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투영식시력표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진용한 시력표와 투영식 시력표에서 난시량 예측의 용이성 (Availability of Astigmatism Expectation by Jin's and Beam Project Chart)

  • 김상문;강혜숙;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3-58
    • /
    • 2012
  • 목적: 최적구면굴절상태에서 진용한 시력표로 측정한 logMAR 시력에 의한 난시예상량을 파악해 보고, 투영식 소수시력표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생 150명 300안을 대상으로 logMAR 시력과 소수시력을 측정하여 완전교정 때의 난시량과 비교하였다. 결과: 진용한 시력표가 투영식 시력표에 비해 시표 줄 간의 차이가 0.25 D이상으로 비교적 구별이 뚜렷하였다. 또한 난시량과의 상관성은 logMAR 시력이 r = 0.8578로 소수시력 r = -0.7199 보다 높았다. 결론: 최적구면굴절상태에서 logMAR 시력을 통하여 난시량을 예측할 수 있었고, 투영식 시력표 보다 진용한 시력표가 단계별 난시예상량을 예측하는 것이 쉬운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 시력표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optotypes test chart)

  • 송경석;김태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1-118
    • /
    • 2005
  • 시력 검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력표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시표가 사용되고 있다. 시력표에 사용되는 공인된 시표에는 Landolt 고리와 E 스넬렌 시표가 있으며, 이외에도 아라비아 숫자, 한글, 그림 시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과거부터 한천석 시력표가 멀리 쓰이고 있으며, 이후 청산 시력표, 진용한 시력표 등의 벽걸이형 시력표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벽걸이형 시력표는 조도에 따라 검사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등, 시력검사를 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은 자동화 디지털화 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가 등장되었다. 이는 높은 해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양한 차트를 제공하여 검사자가 효율적으로 검안을 할 수 있는 자동화된 total 검안 시스템으로써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과거 널리 사용되었던 일반 시력표의 차이점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빔 프로젝트를 사용했을 경우, Landolt 고리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력과 비교하여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0%,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2%였으며, 일반시력표의 경우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2%,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4%로 나타났다.

  • PDF

무아레 무늬의 시각적 공간감각을 측정하는 시표로서의 가능성 조사 (Research on a New Vision Test Chart Measuring Visual and Spatial Sense of Moire Fringes)

  • 우현경;이성재;정연홍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1-245
    • /
    • 2010
  • 목적: 시각적 공간감각인 물체의 거리감과 움직임에 대하여 시력측정이 가능한 격자시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주기성을 갖는 한 쌍의 격자를 제작하여 이를 렌즈로 결상하고 그 상을 시력표에 투영하여 도형모양의 시표를 형성한다. 이 격자를 회전 또는 선형 이동하여 도형모양의 시표에 거리감과 움직임을 주는 형식으로 피검사자가 공간감각을 인지할 때 격자의 위치변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결과: 격자를 회전하여 거리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값은 이론식에 의한 값과 비교하여 평균 2.98%의 오차를 나타냈고 선형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인식하는 결과는 격자가 $\theta=15^{\circ}$ 회전된 상태에서 평균 1.73%의 오차를 나타냈다. 결론: 본 실험에서 제시한 무아레 무늬의 시표는 시각적 공간감각에서 피검사자의 거리감과 물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시표로서 그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