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징 검출

Search Result 2,37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Robust Facial Feature Detection with Edge Map and Adaboost (Egde Map과 Adaboost를 이용한 강인한 얼굴 특징점 검출)

  • Shin, Gil-Su;Kim, Yong-Gu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761-766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커널 Edge Map 방식의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는 방법과 Adaboost를 이용한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좀 더 강인한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해 낸다. 커널 Edge Map을 이용한 방법은 기존의 10개의 커널을 이용하여 검출된 Edge를 이용하지 않고 좀 더 빠르게 검출해내기 위해 2개의 커널을 이용하여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해 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얼굴의 특징점 후보군들에서 Adaboost를 이용하여 좀 더 정확하고 빠른 특징점을 찾을 수 있게 된다. Adaboost를 이용한 방법은 각각의 특징점들을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을 하고 실시간으로 특징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Edge를 이용한 방법으로 이미지의 전처리를 하여 후보군을 찾고 그 후보군과 Adaboost를 이용한 후보군들의 조합으로 인해 좀 더 강인하게 얼굴의 특징점을 찾을 수 있다.

  • PDF

Object Detection Method with Non-local Feature Fusion (비지역적 특징 융합을 이용한 물체 검출 기법)

  • Choi, Jun Ho;Lee, Min Kyu;Song, By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32-34
    • /
    • 2019
  • 최근 딥러닝 기반의 다양한 물체 검출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딥러닝 기반 물체 검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력영상에서 추출된 특징 지도를 강화하는 비지역적 특징 융합과, 이를 이용한 물체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입력영상에서 CNN 을 통해 추출한 특징 지도를 비지역적 특징 강화 블록을 통해 강화한다. 해당 블록 내에서 입력된 특징 지도는 먼저 여러 리셉티브 필드를 갖는 특징 지도로 분기된다. 그리고 분기된 특징 지도들은 비지역적 특징 융합 모듈에 의해 융합되어 강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화된 특징 지도는 비지역적 문맥 정보가 강화된 특성을 가지며, 해당 특징 지도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물체 검출을 수행한다. Pascal VOC 공인 데이터세트를 통한 실험 결과, 제안 기법은 기존 비교 기법 대비 향상된 검출 성능을 보인다.

  • PDF

Extraction of kidney's feature points by SIFT algorithm in ultrasound image (SIFT 알고리즘으로 kidney 특징점 검출)

  • Kim, Sung-Jung;Yoo, JaeCher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13-31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ultrasound image에서 특징점을 검출하는 것과 object dectection을 위한 keypoints가 object에 올바르게 위치하는지를 검증하는 실험을 진행한다. 특징점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으로는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SIFT)과 Harris corner detection 을 적용하여 검증한다.

  • PDF

Robust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AAM and Gabor Feature Vectors (AAM과 가버 특징 벡터를 이용한 강인한 얼굴 인식 시스템)

  • Kim, Sang-Hoon;Jung, Sou-Hwan;Jeon, Seoung-Seon;Kim, Jae-Min;Cho, Seong-Won;Chung, Sun-T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2
    • /
    • pp.1-10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AAM and Gabor feature vectors. EBGM, which is prominent among face recognition algorithms employing Gabor feature vectors, requires localization of facial feature points where Gabor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However, localization of facial feature points employed in EBGM is based on Gator jet similarity and is sensitive to initial points. Wrong localization of facial feature points affects face recognition rate. AAM is known to be successfully applied to localization of facial feature poi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ial feature point localization method which first roughly estimate facial feature points using AAM and refine facial feature points using Gabor jet similarity-based localization method with initial points set by the facial feature points estimated from AAM, and propose a fac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localization method. It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combined localization perform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Gabor similarity-based localization only like EBGM.

Fac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Face Feature Evaluation Function (얼굴특징 평가함수를 이용한 얼굴인식 알고리즘)

  • 김정훈;이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484-48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CCD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얼굴영상에서 피부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하고 얼굴특징자인 눈, 코, 입의 얼굴특징 벡터를 추출한 후, 벡터들로부터 특징 평가함수를 적용하여 개인의 얼굴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대하여 얼굴 피부색의 정보와 명암도 정보를 동시에 사용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한 후, 검출한 얼굴 영역에서 특징점인 눈, 코, 입 등을 추출한 다음, 각 특징 점들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특성과 상관성을 이용한 얼굴특징 평가함수를 구성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230 장의 얼굴영상에 대하여 실험에 적용한 결과 얼굴검출 효율과 인식 성능을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The Real-Time Face Detection based on Simple Feature (간단한 특징에 기반한 얼굴 검출)

  • 임옥현;이우주;이경일;이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7-2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사각형 특징과 계층적 분류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는 다섯 가지 형태의 기본적인 특징 모델을 바탕으로 20*20 크기의 훈련 영상에 적용하여 많은 초기 특징 집합을 구성하였다. AdaBoost(Adaptive Boost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을 통하여 초기 특징 집합 중에서 얼굴 검출하는데 강인한 집합들만을 선택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제 실험에서 90% 이상의 높은 검출율을 확인하였고 초당 10프레임의 실시간 검출에도 성공하였다.

  • PDF

The Real-Time Face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using Pan-Tilt Camera (Pan-Tilt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검출 및 추적 시스템)

  • 임옥현;김진철;이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814-81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을 이용한 알고리즘으로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을 움직이는 Pan-Tilt 카메라상에서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는 얼굴 검출을 위해 다섯 종류의 간단한 웨이블릿을 사용하여 특징을 추출하였고 AdaBoost(Adaptive Boost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층적 분류기를 통하여 추출된 특징들 중에서 얼굴을 검출하는데 강인한 특징들만을 모았다. 이렇게 만들어진 특징집합들을 이용하여 입력받은 영상에서 초당 20프레임의 실시간으로 얼굴을 검출하였고 영상에서 얼굴 위치와 Pan-Tilt 카메라 위치를 계산하여 실시간으로 움직임을 추적하는데 성공하였다.

  • PDF

A Scale-Space based on Bilateral Filtering for Robust Feature Detection in SIFT (SIFT 알고리즘의 강인한 특징점 검출을 위한 양방향 필터 기반 스케일 공간)

  • Kim, Seungryong;Yoo, Hunjae;Son, Jongin;Oh, Changbum;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79-82
    • /
    • 2012
  • 컴퓨터 비전에서 영상 매칭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기술 중에 하나이다. 강인한 영상 매칭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독특한 특징점을 검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기존의 SIFT나 SURF 등 영상 매칭 알고리즘은 등방성 가우시안 필터링을 사용한 스케일 공간을 생성하여 특징점을 검출한다. 이러한 기존의 특징점 검출 방식은 스케일 공간에서 영상의 경계선을 모호하게 만들어 정확한 특징점 검출을 어렵게 만들고 영상 매칭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FT 알고리즘의 강인한 특징점 검출을 위하여 양방향 필터링을 사용하여 스케일 공간 생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스케일 공간 생성 방식은 스케일 공간에서 영상의 경계선을 보존해 줌으로서 강인한 특징점 검출을 가능하게 하여 영상 매칭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왜곡이 존재하는 영상들의 매칭에서 제안하는 특징점 검출 방법이 적용된 SIFT 알고리즘은 기존의 SIFT 알고리즘보다 우수한 영상 매칭 결과를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of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or Finger Vein Recognition (지정맥 인식을 위한 특징 검출 알고리즘 개발)

  • Kim, Taehoon;Lee, Sangjo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7 no.9
    • /
    • pp.345-350
    • /
    • 2018
  • This study is an algorithm for detecting vein pattern features important for finger vein recognition. The feature detection algorithm is important because it greatly affects recognition results in pattern recognition. The recognition rate is degraded because the referen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inger position change. In addition, the image obtained by irradiating the finger with infrared ligh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image background and the blood vessel pattern, and the detection time is increased because the image pre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For this purpose, the presented algorithm can be performed without image preprocessing, and the detection time can be reduced. SWDA (Down Slope Trace Waveform) algorithm is applied to the finger vein images to detect the fingertip position and vein pattern. Because of the low infrared transmittance, relatively dark vein images can be detected with minimal detection error. In addition, the fingertip position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stage to compensate the decrease in the recognition rate. If we apply algorithms proposed to various recognition fields such as palm and wris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biometric feature detection accuracy and reduction of recognition performance time.

Real-Time Landmark Detection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in Surveillance (서베일런스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실시간 특징점 검출)

  • Kang, Sung-Kwan;Park, Yang-Jae;Chung, Kyung-Yong;Rim, Kee-Wook;Lee, Jung-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7
    • /
    • pp.123-128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landmark-detection system of object for more accurate object recognition. The landmark-detection system of object becomes divided into a learning stage and a detection stage. A learning stage is created an interest-region model to set up a search region of each landmark as pre-information necessary for a detection stage and is created a detector by each landmark to detect a landmark in a search region. A detection stage sets up a search region of each landmark in an input image with an interest-region model created in the learning stage. The proposed system uses Fast Fourier Transform to detect landmark, because the landmark-detection is fast. In addition, the system fails to track objects less likely. After we developed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environment video. As a result, the system that you want to track objects moving at an irregular rate, even if it was found that stable track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achieve superior performance using various data sets to previously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