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이프라인 안정성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해양플랜트 파이프라인 가열방식에 따른 유동 안정성 실험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low Assurance due to Heating Method in Offshore Pipeline)

  • 손상호;박재범;이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1호
    • /
    • pp.45-53
    • /
    • 2015
  • 해양플랜트에서 생산된 석유 또는 가스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반하는 경우, 가스 하이드레이트나 왁스와 같은 고형물이 쉽게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유동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해양플랜트 파이프라인에서 생성된 가스 하이드레이트 또는 왁스를 제거 또는 방지하기 위해 최근 파이프라인 외벽에 히터를 감아 전기적으로 가열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프라인을 가열하는 기존의 외부 가열형 방식에 비해, 새로운 형식의 내부 스월형 히터를 고안, 설계 및 제작하여 파이프라인 내에 설치하여 유동 안정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고안된 내부 스월형 히터와 기존의 외부 가열형 히터의 파이프라인 출구 단면에서의 온도 분포와 열적 혼합 등의 열 및 유동 성능 평가 결과, 내부 스월형 히터가 외부 가열형 히터에 비해 열적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nterprise-Level Data Pipeline Monitoring System)

  • 채소영;박지수;김혜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31-334
    • /
    • 2023
  •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 손실 및 장애 상황을 감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복잡한 데이터 파이프라인에서 각 단계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문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파이프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안정성을 향상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모니터링을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운영, 그리고 외부서비스 및 인프라 관점으로 분류 및 설계하고 각 관점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었는지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비즈니스 및 연구 분야의 데이터 처리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문제 상황을 조기에 탐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극한지 파이프라인 안정성 평가를 위한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 연구 (Investigation on the Vibrating Wire Strain Gauges for the Evaluation of Pipeline Safety in Extreme Cold Region)

  • 김학준
    • 지질공학
    • /
    • 제26권4호
    • /
    • pp.583-591
    • /
    • 2016
  • 극한지에 매설된 파이프라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는 진동현식 변형률게이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극한지용 변형률 게이지가 상용화되어 있으나 상당히 고가이므로 국내 기술에 의한 게이지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의 서미스터(thermistor)가 내장된 일반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와 본 연구를 위해 제작된 PT 100이 내장된 변형률 게이지의 온도 측정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서미스터는 $-15^{\circ}C$ 이하의 저온에서는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극한지에서는 PT 100의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일반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의 경우 저온에서 변형률 측정의 오차가 증가하였으나 인코넬을 이용하여 제작된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는 저온에서 일반 게이지보다 더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극한지용 변형률 게이지를 개발할 계획이다.

동토 파이프라인 매설공사 시 장비하중에 의한 트렌치 안전성 분석 (Analysis of Trench Slope Stability in Permafrost Regions According to the Equipment Load)

  • 김종욱;김정주;이재혁;;유한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25
    • /
    • 2017
  • 최근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한 우려로 대체에너지 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같은 극한지에 매장된 천연가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국내 건설환경과 상이한 극한지에서의 가스배관 공사의 시공 경험과 매뉴얼이 부족하다. 특히 시공 중 트렌치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트렌치 사면의 붕괴로 인한 인부들의 낙상, 건설 장비들의 파손, 공기 증가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극한지의 트렌치 안정성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야쿠츠크(Yakutsk) 지역을 동토지역의 계절별 지반조건의 기준으로 정하였으며, 직경 30 in.와 40 in.의 파이프라인 내리기 시공과정을 가정하였다. 지반조건은 여름과 겨울, Silt와 Peat, 사면의 각도($0^{\circ}$, $10^{\circ}$, $20^{\circ}$)별로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였다. 파이프라인 시공 사례 분석을 통해 Pipelayer의 장비하중이 트렌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이에 Pipelayer 장비가 트렌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Pipelayer 장비 종류별, 트렌치와 Pipelayer 장비 사이의 거리별, Pipelayer의 종방향 간격별로 Case를 나누어 수치해석을 시행하였다. 수행결과 사면경사가 클수록, 장비와 트렌치 사이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사면의 안전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경사가 $20^{\circ}$일 때는 사면의 예상 파괴면이 Pipelayer 장비에서 트렌치까지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면경사가 $20^{\circ}$이하인 겨울철 지반에서는 트렌치 안정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극지 해양 파이프라인 내부 유체의 온도별 영향 및 내부 충돌침식 분석 (Numerical Study fo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Temperature on Offshore Arctic Pipeline and Impingement Erosion Analysis by using Thermal Flow Simulation)

  • 조철희;이준호;장춘만;황수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01-205
    • /
    • 2015
  • 극지와 해양에서 파이프라인은 최저 약 $-40^{\circ}C$의 매우 낮은 극한 온도에 노출된다. 이 경우 내부 유체는 상온에서와는 다른 유동특성을 나타내며, 3차원 유동해석을 통해 극한온도에 의한 내부유체의 압력, 온도, 속도, 액적분포 등의 특성 변화를 분석해야 한다. 또한 영하의 온도로 인해 내부 유체의 액적이 응결되며, 이로 인해 곡관부에서 충돌침식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충돌침식은 장기간 운용되는 자원 이송망 등의 파이프라인의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다성분 다상 유동 해석을 통해 극한 온도조건의 극지 및 해양 파이프라인에서 내부유체의 유동특성 및 충돌 침식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저 파이프라인의 동적 자유경간 설계: 동해 남부해역 가스전에의 응용 (Design of Dynamic Free Span for a Subsea Pipeline: Application to the Gas Fields in the South of East Sea of Korea)

  • 박한일;김창현;최경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1-86
    • /
    • 1996
  • 해저 파이프라인은 해저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의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하나, 열악한 해양환경하에 있어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로 인한 피해는 막대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 파이프라인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주된 요인 중의 하나인 동적 자유경간을 해석하였으며, 해저 파이프라인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자유경간의 허용길이를 산출하였다. 자유경간의 허용길이는 와동방출의 진동수와 자유경간의 고유진동수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경계조건에 따른 허용길이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자유경간 양단의 해저지반은 탄성기초로 간주하였으며, 이를 선형 및 회선 스프링으로 치환하여 경계조건을 일반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러 가시 지반조건에 대한 동석 자유경간의 정확한 허용길이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무차원화 된 곡선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우리나라 동남해역 천연가스전에 설치예정인 해저 파이프라인에 적용하였다.

  • PDF

파이프라인된 IIR 필터의 저잡음 VLSI구현 (Low-noise VLSI Implementation of Pipelined IIR Filters)

  • 태기철;최정필;신승철;정진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4B호
    • /
    • pp.788-795
    • /
    • 2000
  • SLA(Scattered look-ahead) 파이프라인 방법은 IIR 필터의 고속/저전력 응용에 효율적으로 쓰여질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파이프라인된 필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지만, 필터의 극점들이 어느 임계지역에 밀집될 때 큰라운드 오프 노이즈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약된 Remez exchange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저잡음 구현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이 방법에서는 극점들이 밀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임계지역에 위치한 극점들의 각을 제약하여 원하는 필터의 스펙트럼을 얻는다. 본 논문에서는 제약된 각을 가지는 극점들의 반지름을 극점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제안한 방법에 의해 향상된 스펙트럼 특성 또는 라운드오프 노이즈 영향의 감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고집적, 저전력 특성을 갖는 저잡음 IIR 필터 설계 (Design of low-noise II R filter with high-density and low-power properties)

  • 배성환;김대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2A권1호
    • /
    • pp.7-12
    • /
    • 2005
  • Scattered look-ahead (SLA) 파이프라인 방법은 디지털 IIR 필터의 고속 또는 저전력 응용분야에 효율적으로 사용된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통하여 파이프라인된 필터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지만 필터의 극점들이 임계지역에 밀집될 때에는 큰 라운드오프 잡음에 영향을 받게 된다. 파이프라인된 필터에서 밀집된 극점들을 피하기 위해 수정된 Remez exchange 알고리즘과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극점의 각도와 반지름을 제한한 IIR 필터 설계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향상된 주파수 응답과 감소된 계수 민감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모의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33{\%}$의 면적감소와 $45{\%}$의 전력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일반화된 경계조건을 갖는 해저파이프라인의 동적 자유경간 결정 방법 (Determination of Dynamic Free Span Length for Subsea Pipelines with General Boundary Conditions)

  • 박한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0-295
    • /
    • 2001
  • 해저파이프라인은 부식. 지반 불안정, 앵커 충돌 등으로 인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해저파이프라인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주된 요소중의 하나는 자유경간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경간을 형성하고 있는 해저파이프라 인에 대해 축방향 하중을 고려하고 경계조건을 일반화시킨 경우에 대해 동적 자유경간의 허용길이 변화를 해석하였다. 자유경간 양단의 해저지반은 탄성기초로 간주하였으며, 이를 선형 및 회전 스프링으로 치환하여 경계조건을 일반화시켰다. 동적 자유경간의 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무차원화 된 곡선을 얻었다. 이 곡선은 자유경간을 갖는 해저파이프라인의 설계에 유용하게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예제 연구를 통하여 그 적용방법을 소개하였다.

  • PDF

공식발표 통계지표의 적시성 확보를 위한 대안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제안 (Proposal an Alternative Data Pipeline to Secure the Timeliness for Official Statistical Indicators)

  • 조용복;김도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89-108
    • /
    • 2023
  • 본 연구는 공식발표 통계지표의 적시성 확보를 위해 기존 Nowcasting 방법론을 살펴보고 실시간 경기 현황 분석이 가능한 Real-time nowcasting 모형을 운용하기 위한 대안 데이터와 그 수집 체계를 점검한다.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에서 경기지표를 예측할 수 있는 고빈도 실시간 데이터를 탐색하고, 나아가 데이터의 수집, 가공, 모형화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구축과정을 제안한다. 더불어 Real-time nowcasting 모형 추정 및 데이터 관리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적시성 및 안정성을 갖춘 공식 통계지표의 예측 프로세스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