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열력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41초

회전근 개 파열의 병리 생태학에서의 논쟁점: 퇴행성 파열 (Controversy in Pathophysiology of Rotator Cuff Tear: Degenerative Tear)

  • 김영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71-76
    • /
    • 2008
  • 회전근 개 파열의 병리 생태와 증상이 없는 파열이 증상이 있는 파열로의 진행 과정은 아직 불분명하여 많은 논란이 있다. 이는 유전적 소인, 회전근 개를 싸고 있는 조직의 외인성 충돌, 건 자체 내의 내인성 퇴행성 변성과 같은 여러 요소들이 관여한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회전근 개의 퇴행성 변화는 회전근 개의 해부학 및 역학적 환경과 관련이 깊다. 또한 파열된 회전근 개 표본의 조직 병리 소견으로 골에 부착되는 건의 기시부에서는 퇴행성 변성이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건의 신장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건의 퇴행성 변성의 진행이 내인성이냐 외인성이냐의 의문에 대해 저자는 내인성에 의해 퇴행성 변성이 진행된다고 생각하며 비록 회전근 개 파열이 여러 요소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되기는 하나, 회전근 개 파열의 일차적 원인은 존재하는 퇴행성 변화일 것으로 사료된다.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급성 완전 파열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관절경의 유용성 (Efficacy of Arthroscopic Diagnosis and Treatment for Acute Complete Metacarpophalangeal Ulnar Collateral Ligament Tears of the Thumb)

  • 전철홍;김동철;진병수;김채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4
    • /
    • 2005
  • 목적: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손상은 완전 파열 시 파열된 인대의 연속성을 방해하는 Stener 병변 때문에 수술적 치료인 탐색술 및 봉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저자들은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손상에서 관절경을 이용,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고 관절경적 수기에 대한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완전 파열로 관절경적 진단 및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5.6세었다. 관절경으로 척측 측부 인대 손상, Stener 병변 등을 진단하였으며 관절경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관절 불안정성 여부, 무지 의 집게력 파악력, 관절 운동 범위 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13예중 5예에서 Stener 병변이 관찰되었다. 전예에서 추시상 무지 중수 수지 관절의 불안정성이 없었고 무지의 집게력 및 파악력 은 건측의 92%, 94%로 회복되었으며 중수 수지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52 도로 건측과 비슷하였다. 결론: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손상에서 관절경 수기는 Stener 병변의 확진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연부조직 손상을 최소화시켜 조기 기능 회복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 PDF

Suture anchor를 이용하여 건봉합술을 시행한 심수지 굴건 지연파열 - 증례 보고 - (Tenorrhaphy using Suture anchor in delayed rupture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in the distal phalanx - A case report -)

  • 김성완;이승림;양보규;김우;이성엽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7-120
    • /
    • 2011
  • 심수지 굴건의 견열성 파열은 상대적으로 드문 손상으로 심수지 굴건의 파열은 주로 심수지 굴건이 수축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원위지절의 신전에 의해 일어나거나 중립위의 수지 말단에 강한 신전력이 작용하여 과신전되어 발생한다. 본 증례는 22세 남자 전투 경찰대원으로 방패를 쥔 상태에서 진압훈련 후 2일째 심수지 굴건의 파열이 발생한 드문 경우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소아에서 발생한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의 봉합 나사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repair of medial meniscal root tear using suture anchor in adolescent - A case report -)

  • 강민수;김경택;최성종;박원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36
    • /
    • 2011
  •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방 골 기시부의 파열은 주로 중년 이상의 나이에 특별한 외상력 없이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관절내 손상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1세 남아의 외상에 의한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을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봉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중관절와상완 인대의 단독파열 - 증례보고 - (Isolated Middle Glenohumeral Ligament Tear - A Case Report -)

  • 최창혁;권굉우;김신근;이상욱;장호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106
    • /
    • 1998
  • 일반적으로 견관절의 전방안정력은 하관절와상완인대에서 주역할을 하며, 불안정성으로 인한 병변은 관절순과 골관절와사이의 분리(Bankart lesion)로 나타난다고 한다. 중관절와상완인대는 특히 중등도의 외전위치에서 견관절의 전방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적 안정물로써, 다른 관절와상완인대의 동반손상없이 단독으로 파열된 례는 문헌고찰상 보고된 바가 없었다. 본 증례의 경우 특별한 외상력없이 내원 1년전부터 우측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과 동통성운동제한의 소견을 보였으며 상기 증상은 3개월 전부터 점차 악화되었다. 관절경 소견상 관절와순 부착부위에서 파열된 중관절와상완인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반된 관절와순의 부분파열 및 관절와관절면의 미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열된 중관절와상완인대와 비후된 활막을 변연절제 후 8개월 정도의 단계적 재활운동을 시행하였으며 동통과 관절운동의 회복소견을 볼 수 있었다. 본저자들은 관절경검사상 중관절와상완인대의 단독파열소견을 보인 39세의 여교사를 치료하였으며 그 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외상에 의한 횡격막 파열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20 cases of Diaphragmic Rupture)

  • 이계선;정진악;금동윤;안정태;이재원;신제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94-398
    • /
    • 1999
  • 배경: 외상에 의한 횡격막 파열은 사회환경의 변화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 질환의 조기발견 및 치료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횡경막파열로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여 조기발견 및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1998년 4월까지 본원 흉부외과교실에서 술전 및 술후 외상성 횡경막파열로 진단 받은 20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술전 임상양상과 진단율, 동반질환 및 술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사회활동력이 왕성한 연령의 남성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둔상 75%, 관통상 25%이었다. 좌측횡경막파열 16례(80%), 우측 3례(15%), 양측 1례(5%)였으며 증상으로는 흉통 및 호흡곤란이 가장 많았다. 술전 진단은 10례(50%)에서 가능하였으며 술중 진단 6례(30%), 만기 진단 4례(20%)였다. 술후 창상감염이 가장 많은 합병증이었으며, 사망은 2례가 있었다. 결론: 외상 후 조속한 진단을 위해 임상증상 및 흉부 단순촬영상 이상소견이 의심되면 지속적인 관찰과 검사가 필요하며 동반질환의 치료를 위해 관련된 과간의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노후 분말소화기의 폭발사고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Causes on Explosion Accidents of a Old Dry Chemical Powder Extinguisher)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91-99
    • /
    • 2012
  • 분말소화기를 조작하거나 해체하는 과정 중에 아주 드물게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부식된 분말소화기는 조작 중 또는 해체(폐기)과정 중에 폭발하면 로켓과 같이 위쪽으로 솟아오르면서 소화기 조작자나 해체과정 중인 사람의 머리나 가슴, 목 부위 등을 쳐서 사상사고를 발생하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분말소화기파열사고사례를 알아본 후, 파열사고의 원인과 파열로 인한 반동력, 예방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소화기 파열사고의 예방대책으로 훈련이나 교육에 부식된 소화기의 사용 자제, 부식된 소화기에 대한 위험성 교육 및 홍보, 기설치 가압식분말소화기에 파열위험성 표시, 내용연수 표시 의무화, 일정기간 경과 소화기에 대한 수압검사 제도의 도입 검토, 폐소화기 회수시스템 구축, 폐소화기의 재활용시스템 구축, 노후소화기관련 상담창구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통한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의 치료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Using Suture Bridge Technique)

  • 서재성;박성혁;김원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1-187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 대하여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을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으로 치료받은 9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 (12~23개월)이었다. 파열의 크기는 중파열이 43예, 대파열이 47예였다.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 KSS, ASES, UCLA,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휴식 및 운동 시 평균 VAS 점수는 각각 수술 전 2.56, 6.94에서 최종 추시 시 0.96, 1.70으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UCLA 점수는 수술 전 평균 17.08점에서 최종 추시 시 31.1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최우수가 31예 (34%), 양호가 49예 (54%), 불량이 10예 (12%)였다. 최종 추시 시 60세 이하인 경우 31.47점, 61세 이상인 경우 30.69점이었으며 (p=0.344), 중파열인 경우 31.23점, 대파열인 경우 31.11점이었고 (p=0.924), 비외상군이 31.10점, 외상군이 31.23점이었다 (p=0.929). 결론: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하여 동통의 감소 및 견관절 기능 향상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믿을만한 수술적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수술 당시 연령, 외상력 유무는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행대동맥 수술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한 대동맥궁 침투성 궤양의 파열 (Ruptured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of the Aortic Arch in a Patient with a Previous History of Replacing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 김재범;최세영;박남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47-650
    • /
    • 2008
  • 대동맥수술 후 대동맥질환의 재발은 주로 하부에 대동맥류의 형태로 나타나며 상부에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매우 드물다. 대동맥류 수술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에서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의 근위부에 걸쳐 발생한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의 파열을 완전순환정지 하에 인조혈관을 사용하여 패취봉합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발생한 독립된 2개의 반월상 연골 낭종 - 1예 보고 - (2 Separate Meniscal Cysts Arising from Tears of the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서무삼;박형택;김상효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4-217
    • /
    • 2005
  • 슬관절의 반월상 연골 낭종은 흔하지 않은 병소로 내측보다는 외측 반월상 연골에 더 흔하게 발생하며, 대개 반월상 연골의 수평파열과 동반되어 있다. 본 증례는 특별한 외상력 없이 내측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와 후 외측부에 종 파열 및 후각부의 횡파열과 동반된 독립된 2개의 반월상 연골 낭종을 가진 24세 남자 환자로, 관절경을 이용한 낭종 감압술과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치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