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적 보전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Limits and improvements of the river master plan with the change of public water management system (물관리 체계 개편에 따른 하천기본계획의 한계 및 개선방안)

  • Lee, Du H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6
    • /
    • 2020
  • 하천관리정책은 국가의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각 나라에 맞는 고유한 방향으로 정착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치수와 개발이 중심이 있는 되는 일본식 하천관리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왔으며 개별 하천의 관리에 기본이 되는 하천기본계획체계는 일본의 신하천법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물관리체계는 2019년 6월에 시행된 물관리기본법에 의해 수량과 수질 통합관리 체계로 크게 개편되었다. 현행 물관리체계에서는 수질과 수량은 관리주체가 통합되었으나 하천관리는 하천시설물과 하천수의 관리주체가 분리되어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주요 선진국은 하천관리에서 치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하천의 치수관리에 대한 정책적 중요도는 떨어지고 있으며 환경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천기본계획은 개별 하천에 대한 치수, 이수, 환경의 유일한 종합적 계획으로 광범위한 조사/분석/계획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타계획과의 연관성이나 활용성이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하천관리정책 수립, 일관성 있는 치수, 이수, 환경 계획의 수립, 정부의 효율적인 하천관리 실행 등의 관점에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한계를 살펴보고 변화하는 기후 및 사회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하천관리체계를 검토하고 도로, 상하수도 등 유사 분야의 계획 체계와 하천계획 체계를 비교하였다. 물관리 체계 개편을 고려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주요 논점을 정리하고 현행 법체계와 사회환경을 고려하여 하천기본계획이 실질적인 하천에 대한 종합적 계획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체계 개편 방안과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장단기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WISD(Web Interface System based DICOM) for Efficient Sharing of Medical Information between Clinics (의료기관간 효과적인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WISD의 설계 및 구현)

  • Cho, Ik-Sung;Kwon, Hyeog-So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3
    • /
    • pp.500-508
    • /
    • 2008
  • For efficient compatible system between medical clinics, the medical information has to be built on a standardized protocol such as a HL7 for text data and a DICOM for image data. But it is difficult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medical clinics because the systems and softwares are different and also a structure of data and a type of code. Therefore we analyze a structure of DICOM file and design an integrated database for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and exchange. The WISD system suggested in this paper separate the DICOM file transmitted by medical clinics to text data and image data and store it in the integrated DB(database) by standardized protocol respectively. It is very efficient that each medical clinic can search and exchange information by web browser using the suggested system. The WISD system can not only search and control of image data and patient information through integrated database and internet, but share medical information without extra charge like construction of new system.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 Lim Dong-Ok;Hwang In-Ch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3
    • /
    • pp.281-28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environmental index of the naturalized plants and exotic plants In the 16 sites in Gayasan National Park from March to October 2004. The exotic plants were recorded as 88 taxa, 39 families, 72 genera, 82 species, 5 varieties and 1 form. The naturalized plants among the exotic plants were certified as 47 taxa. The Naturalized Ratio (NR) was 4.06% and the Urbanization Index (UI) was 17,74% in area of Gayasan National Park. The naturalized plants were distributed around the region that had accepted artificial disturbance however, it was so difficult to identify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conserved area as well as natural vegetation without artificial turbulence. The naturalized plants appeared as almost all speciesas 37 taxa (72%) which both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Although a national degree for integrated management plans of exotic plants is needed, distribution and steady management of exotic plants in Gayasan National Park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natural species.

A Study on using Media_Pacade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s (건축문화재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미디어 파사드 활용에 관한 연구)

  • Jeon, jong-min;Kim, na-yun;Kim, S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1-302
    • /
    • 2012
  • 건축문화재의 지속가능한 보전방안으로 현대적 감각으로 그 가치를 실현시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그 실행 안으로 미디어 파사드를 제안하였다. 미디어 파사드는 기술과 예술의 결합으로 통합의 시대인 오늘날 가장 트랜디한 콘텐츠로 여겨진다. 따라서 미디어 파사드를 건축문화재에도 활용 가능할 때 프랑스 리옹시의 빛 축제 같은 새로운 콘텐츠 생산도 가능하리라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서울시 공공디자인 규제 법안으로 미디어 파사드 활용이 어려운 국면에 놓여있다. 이에 규제 법안과 그에 대한 해결점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3D composited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surface vehicle (무인 원격 이동체를 활용한 3차원 복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

  • Ho Soo Lee;Chang Hyun Lee;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6-86
    • /
    • 2023
  • 최근에 들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통합물관리에 있어 수리량과 수질을 연계한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수리량과 수질 분야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 분야의 개별적 연구로 인해 수리량과 수질을 통합하여 모니터링 하는 기술 개발은 미흡한 수준이다. 또한 수질 측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있는 채수 기준에 따라 채수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채수 지점은 하천의 수심별로 달리하여 정해진다. 수리 측정은 현장계측을 통한 2차원적 계측으로 진행하고 있어 수질 측정 시 채수지점과 수리 측정지점은 일치하지 않는다. 동일 지점에서의 수질과 수리량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지 못한 모니터링은 본류와 지류의 혼합거동이 많은 국내 하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현재의 수질·수리 모니터링은 ADCP나 다항목수질측정기 같은 고가의 장비를 운영하며, 홍수기와 같은 고위험 계측 조건에서 인력을 통해 측정하고 있기에 고비용의 장비운영비와 인명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무인 원격 기술을 적용한 하천 모니터링 기술과 수질과 수리량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3차원 모니터링 기술의 확보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무인 원격이동체인 ROV와 무인 원격이동체(USV)를 활용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 특성을 고려한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ROV에 수중 GPS 장비와 수질센서를 부착시켜 수중 내 2차원으로 측정되는 수리량과 동일한 좌표를 가지는 수질자료를 계측하여 하천의 연직 분포와 수평적 분포를 통해 화학적 수리적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의 3차원 혼합거동 양상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무인 원격이동체를 통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은 하천의 3차원 분석에서 수질·수리량 보간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전반 및 통합물관리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Analyzing the Implement System Shift of Land Policies (토지정책 추진체계 변화 연구)

  • Kim, Mi-Suk;Yun, Jeong-Ran;Park, Sang-Ha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439-452
    • /
    • 2011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land policies implement system based on analysis of existing those of Korea with the paradigm shift of land policies. We classify the land policies into land ownership, land use, land development and land management ones, and then analyze their implement system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s : firstly, the land policies implement systems have been set to large scale and rapid development. Secondly, although the systems have been specialized by their areas, the comprehensive manage systems for the harmony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are lacking. Thirdly, the parts of the central government powers related to land use has been hand covered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participations of residences private companies have enlarged in the land development. Fourthly, the purposes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on land use have been changed from tax collection into planned land use, but the information management has not met the need of planned land use. This study shows that firstly, the implement system focusing on large development projects might be no longer effective because of high possibility of the property prices stabilization, so moderately small ones must be found. Secondly, the system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and to realize the efficient utility of land is need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take the actual measures to participate a variety of subjects. Fourthly, the system modification of the land information manage system as land policies infra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tegral land policies.

Suggestions on the Estuarine Research Projects for Integrated Estuarine Management in Korea (통합적 하구관리 지원을 위한 우리나라 하구역 연구사업 현황과 정책방향 제언)

  • Cho, Hyun-Jeong;Ryu, Jong-Seong;Lee, Kang-Hyun;Lee, Bum-Yeon;Kang, Dae-Seok;Khim, Jong-Seong;Nam, Jung-Ho;Lee, Chang-He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6 no.4
    • /
    • pp.212-222
    • /
    • 2011
  • Estuaries have been used competitively and exploited for the past decades in Korea. To preserve the environment of the estuaries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new policies have started to change such exploitative development in 2000s. Due to the poor knowledge-bas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upport system which enables to execute such policies effectivel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limits of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which is being perform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was studied through Gap Analysi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practices as well as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on expert survey in terms of the three aspects: how well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meets the demands of policy making and administration; raises the awareness of citizens about the meri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stablishes knowledge-based support system. This project turned out to reflect adequatel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building estuarine management systems. But consideration of other ministries was relatively scarce. But the contents which directly support community-based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citizens' awareness were judged to b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ap Analysis, research abou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stuarine ecosystems, which can support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in detail, was relatively more necessary. Therefore, to support estuarine policy management effectively, the development of a realistic plan, which can overcome fundamental issues inherent in the Kore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the limitation of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itself, is needed.

Contracture Strategy for Network of Biological Resources Information of based GRM (GRM기반의 생물자원정보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이계준;양진호;박형선;안부영;윤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48-150
    • /
    • 2002
  • 21세기는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이 많은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나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현재 많은 분야에서 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것은 생물자원부국이 앞으로의 선진 국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원이 부족한 국내 실정으로는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를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생물분야의 연구는 타 분야와는 다르게 지금까지 외면되어 왔기 때문에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가 부족하여 대부분의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운용되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운용되어지는 정보는 서로 표준화되지 못해서 정보의 재사용이나 공동활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보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표준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의 가공을 거쳐 Real-Time 접근이 가능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자원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국내 생물자원 네트워크 구성, 생물자원정보 통합 방법, 표준화를 위한 DTD작성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컴포넌트를 이용한 입력시스템 구축, 미디에이터 기법을 이용한 분산통합, GRM(Global Road Map) 작성을 통한 효율적인 정보의 접근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 PDF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and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in Integrated Yosu City (통합여수시 지역주민의 삶의 질 변화와 도시발전의 과제)

  • 이정록;이상석;추명희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 no.1_2
    • /
    • pp.123-144
    • /
    • 1999
  •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in the Integrated Yosu City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urban development. Research into the quality of life in local and region scale is interesting bot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ory and practice, and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social sciences since the 1960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quality of hie in the Integrated Yosu City. In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quality of life during the past five years,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positive evaluation of the changes of quality of urban life.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living facilities, urban administration and convenience services has relatively improved during the past five year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art and cultural opportunities, transportation options has been backward during the past five years. Therefore, the directions of urban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Yosu Cit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stablishment of a wide transportation network system, waterfront development, the activation of tourism industry and harbor works, the preparation of an urban landscape, the citizens'campaign for a community culture.

  • PDF

산업계 시각에서 바라본 통합환경관리제도의 나아갈 방향

  • Choe, Gwang-Rim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9
    • /
    • pp.20-22
    • /
    • 2014
  • 환경관리제도를 통해 산업계 전반의 환경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산업계가 스스로 현실에 적합한 기준을 설정 준수할 수 있도록 자율적 환경관리 틀을 마련해야 하며, 기존의 지도점검 차원이 아닌 상호 협력 차원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선진 유럽국가와 같이 배출허가와 관련된 사항을 산업계와 조율하고 허가절차가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산업별/기업별 특성을 고려한 규제구조의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