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Variation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Winter Season around the Baramarae Beach of Anmyeondo Using Surface Sediment Analysis

표층퇴적물 분석을 통한 동계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특성

  • JANG, Dong-Ho (Department of Geograph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ang-Soo (Depart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No-Wook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장동호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
  • 김장수 (공주대학교 지리정보학과) ;
  • 박노욱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0.02.10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in the Baramarae beach of Anmyeondo through spatio-temporal surface sediment analysis. In the winter season 2009, surface sediments were classified into 7 sedimentary facies such as gravel, sand, gravelly sand, gravelly muddy sand, muddy sand, silty sand, and sandy silt. Time-series analysis of average grain size from 2002 to 2009 revealed that the average grain size of sediments became finer and sorting was much worse. On the contrary, during the same period, the grain size became coarsening-trend and sorting was much better in beach area. These different grain size patterns resulted from the different change characteristics of beach and tidal flats. The southwestern beach area was connected to the open sea and thus fine sediments were removed by the environments with relatively high-energy. The sedimentation of fine sediments in the bay resulted from the tidal current action and the reduction of energy by the topographic effects. Fine sediments in the outer part of southwestern tidal flats could be explained such that the Seomot isle blocked ocean waves and as a result, low-energy environments accelerated sedimentations of fine sediments.

이 연구는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물 입도조성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여 퇴적환경 변화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 겨울철 표층퇴적물은 크게 자갈, 모래, 역질사, 역니질사, 니질사, 실트질사, 모래질실트 등의 7개 퇴적상으로 구분되었다. 평균입도를 시계열 분석(2002~2009)한 결과, 간석지 퇴적물은 평균 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은 불량해졌다. 그러나 해빈지역은 동일시기에 퇴적물의 입도가 조립화 되었고 분급이 양호해졌다. 이러한 결과는 해빈과 간석지의 퇴적환경 변화가 서로 다른 경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할미섬을 중심으로 남서쪽 해빈지역은 외해로 열려 있어 상대적으로 고에너지 환경으로 세립질 퇴적물이 제거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결과이다. 간석지 중 가장 안쪽의 만입지의 세립화는 왕복성 조류에 의해서 유입된 퇴적물이 정조시에 퇴적되었거나 지형적인 영향에 의한 에너지 감소로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남서쪽 외해 쪽의 간석지들의 세립화 원인은 규모가 큰 섬옷섬이 외해로부터 유입되는 파랑을 막아주어 상대적으로 저에너지 환경 하에 놓이면서 조석의 영향을 받으면서 세립질 퇴적물질들이 지속적으로 퇴적된 결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2009-0070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