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증 관리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25초

급성통증관리 간호사 주도의 수술 후 통증관리 현황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Status led by Nurse of Acute Pain Service)

  • 강미라;류정옥;김명희;윤혜신;권정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3호
    • /
    • pp.296-30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objective stability of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status managed by nurse-based, anesthesiologist-supervised Acute Pain Service (APS). Method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review was conducted with 5,748 patients who had used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cs, Frequency analysis, ANOVA, Cross tabulation with χ2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As the APS nurse's education date increased, the period of using PC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nger, and the period of stopping PCA while using it became shorter (p<.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st painful operations were extremities, spine, upper abdomen, and thorax, while the least painful surgery was lower abdomen (p<.001). Lower abdominal surgery used the highest amount of PCA (p<.001), and extremities and spinal surgery, the lowest amount of PCA and frequently stop using it (p<.001). The most common side effects were nausea and vomiting after surgery, with an incidence of 16.0% within 24 hours and 9.8% within 48 hours. The overall error caused by PCA was 1.5%, with 84.3% being caused by human errors. Conclusion: With the pain management effect of APS nurses, patients used PCA more effectively. There were also fewer side effects and error rates compared to prior stud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is system is safe and effective for pain management.

맞춤형 방문간호사의 재가노인 만성 근골격계 통증 사정 및 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Customized Visiting Nurse'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Older Adults)

  • 양순옥;이승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1-320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visiting nurse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older adul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5 visiting nurses working at 24 public health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ne to July, 2008. The SPSS/WIN 13.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Of the visiting nurses, 195 (77.4%) reported lack of pain education for nurses. The education of exercise (83.3%) was used most frequently by nurses as a pain intervention. Barriers to effective pain management were inadequate pain management guidelines and lack of pain education for nurs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in management and to develop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for visiting nurses managemen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간호사의 암환자 통증관리 및 통증지식에 관한 연구 (Pain management and Pain knowledge of Nurses)

  • 최소영
    • 종양간호연구
    • /
    • 제4권1호
    • /
    • pp.82-90
    • /
    • 2004
  • Purpose: This study is part of questionnaire survey concerned with the views of nursing staff for cancer patients.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cancer pain management problem, pain management knowledg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8 nurses at cancer ward.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03 to August 2003. Data were collected with multiple-choice items and one open-ended question, which were constructed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statistical software and content analysis. Results: Experiences of pain education are 53.7%, pain assessment sheet not use 86%, pain management status are partial. Education need of pain management was 87.8% patients in pain were very often(23.9%) or rather often (35.1%) cancer patients. The nurses are respond to open question. Pain management problems as assessed by nurses are categorized 11 item. The health professional problems are Knowledge deficit pain management, Incontrollable pain, Doctor's busy. The patient problems afraid of narcotics for addiction, side effect, distinguishing between physical and suffering, economical problem. The scores of knowledge about pain was average 16.7 score. The pain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ducation need(r=.180, p=.013). The effective variable was need of $education({\beta}=.163)$.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ain knowledge was middle score and pain management problem was multiple.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increase pain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should be done to improve pain management problem.

  • PDF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 분석 (Analysis of Pain Records for Cancer Patients Complaining of Moderate or Severe Pain)

  • 박란희;조옥희;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70-27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을 분석하여 통증의 특성과 통증완화를 위한 중재 및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2011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C 대학교 병원의 암병동에 입원 환자 중 재원일수가 3일 이상 30일 이하이며,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NRS로 측정한 통증의 강도가 4점 이상인 363명이었다. 결과: 입원 후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한 건수는 1,394건이었다. 통증의 부위는 복부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악화요인은 움직였을 때가, 완화요인은 진통제를 투여받았을 때가 가장 많았다. 통증의 유형은 돌발성 통증이 가장 많았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 비약물적 중재 중 온요법이 가장 많았다. 약물을 투여하기 전 통증의 강도는 평균 6.68점이었으며 약물투여 후 1시간에 평균 2.81점으로 감소되었다. 정규처방으로 진통제를 투여한 경우는 52.2%였으며, 마약성 진통제 중 Morphine sulfate가, 비마약적 진통제 중 Gabapentin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퇴원 시 통증의 강도는 3점 이하가 82.5%였다. 결론: NRS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는 입원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을 조절하는 암환자와 가족은 물론 간호사를 대상으로 약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교육하고, 또한 퇴원 후 가정에서 환자와 가족이 통증을 평가하고 기록하여 추후 치료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성 관절통증이 있는 취약계층 재가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 Dwelling Vulnerable Older women with Chronic Joint Pain)

  • 유재순;함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55-367
    • /
    • 2018
  • 본 연구는 C시에 소재한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 대상 노인 중 만성 관절통증이 있는 65세이상 취약계층 재가 여성노인 234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일반적 특성, 통증양상, 통증정도, 지각된 건강상태, 일상생활능력, 수면양상, 우울, 삶의 질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7년 2월 16일부터 3월 13일에 걸쳐 수집되었으며,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우울(${\beta}=-.60$, p<.001), 통증정도(${\beta}=-.15$, p=.007), 의료보장 유형(${\beta}=.15$, p=.001), 지각된 건강상태(${\beta}=.14$, p=.007), 통증지속기간(${\beta}=-.10$, p=.019), 결혼상태(${\beta}=.10$, p=.024), 일상생활능력(${\beta}=.09$, p=.036)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총 설명력은 63.1%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만성 관절통증이 있는 재가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체계적인 우울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이 우선 실시되어야 하며, 특히 경제적으로 취약한 공적부조 대상 노인의 삶의 질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통증 발현 초기부터 통증에 대한 정확한 사정을 토대로 통증완화중재 개입을 시행해야 한다.

수술환자를 위한 웹 기반 근거중심 실무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the Operation Patients)

  • 홍성정;장재식;전영훈;이은주;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31-139
    • /
    • 2011
  • 본 연구는 수술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수술 후 통증, 수술 후 오심 구토, 체온관리에 대한 웹 근거중심 실무 가이드라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하고 수술 환자의 수술 후 통증, 오심/구토, 체온관리에 대한 의료인의 지식정도와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Repeated ANOVA로 분석하였다. 웹으로 구축한 근거중심 실무 가이드라인 적용 전과 후의 수술 후 통증, 수술 후 오심/구토, 수술환자 체온관리에 대한 지식정도와 환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수면양상과 삶의 질에 관한 예측모형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the Perceived health status, Pain, Sleep patter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장경오;임정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36-4345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수면양상과 삶의 질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삶의 질 예측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일개 시 복지관 이용 노인과 방문건강관리 대상 노인 276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로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수면양상,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PASW와 AMOS로 분석하였다.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수면양상이 노인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경로모형은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x^2$/DF=1.393, p=.077, GFI=.971, TLI=.983, CFI=.989, RMSEA=.038).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169), 통증(.322), 수면양상(.214)은 삶의 질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지각된 건강상태는 통증(.374)에, 통증은 수면양상(.193)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지각된 건강상태와 통증은 삶의 질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부정적일수록 통증과 수면양상이 나빠지고 삶의 질이 저하됨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통증, 수면 관련 중재 시 노인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정도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고 중재적용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경병증성 통증의 처리 과정에 있어 중추신경계의 가소성 변화 비교 (Comparisons of the Plastic Chang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the Processing of Neuropathic Pain)

  • 권민지
    • 감성과학
    • /
    • 제24권2호
    • /
    • pp.39-48
    • /
    • 2021
  • 국제통증연구학회(IASP)에 따르면, 신경병증성 통증은 정상 조건에서 중추신경계에 유해한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계 기능 장애로 특징 지워진다. 이런 통증은 말초 혹은 중추 신경계에 확인 가능한 병변이 있는 질환과 어떠한 신경에도 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상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 가지 상황 모두 장기적이고 만성적인 변화과정을 겪게 되며, 결과적으로 신경계가 부적절하게 적응하여 치유되기 어려운 만성통증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증 치료는 진단에서부터 치료까지의 과정이 어려운 탓에 현재까지도 특별한 해결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자기공명영상(f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법(PET), 광영상(optical imaging) 등 영상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 자극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반응을 영상화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 기법들을 통해 통증을 해석하고 처리하는 뇌 영역에서 시냅스 간 가소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신경병증성 통증을 비롯한 만성통증과 학습과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병리적 통증의 기전과 통증 자극에 따른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 대해 최근까지 밝혀진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만성적 통증의 정의와 발생기전을 되짚고 새로운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