the end poistion of pipes are not well matched owing to its measurement and construction errors. In this situation, the customized pipe fitting is frequently designed to connect with both pipes, the position of which are manually measured. This paper focused that these two coordinates are measured by point cloud from RGBD sensor and the relative transformation induced by positional and orientational differences is calculated by inverse kinematics in robotics theory. Therefore, the result applies for the methodology of the pipe connection design. The pipe coordinate that is estimated by the matching and the probabilistic RANSAC method will be verified by experiments. The kinematic design parameters are computationally calculated by using the minimum degree of freedom that connects both pipe coordin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