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환경 분석

Search Result 1,12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Consolidation Properties of Shihwa Deposits (시화지역 퇴적층의 퇴적환경과 압밀특성에 관한 연구)

  • 원정윤;장병욱;김동범;손영환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0 no.5
    • /
    • pp.49-58
    • /
    • 2004
  • Consolidation properties of Shihwa deposits were analysed by mean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Deposi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s, sediment structures, geochemical properties, porewater chemistries and carbon age dating were analysed using undisturbed samples retrieved successively from a boring hole in the study area. Laboratory oedometer tests and anisotropic consolidated triaxial tests (CKoUC) for undisturbed sampl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overconsolidation phenomen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it was found that the upper silt/clay mixed layer was deposited under marine condition while underlying sand and clay layers were deposited under fluvial condition. Planar laminated structures of silts and clays were dominant in marine deposits. Although there was no clear evidences that geological erosion had occurred in marine deposits, overconsolidation ratios of the upper marine samples were greater than unity Stress Paths of the upper marine samples behaved similarly to those of normally consolidated clays. Data plotted in stress state charts showed that the marine deposits were normally consolidated in geological meaning. These apparent overconsolidation of the marine deposits can be explained by the structures i.e. chemical bonding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rate of deposition, not by geological erosions and ground water fluctuations.

Analysis of Principal Storm Sur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구 표층퇴적물 분석 및 사주 지형변화)

  • Baek, Dong-Jin;Kim, Kang-Min;Lee, Sung-Chul;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6-37
    • /
    • 2018
  •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환경은 육성기원 퇴적물과 해성기원 퇴적물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된 이후의 퇴적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공학회(2003)와 수자원공사(2016)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2003년과 2016년의 표층퇴적물 분석결과, 낙동강 하구는 전반적으로 사질퇴적물이 우세하고 분급도가 양호하고 중앙입경 보다 조립질의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결과와 금회 연구결과로부터 2003년 이후 낙동강 하구 퇴적환경은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굿둑 유출 유사량과 외해측 파랑에 의한 영향이 크게 받고, 창조시의 약화된 유속으로 인하여 니질퇴적물의 이동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니질퇴적물이 우세한 구간은 사주와 갯골 부근의 간사지로, 이로 인한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우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로특성을 갖는 감조하천의 퇴적환경 수치모의

  • Baek, Dong-Jin;Kim, Gang-Min;Jeong, Dae-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9-190
    • /
    • 2018
  • 금회 연구대상인 아산만 내측에 위치한 배수로는 항만 건설로 인하여 인공적으로 생성된 감조하천의 성격을 띄고 있다. 이러한 인위적으로 설정된 배수로는 일반 하천에 비하여 유속이 크고 단순화된 유로로 인하여 퇴적 또는 침식우세 등의 극단적인 성격이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퇴적환경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금회 연구에서는 퇴적환경의 외력조건으로 작용하는 조석, 파랑, 그리고 하천 등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동 및 퇴적환경 현황을 재현하였다. 재현결과 협수로와 곡선부에서 침식이 기타 수로에서는 퇴적이 우세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근거하여 차후 1, 5, 10년에 대한 장기간의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 현재 배수로의 퇴적환경은 평형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배수로로는 대부분 간사지로 대기노출시간의 높은 편으로 지반의 고화현상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고려는 거의 불가하기 때문에 결과 보정 시 이를 고려한 결과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ison of the Learning Semantic Network about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rough Geological Field Trips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언어네트워크 비교)

  • Cho, Kyu-Seong;Chung, Duk-Ho;Seo, Eun-Seon;Park, Kyeong-Ji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3 no.6
    • /
    • pp.881-8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semantic network about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rough field trip. The fifteen high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field trip for this study. The geological field trip was performed in Chaseokgang, which suitable learning place for sedimentary environments. Data included field trip observation and students' inquiry activity reports. The inquiry activity reports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mantic network of science gifted students was larger and complex structures than that of the non-gifted students. Second,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interpreted that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was connected with the sorting and the roundness. On the other hand, semantic network of non-gifted students were become fragmented because they were not interpreted sedimentary environment related to scientific concepts.

이동 벡터 모델을 이용한 표층 퇴적물의 이동 경로 분석

  • 김혜진;추용식;성효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23
    • /
    • 2003
  • 해안 퇴적 환경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은 퇴적물의 입도 특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퇴적물 특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입자 크기에 대한 값을 이용하여 평균입도(mean size), 분급도(sorting), 왜도(skewness), 첨도(kurtosis) 등의 퇴적물 입도 조직 변수를 구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퇴적 환경에서 입도 분포는 퇴적물의 이동과 퇴적의 동적 상태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이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Winter Season around the Baramarae Beach of Anmyeondo Using Surface Sediment Analysis (표층퇴적물 분석을 통한 동계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특성)

  • JANG, Dong-Ho;KIM, Jang-Soo;PARK, No-Woo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1
    • /
    • pp.15-27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in the Baramarae beach of Anmyeondo through spatio-temporal surface sediment analysis. In the winter season 2009, surface sediments were classified into 7 sedimentary facies such as gravel, sand, gravelly sand, gravelly muddy sand, muddy sand, silty sand, and sandy silt. Time-series analysis of average grain size from 2002 to 2009 revealed that the average grain size of sediments became finer and sorting was much worse. On the contrary, during the same period, the grain size became coarsening-trend and sorting was much better in beach area. These different grain size patterns resulted from the different change characteristics of beach and tidal flats. The southwestern beach area was connected to the open sea and thus fine sediments were removed by the environments with relatively high-energy. The sedimentation of fine sediments in the bay resulted from the tidal current action and the reduction of energy by the topographic effects. Fine sediments in the outer part of southwestern tidal flats could be explained such that the Seomot isle blocked ocean waves and as a result, low-energy environments accelerated sedimentations of fine sediments.

A Study on the Change in Surface Sedimentary Facies near Youngkwang Nuclear Power Plant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의 해저퇴적상 변화에 관한 고찰)

  • 진재율;염기대;오재경;김종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95-101
    • /
    • 1996
  • 일반적으로 방조제, 방파제, 돌제 또는 호안 등의 연안구조물 축조시 다양한 형태의 수리환경변화로 인하여 주변 퇴적환경의 크고 작은 변화가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따라서, 연안구조물 축조시 그에 따른 퇴적환경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예측에 앞서 축조전의 퇴적환경을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그러나, 축조전 자연상태의 퇴적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관측 및 분석이 필요하며, 특히 조석과 파랑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해역의 경우에는 그 관측에 더 많은 주의를 요한다. (중략)

  • PDF

Depositional processes of Tidal Flat Deposits off Mankyung-Dongjin Rivers West Sea Korea.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과정)

  • 최진용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19-32
    • /
    • 1995
  • 한반도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수직층서 퇴적상 변화를 분석 하여 퇴적과정을 기초해양환경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해역 저 조선의 퇴적층은 사 질함량이 우세한 반면 방조제와 인접한 만조선의 퇴적층은 실트질이 우세하였고 상층과 하 층의 퇴적물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사질퇴적층의 내부퇴적구조는 괴상구조, 평행층리 및 사층리 구조등이 우세하며 니질퇴적층에서는 모래/니질 교호엽리구조가 우세하다. 본 연구 의 결과 만경강-동진강 조간대 퇴적층서는 인근의 방조제 축조에 다른 퇴적환경 변화에 크 게 영향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방조제축소 이전 고에너지의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던 사 질퇴적층이 방조제축조 이후에는 저에너지 환경조건에서 집적된 니질퇴적물로 피복된 것으 로 해석된다.

Mixed Carbonate-Detrital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한반도 동해 남부 대륙붕에 분포하는 탄산질-쇄설성분 혼합 퇴적물에 대한 연구)

  • Choi, Jin-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18 no.6
    • /
    • pp.493-499
    • /
    • 1997
  • Grain size analysis have been made for the carbonate-detrital mixed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The detrital components are well-sorted with mean grain size between 2-3 phi. The detrital components are thought to be deposited in the beach environment during the glacial times when the sea level was low, representing typical 'relict' sediments. Most of the carbonate components consist of shell fragments, and are deeply weathered. They are also interpreted as the relict components that were deposited in the shallow marine environment. The carbonate fraction are coarser-grained and poorly sorted compared to the detrital component. The carbonate components are thought to have experienced the continuous environmental control of fragmentation and selective size sorting after the depos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