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직

Search Result 29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중년직장인의 퇴직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Jung, Kyung-Hwa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6 no.1
    • /
    • pp.43-53
    • /
    • 2021
  • This thesis is a study to verify whether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perceived by middle-aged work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middle-aged workers in their 40s to 50s work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orced frustration during the retirement attitude of middle-aged work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ly on the finances and family of retirement preparation. A new sta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ll sub-variables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the second hypothesis,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old-age breaks and new start of retirement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of middle-aged workers who are about to reti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Effect of Resilienc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Preparation. (중년직장인의 회복탄력성이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

  • Jung, Kyung Hwa;Kim, Ki S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5
    • /
    • pp.495-507
    • /
    • 2020
  • This report addresses the question whether resilience affects attitudes of middle-aged employees toward retirement. Are resilient employees more prepared and/or ready for retirement? To address this question, a survey of over 214 employees aged 50 or more was taken. Participants work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utilized the SPSS 19.0 program. A sophisticated regression analysis software system was conducted to measure and identify relationships and correlations among groups of participants. Our findings included four points. First, male employees were better prepared for retirement than women. Second, the more educated (or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the better prepared was the participant for retirement. Third, the more resilient a worker was, the less was the resistance expected from him/her on retirement. Finally, a positive attitude was an indication the worker would be well-prepared for retirement. In summary, workers who displayed resilience and a positive attitude in their work were best prepared for retirement.

A financial projection model on defined benefit pension plan (우리나라 퇴직연금의 재정추계모형과 장기전망 - 확정급여형 가정 중심으로 -)

  • Han, Jeonglim;Lee, Hangsu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1
    • /
    • pp.131-153
    • /
    • 2014
  • The Korean market of pension plans has recently increased and pension plans will b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tirement system as complemen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n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a few of research papers on actuarial projections of pension plans. This paper will discuss a long-term financial projection on defined pension plans using data based on the national pension workplace participants.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company-based financial projection of pension plan. But, this paper concerns on total Korean pension participants and suggests a method to calculate future financial projection of total pension plans. Finally, this research will suggest several numerical results of normal costs, benefits, numbers of workers, etc.

Establishment Plan of the Retirement Management System for Civil Servant (공무원 퇴직관리체계의 구축방안)

  • Yang, Gi-Geun;Gim, Sang-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2
    • /
    • pp.264-274
    • /
    • 2008
  • Recently, as we move into aging society, it is important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retirement management system for civil servant. To achieve this aim, the article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the aged retired employee who is compet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retirement management is keeping at all times. Secondly, it is achieving custom-made retirement management. Finally, it needs building network system linked external organization. For this purpose, it makes a decision that develops a retirement management model and a management program in a society that is demographically aging.

A Reversal in Retirement Ages and the Future of Soci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미국인의 조기퇴직 역전현상과 고령자 사회정책의 미래)

  • 전광희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115-141
    • /
    • 2003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 long-term trend toward earlier retirement and its reversal since 1985 in the United States, together with change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social-policy programs which have contributed to this new development. The American people's recent propensity to retire at relatively younger ages was mainly a result of secular increase in individual wealth that had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enjoy higher standard of living without their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ctivities at older ages.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of compulsory retirement system, both social security retirement pension program and corporate pension system have als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clining retirement age and its reversal around the mid-1980s. This paper pays full attention to the set of social policy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being used to sustain the recent reversal in ages at retirement. The basic question to be raised here, however, is about whether or not the U. S. government will ave to continue to implement the social policies and programs used to discourage the elderly from retiring at relatively younger age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labor productivity growth and improvement in work attitude prior to retirement will help the elderly find little difficulties in having higher standard of living, despite their further lengthening of life expectancy at birth and post-retirement survival chances, the latter being often called the "third life". Most American people hope that the social-policy programs that have promoted early retirement will remain unchanged in the first part of the 21st century while they will put significant financial burden on their future descendants who have to work in the paid labor market. Taking this observation in considerat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U. S. government has to focus more on developing the programs that improve work propensity and labor productivity among the currently working-age population rather than continuing to implement the programs that sustain the recent reversal in retirement ages.ment ages.

사학연금 가입자들을 위한 점진적 퇴직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eong-U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2
    • /
    • pp.47-102
    • /
    • 2017
  • 오늘날 대다수의 선진 국가들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자국의 노후소득보장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혁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서도 지난 2015년 사학연금제도의 개혁이 이러한 취지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문제가 단순히 노인부양비용의 증가 그 자체가 아니라, 평균수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늘어나게 된 노후의 삶에 대한 시간적 배분이 근로와 여가에 걸쳐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회적 부양을 필요로 하는 노후의 여가만 일방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고령화 사회의 문제는 생애근로기간의 연장을 통해서만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개인별로 건강상태나 가족상황 등의 이유로 생애근로주기의 연장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위하여 별도의 제도적 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종합해 보면, 고령화 사회의 노동시장 문제는 개인별로 다양한 욕구나 능력을 반영하여 각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연금수급연령 상향조정의 필요성을 사학연금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득공백문제와 연금가입경력 공백문제 등 제반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서 점진적 퇴직제도의 도입방안을 제안하였다. 개략적으로 사학연금제도에 있어서 점진적 퇴직모형은 법정연금수급연령의 인상 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법정연금수급연령이 60세로 유지되는 2022년까지의 단기적 대책으로서 여기서 점진적 퇴직의 자격연령은 모든 가입자에게 60세로 적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 가입자들의 신분구분에 따라 각각 교수 5년, 교원 2년(문제해결에 대한 정책적 의지에 따라 이행구간을 확장할 수도 있음) 그리고 교직원 0년의 조기의 점진적 퇴직이 허용되므로, 현재 교원이나 교수의 임용대란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2023년 이후 2033년 사이 법정연금수급연령의 인상단계에 해당되는 기간 동안의 대책으로서 여기서는 교수, 교원, 교직원에게 적용되는 정년연령과 매년도 법정연금수급연령 사이의 기간을 조기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으로 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행구간에 상당하는 기간만큼 후기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을 별도로 설정하여 그에 적절한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2033년 이후부터는 교수, 교사, 교직원의 신분구분 없이 모두에게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65세를 기준으로 그 이전의 5년은 사학연금의 적용을 받는 조기의 점진적 퇴직 그리고 그 이후의 5년은 국민연금의 적용을 받는 후기의 점진적 퇴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체 10년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 동안 개인별로 퇴직시점이나 퇴직형태의 선택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험수리의 원칙에 입각한 감액률 또는 가산율의 엄격한 적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고령계층이 자신의 근로시간을 단계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소득의 감소부분은 별도의 제도적 방법(가교연금, 시간가치적립계정 등)으로 충당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점진적 퇴직제도의 운영방식은 근로시간의 단축뿐만 아니라 작업부담의 경감 등에 대해서도 인정을 해주도록 해줌으로써 임금피크제도의 기능과 연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Effect of Retiremen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Marketing (내부마케팅 관점에서 본 퇴직예비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Park, JuSi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4 no.5
    • /
    • pp.149-169
    • /
    • 2015
  • This research is based on internal marketing to explain the effect of retirement education as the strategy for increasing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The analysis was held with employees who work in Ulsan area by using SPSS18K and Smart PLS 2.0. The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ypothesizing the relationship among related factors including retirement education factors, job satisfaction, anxiety, motiv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retirement education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both job satisfaction and anxiety. However, the effect of leisure education is not significant for both job satisfaction and anxiety. Additional IPA was conducted to explain manageri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has several marketing implication on internal marketing a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For firms, employees' perception of retirement education can generat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performance in the internal marketing perspectives.

  • PDF

사학연금 퇴직률 산출 개선방안 연구

  • Baek, Hye-Yeon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3
    • /
    • pp.279-305
    • /
    • 2018
  • 공적연금제도는 장기적 유지 및 운영을 위해 기금의 재정건전성 및 지속가능성 진단을 목적으로 재정계산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정확한 재정계산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선행작업으로 재정계산에 요구되는 기본 가정들을 보다 합리적으로 추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사학연금의 재정계산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초율들 중 퇴직률을 산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사학연금은 현재 퇴직률을 교원 및 직원에 대하여 각 성별로 총 4개 집단을 구분하여 각 집단별 가입연령과 재직기간에 따라 산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등 퇴직률 산출에 있어 보다 유의한 집단 구분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보정의 어려움을 피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퇴직률을 산출해 보았다. 또한 우수한 모형을 판별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우수한 모형보다는 실무적으로 사학연금 재정추계에 적합한 모형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여 퇴직률을 추정한 값을 제시하였다.

사학연금기금 퇴직수당 공단부담금의 기부금 한도초과에 관한 법인세제 개선방안

  • Choe, Won-Seok;Choe, Gi-Ho;Kim, Su-S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4
    • /
    • pp.127-173
    • /
    • 2019
  • 현재 공적연금제도의 하나인 사학연금은 일반 민간 기업에서 퇴직시에 지급하는 퇴직금과 유사한 성격의 '퇴직수당'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사립학교연금법에서 지급하고 있는 퇴직수당제도는 학교법인인 사용자가 지급할 의무가 있는 급여에 해당한다. 그러나 사립학교의 열악한 재정으로 인하여 학교법인이 지급하지 아니하고 이를 국가와 공단 및 대학의 일부가 이를 분담하여 지급하고 있다. 사학연금공단에서는 매년 236억원을 연금기금에서 지급하였으며, 동 금액은 기부금으로 손금산입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부금의 손금 인정비율이 50%로 축소되어 실제 법인세를 납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퇴직수당 공단부담금을 공단에서 부담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와 기부금으로 처리되는 것에 대한 타당성 여부 등에 대하여 세무회계적인 접근을 통해 법인세제개선을 위한 법 개정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퇴직수당 공단부담금이 기금회계에서 지급되어 기부금으로 보고 있는 기존의 예규에 대한 해석을 새롭게 하고 사학연금기금의 세무회계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퇴직수당의 급여지급은 엄밀하게 살펴보면 기금회계의 대상이 아니라 연금제도의 고유사업인 연금회계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은 현행 공단의 회계처리 및 기금회계 과세대상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이를 면밀히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학연금기금의 법인세 부담으로 인한 연금재정악화를 사전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학연금기금에 대한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법적 개선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단은 사립학교 법인을 대신하여 공단에서 대신 지급하면서도 이에 대해 기부금으로 보는 규정으로 인해 법인세를 납부하고 있어 부담금을 대신하여 납부하면서 법인세도 부담하고 있는 이중부담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사항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공단내부회계규정의 수정을 통해 퇴직수당의 연금회계 적용을 주장하고자 한다. 퇴직수당제도는 연금급여와 관련된 것으로 비과세대상의 고유목적사업 회계에 해당됨에도 불구하고 퇴직수당을 기금회계에서 기부금으로 처리하는 것은 법 논리상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둘째, 학교법인을 대신하여 기금에서 대신 지급하였다는 것은 연금제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연금법상에서 강제로 부과된 부담금으로 이를 필요경비로도 보아야 한다. 셋째, 학교경영기관이 마땅히 부담하여야 할 부담금임에도 불구하고 사학연금기금에서 부득이하게 지급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퇴직수당부담금은 현행의 법인세법상 기부금 한도초과 대상에서 제외하는 특례규정을 신설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법인세가 과세되고 있는 사학연금기금의 과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금제도의 틀 안에서 퇴직수당제도의 법적 부담을 검토한 연구와는 달리 법인세법상의 세무적 검토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tirement of Older Wage Workers in Korea: Hazard Model Analysis by Firm Size (한국 장년임금근로자들의 퇴직: 사업체 규모별 위험모형분석)

  • Lee, Chulhee;Lee, Esther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8 no.1
    • /
    • pp.31-65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why older wage workers leave their jobs and what determine the hazard of retirement.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ed workers leaving their jobs because of formal mandatory retirement are relatively few in number and largely males employed in large establishments. Second, a higher hourly wage is associated with a greater retirement hazard, especially among male employees of large firms. Third, informal mandatory retirement puts a strong pressure towards retirement among older female workers. Fourth, poor health is the primary reason for retirement among older workers, especially for females and small-firm employees. Finally, reasonable hours and greater flexibility of work tend to lower retirement hazard. We discuss som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old-age labor market poli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