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영향

Search Result 54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Link Travel Time Using GPS Data (GPS 수집자료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분포 특성 분석)

  • Lee, Young-Woo;Lim, Chae-M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5
    • /
    • pp.7-17
    • /
    • 2004
  • 지금까지의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는 개별 차량의 평균을 통한 평균링크통행시간 산정 및 추정의 제한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링크통행시간은 교통조건, 신호운영조건, 도로조건 등 다양한 영향인자로 인해 통행시간 분포가 구분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 특성을 좀 더 미시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자료 수집의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GPS를 이용한 RTK 측량을 이용한 실시간 자료수집을 통하여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신호운영에 의한 영향으로 인한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통행시간 분포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다양한 조건을 부여하여 링크통행시간분포비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검토하고 통행시간 분포비율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GPS 실험차량을 이용한 주행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순행시간으로만 이루어지는 링크통행시간과 적색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링크구간을 통과하여 순행시간에 신호 대기시간을 더한 링크통행시간으로 통행시간이 구분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분석은 통행시간을 하나의 평균통행시간으로 인식하는 것보다 두 개의 구분된 통행시간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에 대한 연구결과 또한, 통행시간이 양분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의 경우 평균통행시간에 의한 결과보다 신호지체가 발생하지 않는 통행시간과 신호지체가 발생하는 통행시간으로 구분하는 것이 교통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raveler's Mode Choice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특성이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

  • Gwon, Se-Na;Kim, Hyeong-Jin;Son, Bong-Su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7.02a
    • /
    • pp.181-1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raveler's mode choice - private car, bus, and subway - by developing multinomial legit model for commuting and shopping trips respectively. In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commuting trip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fluencing shopping trips. The research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the individuals' travel mode choice can find these variables have a significance.

  • PDF

Analysis of Household Trip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Seoul (서울시 가구통행발생 특성 분석)

  • Rhee, Jong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5D
    • /
    • pp.657-662
    • /
    • 2011
  •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attributes and trip generation can only be found in Seoul Metropolitan Household Travel Survey, which has been implemented every 5 years. However, various household attributes' impact on trip generation has not been analyzed closely.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ose impact. The results could be useful when trip generation models are studied in the future. They are as follows. The household size should be an important classification criteria when household trip generation is estimated.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auto ownership and trip generation is positive and linear correlation should be reconsidered. Weekday travel data only did not showed that housing type has an influence on trip generation. Household income is unrelated with trip generat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while multi-person household is related strongly. However, when trips are classified by purpose, impact of household income on trip generation are varied by trip purpose. Especially,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 can not be overlooked when trip generation is forecasted.

Multiple User Class Traffic Assignment based on Variational Inequality Formulation in Variable demands (변동부등식을 이용한 가변수요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문제의 해석)

  • 임용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153-161
    • /
    • 2002
  •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Multiple User Class Assignment) 문제란 교통망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이 이질적인 통행계층으로 구성된 경우, 이들 각 계층의 통행수요를 교통망에 배정하는 문제를 의미한다. 이는 기존 통행 배정모형들이 모든 통행자의 통행특성이 동질적이라고 가정함으로서 발생하는 불합리한 통행배정 결과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최근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사업에서 교통정보제공시스템이 구현될 예정임에 따라,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간의 영향을 분석하거나 혼잡통행료부과 등과 같은 교통관리전략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모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모형의 경우, 사용자간의 상호영향으로 통행비용함수의 1차 편미분행렬(Jacobian matrix)이 비대칭(Asymmetric)이 되어 동등 수리최소화문제(Equivalency mathematical Minimization program)로 구성할 수 없고 또한 수치적으로 풀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모형식과 알고리듬을 제시코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2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각 사용자 계층간의 상호영향을 모형내에 반영하며, 기종점쌍간의 통행시간변화에 따른 수요변화를 고려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변동부등모형(Variational Inequality Model. VI)으로 문제를 구성하며, 이에 대한 해석 알고리듬도 제시한다. 또한, 변동부등모형으로 구축된 다사용자계층 모형이 다사용자계층 균형조건과 동일함을 보여주는 동등성조건(Equivalency condition)도 제시한다.

Analysis of Prework Trip-Making and Modal Choice (통근통행 이전의 비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행태 분석)

  • 윤대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57-6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금가지 통근통행자의 활동참여 분석(activity Participation analysis)이 주로 일과후 활동참여(postwork activity participation)에 초점이 주어졌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과전 활동참여(preworkactivity Participation)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통근통행자의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의 행태를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형의 경험적 추정을 위해 1995년 미국 Nationwide Personal Transportation Survey (NPTS)의 일부분으로 수집된 뉴욕 대도시지역의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추정된 경험적 모형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의 네스티드 로짓모형은 통계적 측면이나 행태적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타당한 분석결과를 보여준다. 교통수단 선택모형(조건부 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운전면허 소지여부, 가구내 차량보유대수, 가구내 직장인수, 연간 가구소득, 교통수단의 통행시간이 통근통행자의 교통수단 선택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통근통행 이전의 비통근통행 발생여부 선택모형(한계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성별, 가구내 차량보유대수, 가구의 생애주기가 통근통행자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부터의 중요한 발견은 추정된 네스티드 로짓모형의 inclusive value의 추정계수값을 살펴봄으로써 가능한데, 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는 본 연구에서 가설화된 네스티드 로짓모형구조의 타당성을 입증시켜 준다. 아울러 직장인의 교통수단 선택은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의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travel mode choice of bicycle by trip purpose -a case study of Seoul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 Lee, Kyunghwan;Ko, Eu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33-42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bicycle traffic patterns and identified the influence factors for each traffic purpose using the household traffic conditions survey for Seou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bicycle traffic ratio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ongs, there was a difference of 14.2% by region. Second, various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income, occupation, and housing type, affect the bicycle mode choice, and bicycle passage increases when using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Third, amo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bicycle traffic for commuting purposes appeared to increase more in the areas of higher land use mix and lower crime rates. In addition, the bicycle road density and the inclination of the area commonly affect bicycle travel for commuting, shopping, exercising, and leisure.

Development of Method to Define Influence Area using Travel Time on the Feasibility Study (도로사업 예비 타당성조사에서 통행시간을 이용한 영향권 설정기법의 개발)

  • Kim, Kang-Soo;Oh, Dong-Kyu;Chung, Sung-B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8 s.86
    • /
    • pp.139-145
    • /
    • 2005
  • `Influence Area` means the area that the traffic flow pattern of which is changed remarkably after the construction of highway facilities. The Influence area would be a significant criteria for demand forecasting and economic analysis. However existing methods for defining influence area such as O/D method, traffic volume variation method and rate of traffic volume variation method have no standard criteria. In this paper, some problems which existing methods have are analyzed and a new method travel time method - is introduced. Influence area can be induced as the area where the vehicles reach from starting traffic zone to ending zone to which 95 percentile vehicles want to travel. In addition, the value of standard criteria for defining influence ayes are induced via this method.

A Spatial Pattern of An Optimal Transportation Pricing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 of a local solution- (도시공간상에서 교통시설에 대한 최적가격(요금) 구조에 관한 연구 -부분 최적해의 결과-)

  • 정성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65-88
    • /
    • 1994
  • 교통수요와 공급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교통수요는 교통시설 서비 스수준 및 교통시설의 이용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교통시설 공급비용과 서비스수준은 교통수요에 영향을 준다. 또한, 교통수요와 공급간의 상호작용은 도시공간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시스템의 공간적 구조 및 도시의 공간적 특성은 공급, 가격 및 수요를 통합한 교통균형모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교통균형모형에서는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및 교통체증의 도시공간상 변화가능성을 적절하 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상에서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변화패턴 을 반영한 수 도시공간상에서의 교통시설의 최적 서비스 수준, 교통수단별 최적요금체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단핵도시구조를 지닌 도시공간상에서의 최적버스요금은 통행거리에 따라 할증되는 체계를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승용차에 대한 통행혼잡세 부과는 소득역분 배적인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버스의 요금구조나 서비스 수준이 최적수 준에서 제공된다면 통행혼잡세는 소득역분배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Change of Travel Patterns According to Public Transportation Reform (A Case Study of Gyeongsan City)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통행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경산시를 사례로))

  • Yun, Dae-Sik;Park, Hyeon-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1
    • /
    • pp.51-61
    • /
    • 2010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nge of travel patterns according to public transportation reform. The paper uses data collected from Gyeongsan City. So far few researches, especially using before-and-after individual travel survey,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effects of public transportation reform. For this research,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statistical hypotheses tests were conducted. Furthermore, some empirical logit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zing the individual effects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reform. Finally, some important fou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The Impact of Air Quality on Traveling Time by Transportation Mode (대기오염 수준이 교통수단별 통행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o, Eunjung;Kim, Hyunchul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2
    • /
    • pp.207-235
    • /
    • 2021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by ozone and particulate matter on traveling by mode of transport. We estimate the SUR model of travel time by different modes of transportation using individual level data of travel diaries. We find that, as air pollution levels rises, traveling by privately-owned vehicles increases but traveling by bus decreases. Our results also show that, when an air quality alert is issued, bus traveling increases in an effort to reduce pollution levels, but traveling by own car does not change and traveling by train declines. This suggests that alert programs may not b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air pollution emissions from vehicles because voluntary switching to public transportation induced by air quality alerts is outweighed by individual effort of avoiding exposure to pol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