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증감각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6초

배양 척수감각신경세포에 대한 살리실산 나트륨의 신경독성에 관한 연구 (Neurotoxicity of Sodium Salicylate on Spinal Sensory Neurons in Culture)

  • 이강창;최유선;박승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2호
    • /
    • pp.136-141
    • /
    • 2001
  • Background: Sodium salicylate (SS) is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for the treatment of neuralgia or pain from rheumatoid arthritis. When abused or used in excess, SS can induce cytotoxici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SS has a neurotoxic effect. Methods: Cell viability was examined by MTT [3-(4,5-dimethylthiazol-2,5-dipheny l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Sulforhodamine (SRB) assay after cultivating dorsal root ganglion (DRG) neurons derived from neonatal mouse. These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S for 24 hours. In addition, the amount of protein synthesis against SS was measured in these cultures. Results: Cell viability (20, $40{\mu}g/ml$ S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SS inhibited protein synthesis after the exposure of cultured mouse DRG neurons to $30{\mu}g/ml$ of SS for 24 hour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S is toxic in cultured DRG neurons derived from neonatal mouse by decreasing cell viability and the amount of protein synthesis.

  • PDF

소도구를 활용한 연부조직가동술이 주관절 외측상과염 환자에게 통증과 악력, 기능,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ft Tissue Mobilization Using Prop on the Pain, Grip Strength, Functional Activity and Proprioception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 안승원;유태근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2
    • /
    • 2017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o the effect of soft tissue mobilization using prop on the pain, grip strength and functional activity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were recruited. Before treatment, they were evaluat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grip strength, test, patient-rated tennis elbow evaluation (PRTEE), proprioception, and were reevaluated after six weeks of treatment.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ng all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grip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p<.05). And the VAS, PRTEE, and proprioception decreased significantly (p<.05).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soft tissue mobilization using prop can help improve pain, grip strength, PRTEE and proprioception. Also, soft tissue mobilization using Blackroll's Twister technique was able to select intervention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and the desired goal.

  • PDF

구강안면영역에서의 경피성 신경자극과 전기침자극요법이 전류인지역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 on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of Orofacial Region)

  • 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3호
    • /
    • pp.301-313
    • /
    • 1999
  • 구강안면동통 환자의 치료법으로 널리 쓰이는 전기요법은 연조직과 신경계 구조물에 대한 치료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저자는 현재 구강안면동통의 치료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전기요법들 중 경피성 신경자극(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과 전기침자극요법(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이 각각의 신경섬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정상 성인 남녀 29명에게 경피성 신경자극 및 전기침자극을 시행하고 시행 전 및 시행 후 삼차신경 영역의 3가지 종류($A{\beta}$, $A{\delta}$, C fiber)의 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CPT) 변화를 측정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경피성 신경자극 및 전기침자극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삼차신경 영역의 모든 신경섬유에 걸쳐 고른 전류인지역치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경피성 신경자극과 전기침자극 후의 전류인지역치 변화량은 서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경피성 신경자극 과 전기침자극 모두 3가지 종류($A{\beta}$, $A{\delta}$, C fiber)의 감각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에 영향을 미치며, 구강안면동통의 감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경막외강 유착제거술후 발생한 $S_2$ 피부분절부위의 감각변화 -증례 보고- (The Sensory Change on the $S_2$ Area after Epidural Adhesiolysis -A case report-)

  • 이상철;조대현;윤태균;이병건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1호
    • /
    • pp.256-259
    • /
    • 1996
  • Epidural adhesiolysis is a convenient and safe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back pain. However, we experienced a case where a patient developed sensory change to S2 area after epidural adhesiolysis. Male patient, 43 years old, was admitted to our pain clinic for epidural adhesiolysis for back pain. Patient was experiencing pain radiating to left thigh, and sensory change and motor disturbance to the S1 area. Patient's symptoms and signs were much improved on the first day of epidural adhesiolysis. Patient, however, complained of numbness of perineal and S2 areas after the next day of injections. We postulated the cause of this complication was due to: compression of nerve root by the large volume of injectate and hematoma, and the side effect of local anesthetic, hypertonic saline and steroid.

  • PDF

경막외 스테르이드 주입후 발생한 하지마비 -증례 보고- (Paraplegia following Epidural Steroid Injection -A case report-)

  • 정소영;송장호;이미라;이홍식;박동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1호
    • /
    • pp.106-112
    • /
    • 1994
  • 45세 여자 환자에서 요하지통의 치료를 위해 triamcinolone 40 mg과 0.125% bupivacaine 10 ml를 경막외로 주입한후 24시간에 걸쳐 하지마비 및 해리성 감각소설이 발생하였다. 그 원인은 분명하지 않으나 선행절환의 악화, 급성 횡단성 척수염, 전척수동맥증후군, 그리고 신경독성등이 추정된다.

  • PDF

스테로이드에 반응 않는 감각신경성 후각소실 환자에서 성상신경절블록의 효과 (The Efficacy of Stellate Ganglion Block in Sensorineural Anosmia Patients Unresponsive to Steroid Therapy)

  • 문호식;이해진;성춘호;임수진;최진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154-157
    • /
    • 2007
  • Background: Anosmia can be frustrating for both the patient and physician, with no clear treatment.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ellate ganglion block (SGB) in anosmic patients who were unresponsive to conventional steroid therapy. Methods: Thirteen patients with anosmia were treated with SGB. To evaluate the improvement in olfactory function, we evaluated both changes in subjective symptoms and the butanol threshold test. The number of SGB required for improvement in olfactory function was counted. Results: Seven patients (54%) showed improvement of olfactory function with SGB. The average number of SGB for the first response was $7.4{\pm}5.9tim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GB may be a good treatment modality for patients with anosmia unresponsive to steroid therapy.

금연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흡연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 윤경순;조숙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improve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ACS)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carbone monoxide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0 ACS pati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30), who receiv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study lasted from Aug 16, 2016 to Jan 13, 2017.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were measur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 monitor Result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this program revealed the experimental group to have a significant increase in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is effective for hospitalized patients after ACS.

삼차신경통 진단 및 치료의 중요 고려사항 (Clinical Considerations of Trigeminal Neuralgia)

  • 전영미;태일호;최종훈;안형준;심우현;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49-453
    • /
    • 2007
  •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하나 이상 분지에서 나타나는 안면 편측 통증 질환으로 짧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다. 삼차 신경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인접 삼차신경이나 삼차신경근 부위를 압박하는 혈관에 의하거나 특발성으로 나타나는 특발성 삼차신경통과 구조적 병소에 의해 나타나는 증후성 삼차신경통으로 분류된다. 증후성 삼차신경통은 수막종, 청신경종, 표피양암종 등이 주된 원인이며, 감각 결함, 운동 결함, 운동실조, 안구진탕 등과 같은 신경계 증상이 동반된다. 삼차 신경통의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와 외과적 치료가 있다. 이 중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Carbamazepine이며, 졸음, 현기증, 불안, 오심, 식욕부진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간독성, 골수 기능 억제 등의 위험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혈액검사, 간 및 신장 기능 검사가 필요하다. 이에 삼차신경통의 임상 증례를 통해 증후성 삼차신경통과 특발성 삼차신경통의 예를 들어 진단과 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여러 고려 사항들 중 특히 우리가 소홀히 하거나 간과하기 쉬운 중요 고려사항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가려움증의 신경전달 경로 (The Neurotransmitter Pathway of Itching)

  • 조정원;김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00-610
    • /
    • 2017
  • 가려움증의 분류는 수용체성 가려움증(Pruritoceptive itch), 신경병증 가려움증(Neuropathic itch), 신경성 가려움증(Neurogenic itch), 심인성 가려움증(Psychogenic itch)의 신경생리학적 기전에 따른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임상적인 기준을 통해 분류하기도 한다. 가려움증의 신경전달 경로는 히스타민-의존 경로와 히스타민-비의존 경로 2가지로 나뉘며 각 가려움증 매개체마다 서로 다른 수용체와 신경펩티드가 작용한다. 히스타민, BAM8-22, chloroquine 등의 가려움증 매개체는 히스타민-의존 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며 cowhage spicule, 단백분해효소(protease), TSLP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등의 매개체가 히스타민-비의존 경로와 관련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가려움증 매개체, 수용체, 신경펩티드는 가려움증 치료의 대상이 된다. 가려움증과 통증은 대표적인 유해자극으로서 과거에는 두 감각이 하나의 유해자극수용체를 통해 전달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최근 밝혀진 바에 따르면 가려움증과 통증은 독립적인 신경전달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두 신경체계는 서로 억제작용을 한다. 가려움증 뉴런의 선택적 소집단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이 이 주장에 무게를 싣고 있다. 또한 가려움증과 통증의 상호 길항작용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전으로 설명되고 있다. 최근에도 새롭게 연구되는 매개체와 수용체들이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히스타민 4 수용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T 세포 같은 면역세포 자체에 발현되어 있어 이 H4 수용체를 차단하는 치료제는 말초의 매개체를 차단하는 기존의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제와는 달리 가려움증 만성화에 중요한 염증 반응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가려움증의 기본적인 발생 기전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가려움증 매개체에 대한 연구는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로 이어질 것이며 이것이 가려움증 연구가 나아갈 바로 생각한다.

고주파 통증치료기를 이용한 재활 치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Radiofrequency Treatment)

  • 조재현;이상용;이근용;윤세진;정하영;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12-218
    • /
    • 2020
  • 인체에 고주파 에너지를 가하면 진동 폭이 매우 짧아서 직류 전류 이용 시 발생하는 전해질 화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온분자, 분극분자 등이 초당 4만 번 이상 진동을 하면서 마찰열로 전환되어 심부열을 발생시켜 모세혈관의 혈류량은 휴식 시 보다 4~5배 증가하여 산소, 영양물질, 항체, 백혈구 등 공급의 증가한다. 또한 진동 폭과 맥동기간이 매우 짧아 전기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는 물리적 인자치료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통증치료기를 사용하여 젊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등장성운동을 시키고, 등장성 운동 시 근전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운동신경 응답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재활치료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윗팔두갈래근의 등장성 운동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근전도 데이터와 운동 후 고주파통증치료기사용 후 측정된 근전도 데이터를 각각 RMS하여 t-검정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모두 t값, p값이 유의수준(<.05) 보다 작게 나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