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워효과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4초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연구 (Mediator Effect of Empowerment on Readiness for Self-sufficiency of Poor Adolescents)

  • 김희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135-157
    • /
    • 2004
  • 본 연구는 빈곤가정 청소년들이 빈곤의 어려움에서 벗어나 미래에 빈곤을 탈피하는데 필요한 자립준비를 예측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빈곤가정 청소년과 관련된 요인들이 임파워먼트를 통해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와 직접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빈곤가정 청소년 240명을 대상으로 빈곤가정 청소년 관련요인(가족관계, 조직참여경험, 교사지지, 문제행동, 사회복지 서비스이용, 친구관계)이 자립준비에 대해 임파워먼트(개인내적, 대인관계, 정치사회)를 통한 간접효과를 갖는지를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가족관계, 친구관계 변수는 개인내적, 대인관계, 정치사회 임파워먼트를 통해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참여경험은 대인관계 임파워먼트와 정치사회 임파워먼트를 통해 그리고 문제행동은 대인관계 임파워먼트를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임파워먼트가 빈곤가정 청소년들이 자립을 준비하는데 매개기능을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임파워먼트가 매개기능을 하고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임파워먼트의 매개기능을 이론화하는 데 실증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 PDF

한부모 여성의 조직 참여 특성이 임파워먼트 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젠더의식 변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ingle Mothers' Community Participation on Empowerment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Gender Consciousness)

  • 이인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2호
    • /
    • pp.189-216
    • /
    • 2010
  • 본 연구는 한부모 여성들이 조직 참여를 통해 공동의 목표 수행과 정서적 유대 등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근거로 조직 참여 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젠더의식 변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의 14개 기관의 한부모 여성 4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직 참여 특성과 관련된 임파워먼트 실천수준, 젠더의식변화, 임파워먼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부모 여성들이 참여하는 조직 유형별로 임파워먼트 실천수준과 젠더의식 변화, 그리고 임파워먼트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일자리훈련형이 세 가지 모두 높게 나타났고, 사회복지기관형이 낮은 편이었다. 둘째, 조직 참여 특성 중 조직 수준에서는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이, 개인 수준에서는 조직 참여 정도와 임파워먼트 실천수준이 임파워먼트의 효과에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 실천수준과 임파워먼트 효과 간의 인과관계에서 젠더의식 변화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여, 임파워먼트 실천수준이 한부모 여성들의 임파워먼트의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젠더의식 변화가 매개될 때 더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점과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스마트무인기 파워효과 풍동시험 데이터 보정 (Data Correction of Wind Tunnel Test Results for Smart UAV Power Model)

  • 조태환;정진덕;최성욱;김양원;장병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0-135
    • /
    • 2007
  • 스마트무인기 파워효과 풍동시험은 2005~2006에 3달여간 항공우주연구원 중형아음속풍동에서 수행되었다. 풍동시험 모델은 정적시험 모델을 활용하였고, 틸트로터 형태의 추진장치를 시험부에 고정하여 파워효과를 모사하였다. 파워효과는 기본적으로 로터가 장착된 시험과 로터가 장착되지 않은 시험의 차로 구해지나, 이 때 두 시험간의 흐름각 차이 및 지지부 간섭량 변화 등을 적절히 보정하여야 한다.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brarian'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최흥식;유평수;정세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5-12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헌신성, 조직효과가 사서의 연령과 결혼여부 및 현 도서관 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으며,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사서의 임파워먼트와 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의 공공도서관 6곳과 대학도서관 4곳을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방법의 하나인 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 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총 148명의 설문을 통계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pc+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은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첫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과 조직효과는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은 차이가 없다. 둘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셋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경력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넷째, 변인들 간의 상관에서 가장 높은 상관은 영향력과 임파워먼트 전체, 역량성과 임파워먼트 전체, 자기결정력과 임파워먼트 전체의 순으로 높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9.3%의 설명력, 헌신성은 5.6%의 설명력을 조직효과에 가지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 김민수;이현지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225-250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자본과 삶의 질에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권내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최종 26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최종 연구모형을 채택하였고, 사회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임파워먼트, 삶의 질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고,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가 향상되고, 향상된 임파워먼트는 최종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자본을 높이고, 임파워먼트를 강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안하고 있다.

부모-자녀 관계와 대학 적응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ollege Adjustment)

  • 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21-431
    • /
    • 2019
  • 본 연구는 부모-자녀 관계가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21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9년 5월부터 6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관계는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및 대학 적응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부모-자녀 관계는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를 통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간접효과(매개효과)가 있었다. 부모-자녀 관계가 임파워먼트를 통해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효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대학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부모-자녀 관계 개선, 사회적 지지를 통한 정서적 친밀감 향상, 대학 적응에 강력한 요인인 임파워먼트 강화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남희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175-1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사회복지 이용 및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215명을 대상으로 편의모집(purposive sampling)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조직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규명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있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결과 먼저 심리적 임파워먼트은 직무만족에 대해 각각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에 있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의미성은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권한에서도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역량 역시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검증결과를 통하여 앞서 제시한 4개의 가설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검증결과를 통한 연구의 함의는 우선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임파워먼트가 조직에 유용한 관리기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효율적인 조직효과성, 즉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임파워먼트의 증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진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Behavioral Integrity)

  • 고민정;한주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217-230
    • /
    • 2020
  •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을 바탕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사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함에 있어서 행동적 진실성이 수반될 때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더욱 강해지는지 확인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과 행동적 진실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40대 이하 직장인 28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임파워링 리더십, 직무열의,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고, 행동적 진실성에 따라 집단을 나눈 후 다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열의를 향상시켰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직무열의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적 진실성은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적 진실성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행동적 진실성이 높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열의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지만, 행동적 진실성이 낮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상사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면 조직구성원은 자신에게 부여된 권한과 책임, 자율성을 기반으로 업무수행 과정에서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의 향상을 경험한다. 따라서 기업은 관리자 계층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강화하여 직원들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을 높이는 기반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둘째, 행동적 진실성은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실무자들은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를 구성원 개인이 내면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Middle Managers in Organizations)

  • 오주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23-336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기업체 중간관리자 329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임파워먼트, 소진을 측정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중간관리자 소진 연구에서 중요하게 보고된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직무스트레스 변인에 더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환경적, 개인 내적 적응요소의 관점에서 소진을 통합적으로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권상집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7-194
    • /
    • 2022
  • 기존 연구에서는 꾸준히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을 향상하는데 있어 리더십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수많은 연구가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를 언급하고 있지만 벤처창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기업가적 리더십에 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이를 감안, 본 연구는 조직 내 혁신 분위기의 조절효과 및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토대로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내 중소·벤처기업에 근무하는 161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의 효과는 조직의 혁신 분위기가 높을 때 더욱 강하게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 내 혁신 분위기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