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과율

Search Result 5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꽃사슴에 있어서 소화율 및 소화관내 통과속도의 계절간 차이

  • 김경훈;신향재;이상무;전병태;김창원
    • Korean Deer Journal
    • /
    • no.24
    • /
    • pp.4-11
    • /
    • 1995
  • 꽃사슴에 있어서 계절간 소화율의 차이와 사료의 통과속도와의 관계를 암사슴 4두를 공시하여 겨울과 여름에 각각 실시하였다. 사료의 통과속도는 Cr염색법을 이용하였고, 또한 비중별(0.91, 1.20, 1.55, 2.10g/ml) 통과속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plastic particle(PP)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그리고 NDF의 소화율은 겨울철보다 여름철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그리고 분중의 경시적인 Cr 회수율과 누적회수율에서 계절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중별 회수율에 있어서도 계절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중간의 차이는 유의성 있는 차이(P<0.05)를 보였다. 비중 0.90에서는 모든 사슴이 $6\%$의 미만의 낮은 회수율을 보였으나 1.20이상부터 회수율은 높아졌고, 비중 2.10의 PP는 $75\%$ 이상이 회수되었다. 그리나 비중 1.20과 1.55의 PP는 개체간 변이가 심하게 나타나 최대 $95.1\%$에서 최저$1.3\%$의 범위를 보였다. 반추에 의한 이빨자국을 기초로 반추율을 조사한 결과, 비중 0.90의 PP는 약 $70\%$ 반추율을 보였으나 비중 2.10의 PP는 $5\%$미만의 반추율을 나타내어 비중이 높을수록 반추되지 않고 보다 빨리 2-3위구를 통과하기 때문에 통과속도가 빨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KSTAR 중성입자빔 소송라인 해석

  • 임기학;권경훈;조승연;김진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7-37
    • /
    • 1999
  •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핵융합 토카막 실험 장치의 플라즈마 가열을 위한 수소 중성입자빔 수송라인 내에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열속 및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빔의 통과율을 해석하였다. 43cm$\times$12cm 크기의 이온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빔의 공간적 분산은 기본적으로는 Gaussian 분산(수직바향으로 1.2$^{\circ}$, 수평방향으로 0.5$^{\circ}$)의 형태를 가지지만 이온 가속 전장의 공간적 불균일로 인해 Gaussian 분산에서 다소 벗어나는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이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정립하였다. 해석에 고려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이온원을 수많은 점원의 집합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점원으로부터 주어진 공간적 분산을 가지는 이온들이 방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방출된 이온은 중성화 과정을 거쳐 40%의 이온만이 중성입자화되며, 중성화되지 않은 60%의 이온들은 bending magnet에서 ion dump로 유도되어 사라지며, 나머지 중성입자들은 직진 운동을 하게 된다. 빔 진행 도중 빔 중앙에서 크게 벗어나는 일부 중성입자들은 여러 겹으로 존재하는 빔 collimator에 의해 단계적으로 제거되며, 일부 중성입자들은 잔류 수소기체에 의한 재이온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여기서는 정립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이들 collimator에서 제거되는 양 및 재이온화 손실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플라즈마에 입사되는 중성입자 빔을 계산하였다. 한편, 빔 수송라인 설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설치 오차를 이온원 설치시의 오차와 빔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로 구분하여 이들의 의한 영향도 계산하였다. Gaussian 분산을 가정하였을 경우, 이온원에 가장 근접하여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수직성분의 열속은 9.7kW/cm2로 계산되었다. 이 열속을 제어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 collimator는 빔 라인과 거의 나란하게 설치될 것이다. 빔의 통과율은 약 33%로서 하나의 이온원에서 방출된 7.8MW 중 2.5 MW만이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on-Gaussian 분산의 경우, 최대 열속은 9.1kW/cm2로 다소 낮아졌으나, 빔통과율은 28%정도로 더욱 낮아졌다. 설치상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면, 이온원이 1$^{\circ}$ 정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면 collimaor에 가해지는 최대 열속 및 빔통과율은 약 15kW/cm2, 16.6% 정도로 나타나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의 영향은 이보다 훨씬 작아 5mm 오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최대 열속은 12kW/cm2까지 증가했으나, 빔 통과율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 PDF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the Estimation of Mass Conversion Rate in Weathered Granite Soils (화강암 풍화토의 토량 변화율 추정을 위한 인공신경망 적용)

  • 김영수;정성관;임안식;김병탁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2
    • /
    • pp.73-8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전국 4개 지구의 화강암 풍화토를 연구대상으로 현장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고 토량 변화율을 노상과 노체에 대하여 결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인공 신경망 중 오류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토량 변화율 C 값을 추정하고 신경망의 적용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화강암 풍화토에 대한 실내 및 현장시험 결과에서 얻어진 토량 변화율 C 값은 노상과 노체 구분 없이 최소 0.7에서 최대 1.2정도의 넓은 범위로 나타났다. 토지공사에서 제안하는 C값의 산정식과 본 연구 결과를 비교한 결과, 토지공사의 산정식에 의한 결과가 과대 평가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 자연 함수비, 자연상태의 습윤단위중량, #200 통과율 그리고 균등계수의 입력변수를 갖는 $I_{5-1}$$H_{30-30}$$O_1$의 신경망에서 다른 신경망 구조들보다 잦은 지역 최소점에 수렴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든 신경망 구조에서 시험결과와 신경망 결과의 상관계수는 0.9이상으로 나타나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인공 신경망에 의한 예측결과는 다양한 영향인자들 중에서 비중, 자연 함수비, 자연상태의 습윤단위중량 그리고 #200 통과율의 4개 변수만으로도 C값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상관계수는 0.96으로 나타났다.다.

  • PDF

Design of Multiple Filter-Banks for Analog Cochlear Chip (아날로그 달팽이관 칩을 위한 다중필터의 설계)

  • Lee, K.;Woo, Y.J.;Kim, J.H.;Cho, G.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3142-3144
    • /
    • 2000
  • 청각시스템의 저전력 및 가격의 저렴화를 위해 달팽이관의 BM(Basilar Membrain)모델을 아날로그 VLSI 마이크로 파워 공정으로 구현하고 있다. Lyon and Mead는 실리론 공정으로 달팽이관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다. 이는 단순 직렬 연결된 구조로 각 채널의 지연시간의 차이로 인해 인식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리의 주파수 정보 추출기능을 하는 직렬 연결된 트리구조(TSBF:Tree-structured Cascaded Bandpass Filter)의 16채널의 아날로그 중간대역통과 필터회로를 CMOS VLSI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직렬 연결된 저대역통과필터와 고대역통과필터로 각 채널의 중간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각 채널의 지연시간이 동일하므로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고대역통과필터를 1-poly 디지털 공정으로 구현 가능하고 기생 캐패시터의 영향을 적게 받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 PDF

Analysis of Bragg Reflection using Two-Dimensional Boundary Element Method (2차원 경계요소법을 이용한 Bragg반사 해석)

  • Kim, Yeong-Taek;Jo, Yong-Sik;Lee, Jeong-G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805-814
    • /
    • 2000
  • A numerical model based on the boundary element method is employed to describe diffraction of monochromatic water waves due to varying topographies. The model is firstly verified by comparing obtained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waves over a trench to those of the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The model is then used to investigate the Bragg reflection of waves over sinusoidally varying topographies. Calculated reflection coefficients are compared to available laboratory measurements and semi-theoretical results. A reasonably good agreement is observed.served.

  • PDF

Implementation of Diplexer using Heterogeneous Dielectric Multilayer Organic Substrate (이종 유전율의 다층 유기물 기판을 이용한 diplexer 구현)

  • Lee, Jae-Yong;Moon, Byung-Moo;Park, Se-Hoon;Yoo, Chan-Sei;Lee, Woo-Sung;Kim, Jun-Chul;Kang, Nam-Kee;Park, J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36-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oP-L(System on Package-Laminates) 기술을 이용하여 이종의 유전율을 가진 유기물 적층 기반의 수동소자를 이용한 GSM/DCS 대역 분리용 diplexer를 설계, 제작하였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SoP-L 기술은 LTCC기술과 같은 타 SoP 기술과 비교해서 이종의 물질을 접합하는데 용이하고 공정비용이 저렴하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캐때시터는 유전율 40의 고유전율 재료를 사이에 두고 구성하였고, 인덕터 부문에는 유전율 4률 적용, 정방혈 스파이럴 구조로 두 개 층으로 구성하여 소형화를 이룰 수 있었다. 제작 시에 구리와 유기물을 적층, patterning 하였고, 수직 via hole 을 형성하고 구리의 무전해, 전해 도금 과정을 거쳐 각 소자를 연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된 diplexer의 GSM 저역 통과 필터는 0.52 dB이하의 삽입손실과 20 dB 이상의 반사손실을 가지고 DCS 통과 대역 부근에 notch 가 존재하도록 설계함으로써 DCS 통과 대역에서 17 dB 이상의 저지특성을 나타내었다. DCS 고역 통과 필터는 1.2 dB 이하의 삽입손실과 16 dB 이상의 반사손실을 가지며 GSM 통과 대역 부근에 notch를 가지도록 설계하여 GSM 통과대역에서 32 dB 이상의 저지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Optimum BPF Bandwidth of Noncoherent Tau-Dither Loops for PN Code Tracking (PN부호의 동기추적을 위한 비코히어런트 TDL에서 최적의 BPF 대역폭)

  • 송문규;최흥택;차균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8
    • /
    • pp.1421-1432
    • /
    • 1994
  • The optimum design and performance of noncoherent TDL considering the effect of distortions due to the IF bandpasss filters are described. NRZ data and ideal filter is presumed in the simulation. The optimum filter bandwidth is calculated in the sense of minimizing the loop's squaring loss, which is equivalent to minimizing the loop's tracking jitter for a given data rate and data signal-to-noise ratio. As a result, the optimum filter bandwidth depends on the signal-to-noise ratio, and is obtained in the range of about 1-2 times of the data rate.

  • PDF

Wave Reflection over Doubly-Sinusoidally Varying Topographies (복합정현파형 지형에서의 파랑 반사)

  • 김영택;조용식;이정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3 no.3
    • /
    • pp.189-194
    • /
    • 2001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Bragg reflection of monochromatic water waves propagating over a train of doubly-sinusoidally varying topographies. A numerical model based on the boundary element method is firstly verified by calculating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waves over a trench. Calculated solution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The model is then used to simulated reflection of monochromatic water waves propagating over doubly-sinusoidally varying bottom topographies. Obtained reflection coefficien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available laboratory measurements, those of the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and the extended mild-slope equation. A reasonable agreement is shown.

  • PDF

The Study on the Effect of Target Volume in DQA based on MLC log file (MLC 로그 파일 기반 DQA에서 타깃 용적에 따른 영향 연구)

  • Shin, Dong Jin;Jung, Dong Min;Cho, Kang Chul;Kim, Ji Hoon;Yoon, Jong Won;Cho, Jeong Hee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32
    • /
    • pp.53-5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LC log file-based software (Mobius) and the conventional phantom-ionization chamber (ArcCheck) dose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arget volume. Material and method: Radius 0.25cm, 0.5cm, 1cm, 2cm, 3cm, 4cm, 5cm, 6cm, 7cm, 8cm, 9cm, 10cm with a Sphere-shaped target Twelve plans were created and dose verification using Mobius and ArcCheck was conducted three times each. The irradiat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point dose error value and the gamma passing rate (3%/3mm) as evaluation indicators. Result: Mobius point dose error values were -9.87% at a radius of 0.25cm and -4.39% at 0.5cm, and the error value was within 3% at the remaining target volume. The gamma passing rate was 95% at a radius of 9cm and 93.9% at 10cm, and a passing rate of more than 95% was shown in the remaining target volume. In ArcCheck, the average error value of the point dose was about 2% in all target volumes. The gamma passing rate also showed a pass rate of 98% or more in all target volumes. Conclusion: For small targets with a radius of 0.5cm or less or a large target with a radius of 9cm or more,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DQA based on MLC log files, phantom-ionized DQA is used in complementary ways to include point dose, gamma index, DVH, and target coverage. It is believed that it is desirable to verify the dose delivery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