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퇴적율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9초

연안 양식장 퇴적물의 비료화를 위한 알카리 안정화 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Alkaline Stabilization Processes for Organic Fertilizer of Coastal Sediments)

  • 김정배;최우정;이필용;김창숙;이희정;김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8-513
    • /
    • 2000
  • 알카리 안정화방법에 의거하여 양식장 퇴적물을 농업용 유기질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제조과정에 따른 비료의 유효성분 및 중금속농도를 분석하고, 비료의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퇴적물과 축산분뇨 혼합율 및 첨가제의 양을 달리하여 비료를 제조한 결과 생석회 $30{\%}$ 첨가시 건중량비 1 : 4 이었을 때가 최적의 반응조건 이었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제로서 수산화 마그네슘도 영양분의 보강제 측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조된 퇴적물 조비료는 질소 및 칼륨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중급 내지 고급 비료로 평가되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고급 비료에 속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카리 안정화 방법으로 양식장 퇴적물을 유기질 비료로 전환 생산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에 의해 제조된 비료내의 중금속 및 병원성균에 의한 유해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II): 안동댐 퇴적물에 대한 영양염류 및 중금속 용출 특성 연구 (Assessment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from Lake Andong(II): Studies on the Nutrient and Heavy Metal Release Characteristics from Sediments in Andong Dam)

  • 김영훈;박재충;신태천;김정진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4호
    • /
    • pp.391-40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 퇴적물의 일반항목과 중금속의 용출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용출 실험은 카드뮴, 구리, 납, 크롬, 아연, 수은, 비소, 철, 망간 등 중금속 9개 및 pH, 총인, 총질소등 일반 3개 항목에 대해 혐기성과 호기성 조건에서 60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질소와 총인은 호기성 조건에 비해 혐기성 조건의 용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부 시료에서 높은 농도가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중금속의 용출율은 아주 낮았으며, 퇴적물에서 함유량이 높은 비소와 카드뮴도 최대 용출량이 각각 0.028 mg/L, 0.003 mg/L로 낮은 값을 나타낸다. 5단계 연속추출연구에서는 쉽게 용출될 수 있는 이온교환형태나 흡착한 형태의 분율이 전체 함유량의 1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중금속은 왕수에 용해되는 잔류(residual)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독성이 높고 오염도가 높은 비소와 카드뮴의 경우 잔류형태로 존재하는 비율이 각각 80%와 95%로 오염도에 비해 짧은 시간에 용출되어 유해성을 일으킬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원형철제빈용 벼 자동관리 장치 개발(II) -벼의 건조저장시설 운영 프로그램 개발- (Automatic Management System for Rough Rice Stored and Dried in Bin -Operation Program for Drying and Storage Facilities of Rough Rice-)

  • 금동혁;한재웅;김훈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0-365
    • /
    • 2003
  • 미곡종합처리장은 개소 당 평균 30억이 투자되는 방대한 시설로 수확된 산물상태의 벼를 수집ㆍ건조ㆍ저장ㆍ가공 및 포장공정이 일괄적으로 처리되는 농업의 첨단기술이 결집된 시설이라 할 수 있다. 미곡처리장은 약 80개의 단위기계와 100여종의 부대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미곡종합처리장은 거의 모든 과정이 중앙제어기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그러나 미곡종합 처리장의 상온통풍건조시설은 기상조건, 투입벼의 함수율 및 반입량에 따라서 송풍기와 히터의 운전방법을 달리해야 하며, 또한 투입벼의 함수율에 따라서 벼의 퇴적고를 달리해야 하는 등 시설의 운전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략)

  • PDF

퇴적층 물성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Gas Hydrate Productivity on the Sediment Properties)

  • 박승수;주우성;한정민;이계정;이정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2-195
    • /
    • 2008
  • Conventional gas deposits consist of pressurized gas held in porous and permeable reservoir rocks and its recovery takes place where the natural pressure of the gas reservoir forces gas to the surface. But gas hydrate is a crystalline solid, its prospects require reservoir rock properties approprate porosity, permeability with mapping of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to define the hydrate stability zone.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sociat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hydrates and the productivities of dissociated gas and water with depressurization scheme. Also, it has been conducted the flowing behavior of the dissociated gas and water in porous rock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 PDF

오염물질 유달 특성을 이용한 오염원별 기여도 평가 (Contribution assessment of each pollutant source to total loads using delivery characteristics)

  • 김철겸;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991-995
    • /
    • 2010
  •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K 모형의 적용을 통해 신뢰성 있는 장기간의 유량 및 수질모의자료를 기반으로 오염물질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한편, 각 하천구간내 오염물질의 침식과 퇴적, 생물학적 변환 및 자정작용 등을 고려한 하천구간별 유달율을 산정하였으며, 각 하천구간별 유달 특성을 이용하여 점원 비점원에 의한 배출부하량 및 토지이용별(논 밭 산림) 배출부하량이 유역 하류측 충주댐 지점에서의 총 유달부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오염원별 기여도 분석 결과, 전체 유사량의 84%, 총질소의 93%, 총인인 92% 정도가 비점오염원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별로는 유사나 총인은 밭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총질소는 유역내 면적비중이 큰 산림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양퇴적물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석을 위한 표준작업절차서 제안 (Proposal of Standard Method for the Analysi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Marine Sediments)

  • 이효진;김기범;최윤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3-175
    • /
    • 2011
  • 현재 국내의 수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다양한 화학분석법과 기기를 이용하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자료를 산출해 내고 있으나, 자료에 대한 엄격한 정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자료를 산출한 상대 기관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고, 농도에 대한 절대 비교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분석방법으로 국내외학술지 및 연구보고서에 게재되어진 20여 편의 참고문헌으로부터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석방법과 자료질을 조사하여 이를 반영한 표준작업 절차서를 제시하였다. 이 절차서에 따라 표준물질 첨가법으로 회수율을 검정하였을 때 좋은 회수율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PAHs 분석하고 있는 기존의 연구 기관들의 경우 굳이 실험법을 바꾸지 않더라도 표준시료의 사용 등 환경정도관리를 통해 산출되어진 자료가 신뢰성을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절차서 내에 포함하였다.

경남 거창분지 정창리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퇴적물 특성과 편년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y of Loess-paleosol Sequence in Jeongjang-ri, Geochang basin, Gyeongnam Province)

  • 황상일;강창혁;윤순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9
    • /
    • 2011
  • 대자율 및 입도 분석, OSL 연대측정, 주원소, 희토류 및 미량원소 분석을 통해 거창 정장리 뢰스-고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거창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입도 특성은 하안단구를 형성하는 하천퇴적층 그리고 중국 뢰스고원과는 차이를 보인다. 뢰스-고토양 층서 가운데 L1과 L1L1은 MIS 2, L1S1은 MIS 3, L1L2는 MIS 4, S1은 MIS 5, L2는 MIS 6에 대비되므로 거창단면이 위치하는 하안단구는 MIS 7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MIS 3 시기에 남부지방이 중부지방보다 더 온난습윤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주원소와 희토류 원소, 미량원소 조성은 거창의 뢰스-고토양이 중국 뢰스고원보다 풍화가 더 많이 진행되었으며 중국 뢰스고원에서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이것은 한반도의 다른 지역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와 조화된다.

퇴적발효한 케이지 육계생분의 반추동물 사료적 가치 평가 (Evaluation on Ruminant Feed Value of Cage Broiler Excreta Processed by a Deepstacking Method)

  • 곽완섭;박종문;김연호;강준석;김영일;김원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122
    • /
    • 2003
  • 육성 거세 한우(평균 체중 200kg)에게 6주 동안 배합사료의 16%와 볏짚의 48%를 대체하는 수준에서, 그리고 Holstein 비거세우(평균 체중 336 kg)에게 12주 동안 배합사료 4%와 볏짚18%를 대체하는 수준에서 퇴적발효한 육계생분­톱밥­왕겨 혼합물(DBSR 최종 함수율 45%)의 펠렛을 무제한 급여한 후 사료섭취량, 증체율, 사료효율, 경제성 및 도체 특성을 평가하였다. DBSR pellet의 기호성은 양호한 편이었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DBSR pellet 급여는 육성 거세 한우의 증체량(31.6 vs 36.6 kg), 일당 증체율(0.75 vs 0.87), 사료효율(7.23 vs 7.53)과 Holstien 비거세우의 증체량(148 vs 155 kg), 일당증체율(1.76 vs 1.84) 및 사료효율(5.69 vs 6.02)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P>0.05), 증체 당 사료비용은 축종별로 각각 18.5% 및 3.5% 절감되었다. Holstein 비거세우에의 DBSR pellet 급여는 도체중, 육량 및 육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분흡수제로서 톱밥, 왕겨와 혼합한 케이지 육계생분의 퇴적발효물은 육성비육우용 사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준설토 체적변화에 대한 응집제 및 응결제의 주입효과 (Injection Effects of Coagulant and Flocculant on Bulking Change of Dredged Soils)

  • 윤길림;유승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257-264
    • /
    • 2003
  • 자연상태의 퇴적물과 준설과정을 거친 준설토 사이에는 퇴적물이 안정상태에서 교란되어 다시 침강되기 때문에 체적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부유물질의 침강을 촉진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응결제 및 응집제의 영향에 따라 준설토의 체적변화에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준설시 약품투입량에 따른 준설토의 체적변화 특성분석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퇴적물 준설시료는 동해안에 위치한 석호의 준설토를 이용하였으며, 함니율 변화, 응집제 및 응결제 투입량 변화에 따른 준설토의 체적변화는 실내 모형 토조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적정 응집제 및 응결제 투입량은 체적변화가 가장 작은 값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한 내용은 준설토의 체적은 평균 1.69배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약품을 투입한 경우 함니율 증가에 따라 체적변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증가량은 미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深海底 炭酸염 堆積物의 續成作용의 程度를 決定할 수 있는 새로운 變數로서 의 電氣 抵抗度의 應용 可能性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in determining diagenetic stage of deep-sea carbonate sediments : A new variable)

  • 김대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2-100
    • /
    • 1986
  • 적도 서태평양에 존재하는 심해저 탄산염 퇴적물(시주공번호: DSDP 288과 289)에 대한 물리적 성질(밀도와 공극율), 음향학적 성질(속도와 속도성분 차이의 비), 그리고 전기적 성질(전기저항도와 전기저항 성분차이의 비)에 대한 실험실적 연구를 퇴적물의 속성작용의 관점에서 행하였다. 전기저항도의 깊이에 따른 변화는 속도의 변화양상과 거의 일치하며 전기저항도가 속성작용을 결정할 수 있는 변수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처트나 규산질 석회암 지대에서의 음향학적, 전기 적 성질의 급격한 변화는 호층을 이루는 규산염광물 때문에 공극의 모양이 크게 변 함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규산염광물 때문에 만들어진 여분의 탄산칼슘이 주변의 공극사적 상질이 크게 변하는 중요한 이유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자료는 규 산염광물의 속성작용이 탄산염퇴적물의 속성작용을 가속화시킨 결과로 해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