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변화

Search Result 1,53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광양만의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 발달

  • 최동림;이태희;현상민;최진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1-45
    • /
    • 2002
  • 광양만의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발달양상에 대해 표층퇴적물과 지층탐사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광양만 해역은 1970년대이후 광양만 개발에 따라 해안선 및 해저지형이 급격한 변화를 겪어왔다. 광양만의 면적은 개발이전보다 25%정도 감소하였다. 해안선 변형은 공단건설을 위한 해안매립공사로 인해 그리고 해저지형변화는 대형선박들의 안전항로개발을 위한 해저퇴적물의 준설 등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표층퇴적물는 점토질 퇴적물 묘도서측 및 여수해만의 외해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사질 퇴적물은 섬진강하구와 수로에 분포하고 있다.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하며, 특히 점토질퇴적물에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다. 탄성파 단면도상에서 기반암위에 Unit II와 Unit I가 분포하며, 하부 Unit II는 홀로세 이전의 하천환경 퇴적층으로 판단되며, 홀로세 Unit I 퇴적층은 섬진강하구에서 외해를 향해 전진퇴적양상의 쐐기형태를 보인다. 이 층은 섬진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이 델타환경을 이루면서 형성된 퇴적층서로 해석된다. Unit I 퇴적층내에 천부가스층이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천부가스는 광양만의 생태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광양만 주변의 재발에 따른 해안 및 해저지형의 급격한 변형은 퇴적환경 및 해양환경에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섬진강 하구지역의 광양제철소 건설은 섬진강에서 장양만으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퇴적작용의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rosional Properties of the Newly Deposited Muddy Beds (갓 퇴적된 점토 저면의 침식특성)

  • Hwang, Kyu-Nam;Lee, Seung-Jong;Kim, Hyu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09-914
    • /
    • 2008
  • 미세-점착성 퇴적물로 구성되는 퇴적저면의 침식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고령토 퇴적저면에 대한 침식실험이 환형수조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현재, 퇴적저면의 침식특성 연구에 대한 국내사례는 전무한 실정으로, 본 연구는 퇴적저면에 대한 침식실험 방법 및 결과의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압밀시간 조건에 따라 4가지의 서로 다른 퇴적저면이 조성되었고, 각 저면별로 저면깊이에 따른 저면밀도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정밀 측정되었다. 각 퇴적저면별 침식실험으로부터는, 바닥전단응력(${\tau}_b$)의 변화에 따른 저면 침식깊이(즉, 수층 부유사 농도)의 변화 측정을 통하여, 저면깊이에 따른 저면전단강도(즉, 침식한계전단응력, ${\tau}_S$)의 변화 값들이 정량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잉여전단응력(${\tau}_b-{\tau}_S$)과 침식률 간의 관계식이 산정되었다. 퇴적저면 침식특성에 관한 과거 해외 연구 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 혹은 적용된 실험장치, 실험 방법 및 실험결과가 타당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A Studies on the Bed Elevation Variation for an estuary using LiDAR (하구지역 하상변화 분석을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 Jun, Kye-Won;Ahn, Myung-Gil;Jun, Byong-Hee;Jang, Chang-Deok;Park, Hwan-Se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6-466
    • /
    • 2012
  • 하천의 하구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연안토사의 이동과 하천유황에 따른 상류에서의 토사량에 따라 하상이 변화한다. 특히 하구부에서의 퇴적토사 증가는 하천의 수질변화와 어도단절 등으로 인해 하천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하구폐쇄를 발생시킬 수 있어 이에 따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으로 유출되는 지방 1급 하천인 가곡천과 호산천을 대상으로 하구부 퇴적토사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상변화의 모니터링은 최신장비인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다시기로 스캔한 지상 LiDAR 측정자료를 활용하여 퇴적량을 산출하고 퇴적과 침식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퇴적지점과 침식지점 및 이에 대한 체적량 변화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지상 LiDAR를 활용한 하상변화 분석기법은 정밀한 퇴적량 추이를 빠르게 관찰할 수 있어 하구지역 뿐만 아니라 하천 전반에서의 하상변화를 조사하는 데에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Seasonal variation of settling velocities of Cohesive Sediments from Han estuary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 침강속도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 Hwang, Kyu-Nam;Seo, Young-Deok;Jung, Eui-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66-2169
    • /
    • 2008
  •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속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산정된 침강속도의 계절적 변화 해석을 목적으로 침강수주를 이용한 침강 실험이 수행되었다. 침강실험은 1개 정점에서 3계절에 채취된 퇴적물 표본 시료에 대해 계절별로 $5{\sim}6$회씩 총 16회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또한 퇴적물 자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해수 특성에 따른 침강속도의 정성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 및 해수 특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되는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 침강속도의 정량적 결과는 향후 한강 하구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기능 회복을 위한 기술 개발시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의 침식과 퇴적에 따른 하상변동 해석, 수질 및 퇴적물 오염 절감을 위한 대책 방안 수립 등 다양한 목적으로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of Janghwa-ri, Kangwha Island, Eastern Yellow Sea (강화도 장화리 조간대의 퇴적 특성)

  • Oh, Jae-Kyoung;Do, Jong-Dae;Jo, Yong-G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3
    • /
    • pp.328-340
    • /
    • 2006
  • In Janghwa-ri of Kanghwa Island morphological changes in four transects, 112 surface, and 2 core sedimen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muddy tidal-flat environment. Sedimentary of fac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facies; sand, muddy sand, sandy mud, and silt. During winter, the coarse-grained sediment facies expanded seaward. In the subsurface part of the core sediments, poorly sorted silty sediments dominate the area. According to the Pb-210 isotope analysis, accumulation rates of the tidal flat in Jangwha-ri appear to be $5{\sim}19mm/yr$. In the study area, the result is suggestive of a rapid change in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recent year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Sediment Cores with Depth (저수지 퇴적토 코어의 깊이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 Kim, Heung-Tae;Kim, Jae-Geun;Youn, Ho-Joo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57-6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primary data on the change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se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sedimentation. The records of the annual summation of the precipitation of >50mm per day (AP50) were compared with changes of bulk density, organic matter, mean grain-size, and sand ratio in sediment cores sampled from three reservoirs without dredging record. Reservoir sediments, characterized by mineral soil, contained organic matters originated from the debris of terrestrial plants, and changes of organic matter were related to changes of grain-size flowing into reservoirs when sediments of fine sandy loam showed 10% of organic matter contents. Rapid changes of grain-size and sand ratio in the sediment cores we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precipitation, and fluctuation of water level and water flow in reservoirs might have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sediments in reservoirs. Records of AP50 suggested that sediments could accumulate more than about 30 within the short period of 10 years. The accumulated sediments in a short time can reflect the effect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event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 Study on the Change in Surface Sedimentary Facies near Youngkwang Nuclear Power Plant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의 해저퇴적상 변화에 관한 고찰)

  • 진재율;염기대;오재경;김종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95-101
    • /
    • 1996
  • 일반적으로 방조제, 방파제, 돌제 또는 호안 등의 연안구조물 축조시 다양한 형태의 수리환경변화로 인하여 주변 퇴적환경의 크고 작은 변화가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따라서, 연안구조물 축조시 그에 따른 퇴적환경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예측에 앞서 축조전의 퇴적환경을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그러나, 축조전 자연상태의 퇴적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관측 및 분석이 필요하며, 특히 조석과 파랑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해역의 경우에는 그 관측에 더 많은 주의를 요한다. (중략)

  • PDF

Depositional processes of Tidal Flat Deposits off Mankyung-Dongjin Rivers West Sea Korea.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과정)

  • 최진용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19-32
    • /
    • 1995
  • 한반도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수직층서 퇴적상 변화를 분석 하여 퇴적과정을 기초해양환경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해역 저 조선의 퇴적층은 사 질함량이 우세한 반면 방조제와 인접한 만조선의 퇴적층은 실트질이 우세하였고 상층과 하 층의 퇴적물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사질퇴적층의 내부퇴적구조는 괴상구조, 평행층리 및 사층리 구조등이 우세하며 니질퇴적층에서는 모래/니질 교호엽리구조가 우세하다. 본 연구 의 결과 만경강-동진강 조간대 퇴적층서는 인근의 방조제 축조에 다른 퇴적환경 변화에 크 게 영향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방조제축소 이전 고에너지의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던 사 질퇴적층이 방조제축조 이후에는 저에너지 환경조건에서 집적된 니질퇴적물로 피복된 것으 로 해석된다.

Changes in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Tidal Flat of Donggum Island in Ganghwa, west coast of Korea (강화 동검도 동부 갯벌의 퇴적 특성 변화)

  • Woo, Han Jun;Jang, Seok;Kwon, Su J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3
    • /
    • pp.375-384
    • /
    • 2012
  • The sedimentary processes of the Ganghwa tidal flat has been changed over 20 years because of the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Donggum tidal flat,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Ganghwa tidal flat and in the lower reaches of Yeomha channel, was affected by changes the tidal current regime and estuarine circulation. These resulted an occurrence of rapid deposition in the tidal flat. The silt-clay laminated silt facies in the upper parts of two core sediments suggested that deposition had been relatively high in the tidal flat. The sedimentation rates from the cores using $^{210}Pb$ analysis were 3.25cm/year(st. 3) and 3.47cm/year(st. 5). However the short-term sediment accumulation rates from 2010 to 2012 were mostly less than 1cm/year, indicated that the sediments deposited relatively low rates. As a result, the sediment in the Donggum tidal flat rapidly accumulated during 2000s due to constructions of man-made structures. Recently, the increase of elevation in the tidal flat resulted to show relatively low sedimentation rate with seasonal variations.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호안 건설 후 광양만 조간대 퇴적물의 퇴적학적 특성)

  • Ryu, Sang-Ock;Sin,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6
    • /
    • pp.659-669
    • /
    • 2006
  • In Kwangyang Bay, the south coast of Korea,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tion rates have been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The mean grain size of the surface sediments during autumn is coarser, and decrease from winter to summer except for temporarily coarsening in the early summer. The depositional processes are prevalent in spring, while erosional processes are dominant in summer and autumn. This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show similar results monitored from 2001 to 2003 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the northern area of the bay, net annual sedimentation rates show similar results monitored from 2001 to 2003 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However, in the western area of the bay, net annual sedimentation rates change from erosion-dominated to deposition-dominated environm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western area of the bay is changed to erosion-dominated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changes of hydrodynamic conditions, caused by sea dyke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