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틀 간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 Focus on Creativity 'within a Frame' and 'between Frames'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관성 -틀 내 및 틀 간 창의성을 중심으로-)

  • Chuiim, Choi;Jee-young, Park;Sun-Kyung, L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5
    • /
    • pp.515-524
    • /
    • 2022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creativity within and between the framework. Within-frame creativity is divided into theoretical creativity and experimental creativity that operate within the paradigm, and between-frame creativity refers to theoretical creativity that brings about paradigm shif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ategories within and between the frames. As a resul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ly understood scientific creativity as the scientific creativity within a frame. And they consider scientific creativity in various ways i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creativity aspects within a frame. On the other hand, they thought that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 was possible in terms of experimental creativity within a fra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attributes of scientific creativity that can be considered in science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direction.

De Morgan Frames (드 모르간 틀)

  • 이승온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7 no.2
    • /
    • pp.73-84
    • /
    • 2004
  • Stone introduced extremally disconnected spaces as the image of complete Boolean algebras under his famous duality between Bool and ZComp and they turn out to be projective objects in various categories of Hausdorff spaces and completely regular ones are exactly those X with Dedekind complete C(X, ). In the pointfree setting, extremally disconnected frame (= De Morgan frame) are those with De Morgan condi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historical aspect of De Morgan frame together with that of De Morgan.

  • PDF

R&D 사업평가에서 S&T 정책평가로의 전환에 관한 탐색 연구 : 사업군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 Gang,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7-127
    • /
    • 2017
  •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 및 성과평가법 7조에 따라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장기간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 사업간 중복조정 또는 연계가 필요한 사업, 다수 중앙행정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 국가적 사회적 현안으로 대두된 사업 등에 대해 특정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사업군 특정평가는 "08년부터 "17년까지 총 17회 실시되었으나 사업군 단위의 평가보다 사업군 내 개별사업 중심으로 평가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업군 특정평가의 평가틀을 제시하는 것으로 기존의 사업 단위 특정평가 방법을 차용해왔던 방식을 사업군 단위 특정평가에 적합한 평가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평가의 계층구조에서 사업평가와 정책평가 사이에 위치한 사업군 평가에 대한 틀 제시는 향후 과학기술분야의 정책평가 도입을 위한 탐색연구에 해당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기존에 수행되었던 사업군 특정평가의 사례들에 메타평가를 수행하여 현 사업군 평가틀의 한계를 조사하고, 국내외 정책평가 사례 분석을 통해 사업군 특정평가 틀에 활용 가능한 벤치마킹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존 사업군 평가의 한계와 선행 정책 평가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사업군 특정평가틀을 제시하였다. 메타평가는 선행 문헌조사를 기초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메타평가틀을 구성하여 적용하였고, 국내외 정책평가 사례에 대한 선정과 분석은 정책평가 전문가들의 지문과 면접조사를 활용하였다.

  • PDF

Creating Generic Cluster Indicators based upon an Agent-centred Cluster Framework (행위주체 중심 클러스터 사고 틀에 기반한 클러스터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g, Jun-Ho;Kim, Hag-S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3
    • /
    • pp.416-441
    • /
    • 2010
  •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a framework articulating a suite of indicators of cluster development, based upon existing work on the economic geography of clusters, cluster frameworks and indicators and cluster policies. Unlike other work the framework adopted here emphasizes adaptive and proactive roles played by agents, whether individual or collective, within the cluster when understanding it as a learning environment to capture an implication made from adopting the cluster perspective. Some possible indicators are operationalized and suggested even if they are not definitive and exhaustive.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the specific indicators suggested can provide policy-makers and key stakeholders in clusters with a proper set of tools for measuring the level of cluster development, maneuvering a broader strategic planning exercise for successful cluster development.

  • PDF

Development of an Analysis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Communities (지역사회 기반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틀 개발)

  • Jun-Ho Son;Seonyou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6 no.1
    • /
    • pp.87-10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essential cont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a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community issues, which can be used by citizen instructors in the community. To develop the analytical framework, 24 climate environmental education specialists were consulted seven time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final analysis framework was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I-CVI and S-CVI coefficient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xpert panel was verified using Fleiss' Kappa coefficient. The final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three analytical areas (program objectives, program content, program evaluation), seven analysis items, seven analysis indicators, and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analysis indicators. In particular, by adding detailed explanations for the analysis indicators,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increased, and the objective nature of the analysis framework was firmly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analytical framework for a community-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program by citizen instructors.

Selection of Stratification Variables Under a New Sampling Frame : A Case Study for the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계속조사 표본설계에서 추출틀 변경에 따른 층화변수 선정: 국민여행실태조사 사례연구)

  • Park, Hyeon-Ah;Park, Seung-Hwan;Jeon, Jong-Woo;Park, Jin-Woo
    • Survey Research
    • /
    • v.11 no.3
    • /
    • pp.103-114
    • /
    • 2010
  •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opulation information of target variables when a new sampling design for successive survey is executed. In a research of the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we propose a method for selection of efficient stratification variables which are found in a combination of a existing sample data and a new frame list. At first, if there isn't common identification number between the frame list and the sample data, we find a device to substitute for absence of identification number. At second, we suggest a method to search stratification variables correlated with target variables using statistical methods like regression analysis.

  • PDF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Framework for Dialogic Argumentation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Discourse Clusters and Schemes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 Ko, Yeonjoo;Choi, Yunhee;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3
    • /
    • pp.509-521
    • /
    • 2015
  • Argumentation is a social and collaborative dialogic process. A large number of researcher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structure of students' argumentation occurring in the scientific inquiry context, using the Toulmin's model of argument. Since SSI dialogic argumentation often presents distinctive features (e.g. interdisciplinary, controversial, value-laden, etc.), Toulmin's model would not fit into the context. Therefore, we attempted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for SSI dialogic argumentation by addressing the concepts of 'discourse clusters' and 'discourse schemes.' Discourse clusters indicated a series of utterances created for a similar dialogical purpose in the SSI contexts. Discourse schemes denoted meaningful discourse units that well represented the features of SSI reasoning. In this study, we presented six types of discourse clusters and 19 discourse schemes. We applied the framework to the data of students' group discourse on SSIs (e.g. euthanasia, nuclear energy, etc.)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amework well explained the overall flow, dynamics, and features of students' discourse on SSI.

An Application of the Interpretive Social Science to the Landscape : - A Paradigm for Landscape Design - (경관해석을 위한 해석적 사회과학 개념의 응용: -조경설계를 위한 개념적 틀-)

  • Kim, S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5 no.1
    • /
    • pp.1-8
    • /
    • 1987
  • 최근 인문사회과학은 지역적 특수성과 문화적 배경(context)를 무시하고 법측과 체계(system)을 추구하는 자연과학의 개념을 인간사회에 적용하려는 여러 이론들이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법치주의에 의한 법인간적인 해석보다는 지역적이고 문화적 상황하에서 인간사회의 문제를 이해하려는 경향이 지금까지 행태(behavior)나 사회구조(social structure system)의 이해를 통해 인간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는 전체의 맥락(context)이나 주변의 연관관계를 통해 의미를 이해하는 책(text)의 해석(interpretation)의 비유를 그 틀(paradigm)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예술과 미의 문제도 같은 체계(system)속에서 이해하여 현대의 전통, 문화와 대중으로부터 분리된 예술과 미로부터 전통, 문화, 개인과 생활이 공명할 수 있는 본래의 예술과 미를 찾으려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문화 이론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 원리와 이론의 축면에서 경관(landscape)을 해석하고 경관의 의미(미를 포함한)체계(meaning system)을 분석하여 설계언어(design language)를 찾아내며 이를 설계에 응용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 틀(paradigm)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인터렉티브 하이브리드 미디어 응용기술 -MPEG-4 SNHC를 중심으로-

  • 김형곤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3 no.2
    • /
    • pp.44-58
    • /
    • 1998
  • 최근의 멀티미디어 기술은 정보의 디지털화와 온라인화에 따라 가전, 컴퓨터, 통신 및 방송 기술이 융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대화형의 하이브리드 멀티미디어 기술을 그 특징으로 하고있다. 하이브리드 멀티미디어는 컴퓨터 그래픽 및 미디(MIDI) 기술로 인위적으로 생성한 2D/3D그래픽 및 음향을 실제의 자연적인 영상과 소리에 추가하여 합성하므로 생성된다. MPEG-4는 이렇게 인위적으로 합성되거나 자연적인 영상 혹은 음향 정보의 디지털 하이브리드 멀티미디어 부호화를 목적으로 하며, 활성화된 혼합 미디어의 내용기반 처리, 상호, 동작 및 사용자의 쉬운 접근 등을 가능하게 한다. SNHC(Synthetic-Natural Hybrid Coding)는 기존의 수동적인 미디어의 전달뿐 아니라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인터랙티브 응용 분야까지 다루고 있으며, 통합된 시공간 부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시각, 청각, 2차원,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등 다양한 형태의 표준 AV(Aural/Visual) 객체를 처리한다. 표준화는 주로mesh-segmented 비디오 부호화, 구조물 부호화, 객체간의 동기화, AV 객체 스트림의 멀티플렉싱, 혼합 미디어 형태의 시-공간 통합화 등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틀이 제공되면, 대화형 하이브리드 멀티미디어라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미디어로는 경험하지 못하는 다양한 응용과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Layered Architecture of the AToN-based Hyper Connectivity Industry Focusing on Japan's Strategic Technology Roadmap 2025 (만물지능통신 기반 초연결 산업의 계층구조 분석 -일본 경제산업성 기술전략맵을 중심으로-)

  • Ha, W.G.;Choi, M.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4
    • /
    • pp.40-53
    • /
    • 2012
  •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 간의 의사소통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만물지능통신은 통신의 대상을 사람-사물-공간-시스템으로 확장한 초연결(hyperconnectivity) 네트워킹을 전제로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만물지능통신 기반의 초연결 산업 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스마트 혁명 이후의 IT 산업 분석틀로 부상한 CPNT(Content, Platform, Network, Terminal) 계층구조를 적용함과 동시에 초연결 산업의 준거틀로 일본 경제산업성 기술전략맵에 포함된 미래 사회의 삽화 내용을 원용했다. 동 기술전략맵에서는 2025년을 실현연도로 상정하여, 기술이 개발된 미래 생활환경을 삽화를 통하여 기술하고 있다. 동 삽화의 구도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초연결 산업은 사람-사물-공간-시스템 간의 초연결로 특징지을 수 있고, 콘텐츠-플랫폼-단말-네트워크 계층구조로 재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초연결 산업 생태계의 기본 구도로서 천지인(天地人)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