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성 차이검사

검색결과 1,793건 처리시간 0.024초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성격 특성의 차이 분석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and Normal Children)

  • 김유미;안창규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75-99
    • /
    • 2004
  • 본 연구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성격 특성의 차이와 영재아동의 성별에 따른 성격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237명과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중 담임교사를 통해 학교에서의 성취(집단지능검사나 학업성취 등)가 상위 5% 이내이거나, 교사가 영재로 지목한 학생들을 K-WISC-III를 실시하여 IQ지수가 130이 넘은 아동 108명을 대상으로 5요인 아동용 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은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나 친화성은 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재여아와 영재남아는 성격 측면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요인에서 영재남아는 신경증의 하위요인인 수줍음(위축)과 개방성의 하위요인인 영리성이 영재여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외향성의 하위요인인 자극추구성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동의 정서적 안정이나 적극성, 열정, 그리고 사물과 상황을 바라보는 개방적인 사고와 높은 성취욕구와 유능감 등이 영재아동의 두드러진 특서이라 할 수 있으며 영재아동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성의 차이를 고려하기보다는 개개인의 성격 차이를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쌀을 이용한 약과의 조리과학적 연구

  • 김주의;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7.2-217
    • /
    • 2003
  • 쌀가루를 이용한 약과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Texture 특성 및 튀김과정에서의 참기름의 변화상태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관능검사의 결과, 100Mesh 의 쌀가루에 baking powder를 첨가한 실험군 Ss 가 가장 선호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의 약과 형태인 S0 과 비교할 때 큰 차이는 없었다. 종합적인 선호도에 기여한 요인으로서 맛, 냄새가 p < 0.01 수준에서, texture 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Ss 는 S0보다 단맛, 구수한 맛이 강하고, 기름 냄새가 약하여 맛, 냄새는 선호되었으나, texture 는 선호되지 않았다. 2. texture특성의 측정결과 모든 실험군은 비교군보다 handness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실험군 중에서도 handness는 쌀가루의의 입자도 보다 팽화제 첨가에 따른 영향이 커서 소주를 넣은 실험군 보다 baking powder를 첨가한 실험군이 더 부드러웠다. 3. handness는 경과시간에 따라 Ss가 연화되는 현상을 보였으나, 50보다는 훨씬 단단하였다. 쌀가루에 밀가루를 25% 정도 첨가하면 handness를 매우 완화시킬수 있었다. 4. 약과반죽 속의 참기름은 튀기는 과정중에 40% 정도 유출되는 결과를 보였으므로, 식용유로 일부 대체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나 맛 향기를 고려한 적정수준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요망된다.

  • PDF

내용 영역에 대한 성취수준별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 차이 분석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at Each Achievement Level in Content Domains)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5-42
    • /
    • 2016
  • 남녀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밝히는 것은 그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첫 걸음이다. 이것은 한 번의 검사로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소수의 피험자로는 일반성을 잃을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여러 해에 걸쳐서 피험자가 배운 내용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야 객관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0~2014년에 전수평가로 치러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다루었다. 그로부터 성취도 점수와 평균 정답률 등을 검사 전체, 문항 유형, 내용 영역 측면에서 정리하면서 성취수준별로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녀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은 방안을 찾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정상 성인의 신체적 특성과 기능적 움직임 검사에 대한 융합적 상관관계 분석 (Convergence Correlation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Movement Screen in Healthy Adults)

  • 김현승;조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87-93
    • /
    • 2020
  • 본 연구는 신체적 특성과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의 융합적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정상 성인으로 193명을 대상으로 단일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Ver 프로그램으로 T-검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검사 방법 중 능동 뻗은 다리 올림 검사와 몸통 안정성 푸쉬업 검사 영역에서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어깨 가동성 검사와 능동 뻗은 다리 올림 검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FMS의 검사에서 체지방률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능동 뻗은 다리 올림에서 여성이 기능적 움직임의 질이 높았으며, 몸통 안정성 푸쉬업에서는 남성이 기능적 움직임의 질이 높았다. 그러므로 남성은 하지의 유연성을 보강해야하며, 여성은 상체 근력과 몸통의 안정성 운동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수준을 달리한 호두 빵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alnut Bread with Varied Levels of Resistant Starch)

  • 강남이;김혜영;이인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0-29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을 0%, 10%, 20% 및 30%로 하여 호두 빵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검사, 관능검사 및 기호도 검사를 통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10% 시료군과 대조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수분함량은 난소화성 전분을 대체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완성된 빵의 부피는 대조군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10%와 20% 시료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의 밝은 정도는 난소화성 전분을 대체한 비율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빵의 경도는 10%와 20% 시료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빵의 검성과 깨짐성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대조군과 30% 시료군이 강하게 평가되었다. 빵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고소한 맛은 대조군이 가장 특성이 강하게 평가되었고 떫은맛은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이 높아질수록 떫은맛이 강해지므로 향후 떫은맛을 개선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빵의 질긴 정도는 10%와 20% 시료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특성을 나타내어 부드럽게 평가되었다. 빵 내부의 조밀성은 대조군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30% 시료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의 기호도 검사 결과 조직감의 기호도는 10% 시료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난소화성 전분으로 10%와 20%로 대체된 빵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없거나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아울러 품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커트의 체형별 그레이딩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kirt Grading Rule According to Somatotype)

  • 정영미;구미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41-15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하반신 체형을 엉덩이 전면형태에 따라 다이아몬드형, 표준형, 하트형으로 분류한 9명을 피험자로 하여 체형별 특징을 고려한 합리적인 그레이딩룰을 구하고자 하였다. 기존그레이딩룰은 문화식 그레이딩 방법으로 제작하였고 연구그레이딩룰을 적용한 실험복은 체형별 특성에 따라 그레이딩 제작해서 외관관능검사와 기능성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관에 대한 두 그레이딩룰을 비교한 결과 뒤중심선의 수직, 전체적인 여유분, 착용자의 신체와 어울림 등 12항목이 $P \leq .05$ 유의수준 이하에서 차이를 보여 체형을 고려한 연구그레이딩룰이 기존의 그레이딩룰을 적용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형별로 살펴보면 관능검사 평가는 세 체형 중에서 다이아몬드형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둘째, 가능성에 대한 두 그레이딩룰의 관능검사 결과 전체평균에서 의자에 $90^{\circ}$ 바로 앉기, $90^{\circ}$로 굽힌 무릎 들기 항목은 $P \leq .05$ 유의수준에서 차이를 보여 연구그레이딩룰을 적용한 실험복의 기능성 관능검사 평가가 좋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볼 때 기존그레이딩룰과 연구그레이딩룰의 외관 관능검사 비교는 유의차와 평균차에서 다이아몬드형이 두드러진 차이로 나타나므로 다이아몬드 체형의 소비자를 위한 의복 제작은 다른 체형의 소비자 보다 더 체형을 고려한 그레이딩룰을 적용하는 것이 외관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컴퓨터 덧셈학습의 인지적 개인차에 대한 암묵적 연합검사를 적용한 뇌파 분석 (Brainwave Activities of the Cognitiv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mputerized Arithmetic Addition by Implicit Association Test)

  • 권형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35-644
    • /
    • 2011
  • 본 연구는 컴퓨터를 통한 덧셈학습을 낮은 숫자(1 - 5)의 조합인 덧셈 학습과 높은 숫자(6 - 9)의 조합인 덧셈학습으로 나누어 문제 난이도에 따른 뇌 반구성을 분석하였다. 뇌 반구성의 특성을 보기 위하여 암묵적 연합검사(IAT, Implicit Association Test)를 통하여 덧셈학습 형태를 뇌의 반구성을 나타내는 감정과 논리와 연합시켜 덧셈 학습의 난이도에 따른 인지적 차이를 좌우뇌와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뇌의 전체영역에서는 두정엽쪽의 저알파파(8-10Hz)와 후두엽의 SMR파(12Hz-15Hz), 남녀별로는 남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고 여자인 경우 전두엽의 알파파(8-12Hz)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뇌의 반구성은 측두엽을 중심으로 세타파(4-8Hz)와 베타파(12-30Hz)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별 뇌기능의 특성에 기반한 컴퓨터 수학학습의 구성과 자료 개발을 위한 생리학적 기반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학 정보교육에서의 난이도 구성 및 문제해결과정의 학습자 인지과정에 대한 뇌활성도를 제시한 것으로 다양한 정보교육 과목 및 문제유형의 뇌과학적 규명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게임 내 이성 혐오 가해자와 피해자의 성격 패턴 분석 (Analysis of Korean Gamers' Personality Patterns with respect to the Victim/Attacker of the Misogyny and the Misandry in Game Playing)

  • 송두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481-1488
    • /
    • 2018
  • 컴퓨터 게임 플레이 중에 발생하는 여성 혐오 현상도, 그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하는 남성 혐오 행동도 여성 게이머의 증가와 함께 크게 중가하고 있다. 미국에서 벌어진 #Gamergate 사건이나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갓건배 사건 등은 이런 게임 내 성적 차별/혐오 행동이 직접적인 물리적 폭력의 위협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 준 위험한 사례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우리 청년 게이머들 중 그러한 성차별/혐오 행동의 가해자 군과 피해자 군, 그리고 일반 게이머군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섹시즘 발현 척도를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로 유의한 섹시즘 차이가 존재하고 남성 그룹 중에도 세부 그룹들이 독특한 행동 패턴을 보이며 여성 가해자 그룹이 가장 높은 섹시즘 척도를 보이는 등 여러 가지 걱정스러운 현상을 감지하였다. 또한 Big-5 성격 요인 검사를 통해 이들 그룹 구성원들이 가진 성격 특성이 가해/피해 그룹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사했는데 그 부분에서는 발생한 차이가 내재적 성격 특성인지 피해에 대한 상호작용의 결과인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결국 잘못된 성 고정관념이나 섹시즘 발현은 사회문화적 젠더 인식 교육이 청소년기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개선될 것이라 생각한다.

Electronic Sensing System(ESS)을 이용한 저작 패턴의 분석과 관능검사 패널 선발에 관한 연구 (Chewing Pattern Analysis and Panel Selection for Sensory Evaluation using Electronic Sensing System(ESS))

  • Hur, Nam-Yo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9-181
    • /
    • 2003
  • 안면 특정 근육의 움직임으로부터 기록되는 Electronic Sensing System(ESS)신호는 인간의 관능검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ESS를 이용하여 저작패턴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들을 분석,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같은 식품에 대한 관능 감지도의 차이를 검사하기 위하여 각 그룹별 씹는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따라 패널요원들을 선발하였다. 패널들을 젊은 남$.$여 및 노년 남$.$여 총 4그룹으로 구분하여 껌 및 당근의 저작과정에 대한 패턴 즉 속도, 시간 및 총 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젊은 남$.$여 그룹(n=47, 18∼42세, 남성 27명, 여성 20명) 및 노년 남$.$여 그룹((n=44, 65세 이상, 남성 33명, 여성 31명)은 저작 특성들이 서로 달라 같은 식품에 대하여 서로 관능감지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ESS에 의한 각 패널들의 검사치를 분석한 결과 껌을 씹을 때의 에너지에 대한 표준편차는 2.0 이하(n=71)그리고 씹는 속도의 경우는 0.1 이하로 반복실험의 재현성이 있었다. 91명의 패널들을 저작 에너지 및 씹는 속도에 따라 4그룹(낮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천천히 씹는 그룹, 낮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빨리 씹는 그룹, 높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천천히 씸는 그룹, 그리고 높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빨리 씹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 평균값에 가장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 6명씩 총 24명의 관능검사 요원들을 선발하였다.

  • PDF

능력모델에 근거한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정서 지능 : 수행기반 검사와 자기보고식 검사의 융합적 사용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sychiatric patients on ability model : A convergent using of performance test and self-report test)

  • 김근향;박주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5-4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병리를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의 정서 지능의 특징을 능력 모델에 근거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가지 대별되는 정서 지능 측정치 즉, 수행기반 검사와 자기보고식 검사 결과를 비교했다. 자기보고가 가능한 환자들 중 정신증 유무로 구분(각 30명, 32명)하여 전체 지능지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두 집단의 정서 교양 검사(수행기반)와 특성 메타-기분 척도(자기보고식) 점수를 독립 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증적 집단이 비-정신증적 집단에 비해 수행기반 정서 지능 측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반면,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된 정서 지능 측정치는 반대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불일치는 정서 지능 측정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정신병리를 겪는 환자들의 정서지능을 평가할 경우에는 수행기반 검사와 자기보고식 검사의 융합적 사용이 중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