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디자인프로세스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9초

디지털 디자인 및 패브리케이션 프로세스의 합리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인테리어 패널 디자인 및 제작 사례를 기반으로 - (Rationalization Process for Digital Design and Fabrication -Based on the Case of Fabricating Interior Panels-)

  • 장수정;이현수;이진국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07-316
    • /
    • 2015
  •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건축 디자인은 CAD 및 CAM 기술을 기반으로 복잡한 형상의 표현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로써 작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비용절감과 품질향상에 관련된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재현성에 관한 논의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초기부터 제작가능성을 고려하는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념적 접근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통합적 접근의 일환으로써 합리화(Rationalization)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합리화는 비정형 건축의 곡면 패널의 제작과 관련되어지는 용어로써 제작과 관련된 요구조건을 검증하면서 본래의 디자인을 유지하는 디지털 모델의 재-디자인 작업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통합적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실험적 연구로써 생성-재현-구축의 세 단계로 구성되는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합리화의 개념을 적용시킨 연구 모형을 도출하여 디자인 과정에 적용시킨 인테리어 패널 사례를 제작하였다. 사례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분석한 결과, 각 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활용하는 합리화 과정의 순환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는 소프트웨어의 상호호환성과 하드웨어의 기능적 요구조건에 대한 검증을 바탕으로 의도된 디자인을 유지시키면서 디지털 모델을 수정 및 보완하는 순환적 프로세스로 정의할 수 있다.

A study on resource-constrained composite web service design

  • 민영빈;김동수;강석호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46-551
    • /
    • 2008
  • 기업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기업들은 최종 제품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효율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또한 기업들은 자사의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기업 구조를 재편하고, 핵심 역량 이외의 부분은 아웃소싱을 맡기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다양한 파트너들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공유하고, 결합 관계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성을 일찍 깨닫고 많은 기업들이 프로세스 혁신 작업을 수행하였다. 몇몇 기업은 주목할만한 큰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한 체 많은 비용만 소모한 기업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일들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디자인을 위한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방법은 프로세스 디자인을 시각화하고,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 분석 도구의 기능에 편중되어 있으며, 여전히 프로세스의 실제 디자인을 지원하는 형식적인 모델링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모델링의 응용 분야로 기업 어플리케이션 통합으로 각광받고 있는 웹 서비스를 선택, 웹 서비스로 이루어진 프로세스의 최적화된 디자인을 지원하는 수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웹 서비스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Backward Recovery 방법 (A backward recovery method for web service driven business process management)

  • 이순재;윤장혁;김광수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4
    • /
    • 2003
  • WS-BPMS(web service driven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은 기업 내 또는 비즈니스 파트너들 간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자동화한다. 이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검색한 후 BPEL4WS, BPML 등의 프로세스 메타모델을 이용하여 새 프로세스를 디자인하고 BPMS위에 전개 실행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디자인된 프로세스는 복잡하여 그 실행에 있어 체계적이고 확고한 기반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BPMS의 운영에 있어 pi-calculus를 기반으로 한 structured exception handling 방법론과 transaction 모니터링을 통한 backward recovery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서비스디자인과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비교연구 (Difference between Service Design and Product Service Systems)

  • 시에쉬안나;이성필
    • 서비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94-105
    • /
    • 2022
  • 본 연구는 탈산업화 사회의 관점에서 서비스 디자인 및 제품 서비스 시스템(PSS)의 차이점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명확히하고 새롭게 통합된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서비스 디자인은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혁신하고 지속적인 탐색과 반복 과정에서 생가는 문제를 해결하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 접근 방식이다. 그러나 PSS는 기업을 위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전략으로서 고객에게 제품과 서비스의 통합 기능을 제공하고 시스템 프로세스를 최적화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방법을 통해 서비스 디자인과 PSS의 개념과 연구 현황, 디자인 방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진행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과 PSS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종 내용은 서비스 디자인 개념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 경험을 PSS의 설계 프로세스에 통합하여 시스템화한 프로세스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제안하였다.

공간디자인의 창의성 연계 교육 연구동향 -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Trend of Creativity-related Spatial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Design Process)

  • 안소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441-4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창의성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공간디자인 교육과 다른 디자인 분야의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간디자인의 창의성 연계 교육연구는 다른 디자인교육에 비해 빈도가 낮았으며, 디자인프로세스 중 아이디어의 조형적 표현에 관련된 연구가 많았다. 이에 반해 타 디자인분야의 창의성 교육은 전체 프로세스와 연계된 것이 가장 많았고, 주요내용은 IT기법의 활용, 학습이론의 활용, 융합을 통한 창의성증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서 다양한 교육시도들이 요구되며, 새로운 IT기술은 물론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통합적 접근과 인문학과 과학, 과학과 예술의 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EPEM방법론을 이용한 분산 정보 통합 시스템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Business Process Modeling for A Distributed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using the EPEM Methodology)

  • 김종환;박혜숙;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370-372
    • /
    • 2002
  • 분산 정보 통합 시스템(DIIS) 프로젝트는 기업집합환경 하에서 운영되고 있는 분산된 이기종의 비즈니스 정보 시스템들을 물리적 통합이 아닌 논리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통합정보를 웹 기반으로 제고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하나의 중앙 집중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 분산된 이기종의 각 시스템의 데이터 모델이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를 전혀 변경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할 때 하나의 비즈니스 표준인 UML을 확장한 방법론인 EPEM을 DIIS에 적용함으로써, DIIS의 핵심 관리자인 Query Mediation Manager 프로세스와Query Processing Manager 프로세스에 대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하였고, 또한 디자인된 프로세스와 추출된 패키지 사이에 상호작용을 전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어셈블리 라인 다이어그램을 모델링하였다.

  • PDF

컴퓨터 응용 제품개발 환경 하에서의 산업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ustrial Design in Computer Aided Product Development)

  • 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84-93
    • /
    • 1995
  • 최근 들어 디자인 문제가 고도로 복잡화되어 감에 따라 제품의 디자인도 제품개발이라는 이름으로 관련 학문들과 통합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협동 작업화 되어 가고 있다. 이와 아울러 이러한 협동작업과 통합화된 프로세스에 대한 컴퓨터의 응용 또한 본격적으로 진행중이다. 이에 본 논문은 최근 제품개발과 관련지어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컴퓨터 응용 현황을 분석해봄으로써 디자인 협동작업을 위한 기초적 틀을 마련하는 것을 그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우선 디자인 프로세스의 발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디자인에 있어서 그 그룹 협동작업의 중요성을 밝힌 다음 제품개발에 있어서의 통합화 경향과 협동작업을 동시공학과 QFD의 경우를 들어 예시하였다. 이어서 제품개발의 통합화된 그룹 협동작업을 위한 컴퓨터 응용 연구 현황을 블랙보드 시스템과 제품의 형태창출 시스템을 통하여 파악한 후 디자인을 위한 컴퓨터 지원 협동작업을 기본적 연구 방향을 사례를 들어 나타내었다. 끝으로 금후 컴퓨터 지원 디자인 협동 작업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국내 중소 제조기업 실무 적용을 위한 UX 디자인 프로세스 및 방법론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UX Design Process and Methodology for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 장혜진;유승헌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55-270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 제조기업에서 실무 활용에 괴리가 있었던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이론적 지식을 실제 제조 프로세스의 최적화 모델에 매핑하기 위해 체계화된 UX 방법론을 선택하여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학계의 이론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UX 디자인 프로세스 7개 모델을 속성과 단계별 결과물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후 국내 18개 기업과의 인터뷰, 관찰을 통해 현장에서 실제로 수행 중인 실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이론과 실무의 동질성, 차이점, 방법론을 비교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이론-실무 통합 방법론 100개를 도출하여 PLUS 프로세스 6단계에 따라 최적화된 UX 방법론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후 기업별 인터뷰를 통해 각 방법론을 적용했을때 자사 프로세스와의 일치성, 자사 리소스의 한계, 특성 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국내 기업의 니즈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UX 방법론의 표준 플랫폼을 제안하여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기초연구로써 국내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기술과 동시공학 개념을 활용한 신차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of Automobile Based on Concurrent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 이우영;문무경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4-65
    • /
    • 1999
  • 오늘날의 가혹한 제품개발 환경은 보다 경쟁력 있는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요구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제품개발기간(PDT)을 단축하는 것이 주요과제인 이 새로운 제품개발방식은 컴퓨터상에 가상공간을 만들어 제품의 기획, 설계, 제조를 통합하는 기술로 지칭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