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오크측정장치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비접촉 토오크센서의 개발(I)

  • 손대락;임순재;김창석;남궁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9
    • /
    • 1991
  • 자동차 엔진, 점프, 모우터 둥과 같은 회전동력장치의 일률이나 효율을 측정하거나 혹은, 회전동력장치를 과부하 없이 운용하고자 할 때 토오크센서를 이용한다. 이 때 사용되는 토오크센서는 대부분 strain gage와 slip ring을 이용하고 있는 데, 이러한 종류의 센서들은 감지된 토오크를 회전하는 축으로부터 외부로 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slip ring 이나 magnetic coupler와 같은 중간의 신호 전달장치 ( signal transmitter )를 설치하여야 한다.(중략)

  • PDF

분말사출재의 항복응력 측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 Yield Stress Measuring Technique for Powder Injection Molding Feedstocks)

  • Rhee, Byung-Ohk;Lee, Jang-hoon
    • 유변학
    • /
    • 제11권1호
    • /
    • pp.57-65
    • /
    • 1999
  • 분말사출재의 항복응력을 효과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수차 장치를 사용한 항복응력 측정장치를 개발하였다. 수차 방식은 벽면 미끄러짐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전단률에 따른 점도 변화 측정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수차 장치의 타당성 검토를 선형유체를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수차 장치의 양단에서 나타나는 오차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분말 현탁액의 일반적인 특징이라고 여겨지는 항복 시 발생하는 순간 최대 토오크는 측정 장치의 제어기 특성에 따른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하고 안정 토오크 영역을 항복응력 계산의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측정되는 토오크에서 수차의 회전 저항에 따른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속도에서 측정된 토오크를 선형함수로 근사하여 회전 속도가 없을 때의 토오크를 얻었다. 측정 방법의 일반적인 검증을 위해 텅스텐 카바이드 분말과 왁스계 바인더를 이용한 분말사출재의 항복응력을 온도와 분말 충전률 변화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 PDF

유도전동기의 자기적 소음에 대한 고찰

  • 황영문
    • 전기의세계
    • /
    • 제25권2호
    • /
    • pp.40-45
    • /
    • 1976
  • 유도전동기의 고주파진동토오크의 산정법에 대하여는 Morrill, Chang, Puchstein Kimball 및 Veinott씨 등에 의한 불평형공간자속분포의 대칭좌표법 또는 2회전자계법해석으로 많은 연구가 거듭되어 기계정수가 고주파토오크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풀이하고 있다. 또한 Jordan과 Lax씨에 의하여 편심 및 기계적진동에 따른 전자력파의 분포력 mode수 및 그 주파수를 개발함으로서 소음방지대책에 많은 진전을 보았다. 소음진동측정방법으로는 원래 진동측정이 정밀한 장치에 의존하여야 하며 그 방법 또한 어려운 점이 많아 method of 1-point measurement of electromagnetic-force waves로 처리되어 왔으나 요즈음에는 anechoic chamber와 같은 장치에서의 특별한 조작에 의하여 method of resultant measurement of accoustic noise powers에 의하여 보다 합리적인 소음측정 및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100,000 RPM급으로 회전하는 에어공구에서의 저토오크 측정에 관한연구 (Study on measuring the low torque on an air tool operating at 100,000 RPM class)

  • 김은종;조수용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18-2023
    • /
    • 2003
  • An experiment is conducte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n air tool, which is operated at 100,000 RPM at the unloaded state with the low torque. An experimental apparatus is developed as the power absorption type dynamometer. Inlet static pressure, flow rate, RPM and force are measured simultaneously. Torque, output power and specific output power are obtained. Those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on a commercial dynamometer. However, no commercial dynamometers are available for measuring the torque above 30,000RPM. In order to use the commercial dynamometer, a reduction gear is applied to the shaft of dynamometer. Torque and power obtained on the commercial dynamometer show 50% lower than those obtained on a power absorption type dynamometer, because the inertia force is added to the air tool rotor for the braking system. Moreover, the starting RPM on the commercial dynamometer is less than 40,000RPM. From the compared results, they show that the power absorption type dynamometer should be applie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n air tool operating at low torque and high RPM.

  • PDF

토오크 양에 따른 세라믹 브라켓의 파절 저항성 (Fracture resistance of ceramic brackets to arch wire torsional force)

  • 한정흠;장민희;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3-3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쓰이는 수종의 치과교정용 세라믹 브라켓에 교정용 호선으로 토오크 적용 시 파절에 저항하는 정도를 비교하고 그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022\;{\times}\;028-inch$ slot을 가진 상악 중절치 세라믹 브라켓에 $0215\;{\times}\;027-inch$ 스테인레스 강 교정용 호선에서 발생하는 설측 치근 토오크를 적용시켜 각 15개씩 7종의 브라켓을 시험하였다. 파절 시험용 장치를 제작하고 토오크 각도를 증가시키면서 만능시험기로 세라믹 브라켓이 파절되는 순간의 토오크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세라믹 브라켓의 파절 양상을 알아보고자 토오크 값 측정 후 파절이 일어난 부위를 관찰하고 그 위치를 기록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파절면을 관찰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세라믹 브라켓의 결정구조와 제조 방법이 파절 저항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결정 알루미나 (Inspire) 브라켓이 InVu를 제외한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에 비하여 토오크에 대한 파절 저항성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p < 0.05). Metal slot이 삽입된 브라켓은 그렇지 않은 브라켓과 토오크에 대한 저항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파절 양상에 관한 관찰에서는 metal slot이 있는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인 Clarity는 모두 절단측 slot base에서 부분적으로만 파절이 일어났고 다른 종류의 브라켓들은 다양한 부위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본 연구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세라믹 브라켓에서 파절이 일어난 순간의 토오크 값과 토오크 각은 실제로 상악 중절치의 치근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토오크보다 큰 것이었으므로, 실제 임상 치료 시 적절한 파절 저항을 나타낼 것으로 보였다.

750kW 풍력발전 시스템 전력변환장치의 시험 (Test ressults of an inverter system for 750kW gearless wind turbine)

  • 권세진;손윤규;장성덕;서재학;오종석;강신일;황진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771-1774
    • /
    • 2005
  • 가변속 직접 구동형 영구자석 농기발전기와 감속기(38:1)를 2 MW의 유도전동기축에 직결로 결합하여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통하여 발전기 단자전압을 인버터의 출력으로 계통에 전력을 전송하는 시험을 전기연구원에서 수행하였다. 인버터 출력 60 Hz의 상용전원으로 계통과 연계되는 동기발전기의 정격출력은 800 kW이며, 손실분을 제외한 인버터의 정격출력은 750 kW이다. 동기발전기는 속도 9 rpm에서 발전을 시작하여 정격속도인 25 rpm에서 정상적인 출력을 내도록 되어있다. 시험은 유도전동기 속도를 가변으로 각각의 속도에서 발전기 단자전압과 토오크를 측정하고, 정격속도에서 토오크 제어를 통한 최대전력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험결과 분석 및 계통사고, 발전기 단락사고와 같은 극한상황에서 전력변환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스템에 대한 국내 규정에 준하는 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 PDF

2MW 풍력발전 시뮬레이터 시스템 (Simulator System for 2MW Wind Turbine)

  • 최효진;길계환;김영찬;정진화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6-549
    • /
    • 2009
  •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효율적 전력변환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기 위해서는 바람의 특성을 실내에서 정확히 구현할 수 있는 모의시험장치인 시뮬레이터가 요구된다. 모의시험장치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대신 풍속 값을 입력하여 전동기가 발전기에 토오크(torque)를 공급하게 된다. 모의시험장치를 설계하고 구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블라인드의 관성시정수와 축소모델인 5.83kW 모델 발전기 설계제작 그리고 고효율의 전력변환장치 설계 및 인버터 특성 알고리즘 구현이다. 본 논문은 2MW Gearless형 풍력발전기 KBP-2000M을 400:1 축소하여 제작한 모의실험장치에 최고의 출력 파워를 얻도록 Pitch Control 알고리즘을 적용한 측정 결과를 소개한다.

  • PDF

헬리콥터용 반토오크 시스템 1차 시제 성능시험

  • 송근웅;강희정;심정욱;이제동;김승범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2호
    • /
    • pp.50-5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테일팬 1차 시제품의 성능시험에 대한 것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헬리콥터용 반 토오크 시스템으로 테일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제작된 1차 시제품의 성능시험을 위해 테일팬 성능시험장치를 제작하였다. 테일팬 성능시험을 위해 먼저 시험장치에 대한 제작 검증용 시험을 수행하였고, 다음으로 팬블레이드와 시험장치의 고유진동수를 확인하였다. 성능 시험용 시험장치 운용회전수를 결정하기 위한 운용시험을 수행하였다. 테일기어박스(TGB)에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단계적으로 회전수와 부착물들을 변화시켜가며 고유진동수와 진동 레벨을 확인하였다. 운용시험 결과로부터 테일팬 성능시험용 시험장치 운용회전수를 결정하였고, 무풍조건과 비행 조건에 따른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무차원화하여 분석하였고, 이 결과로 개발 시제품이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전기용량법에 의한 자기이방성 측정장치 (A Measurement System for Magnetic Anisotropy with Capacitance Method)

  • 이용호;이연숙;신용돌;문기원;노태환;김희중;강일구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0-36
    • /
    • 1991
  • 전기용량법에 의한 자기이방성 측정장치를 설계 제작하였다. 균이자기장 속에서 원판 또는 구형의 시료가 자기이방성에 의해 받는 토오크를 평행판 축전기의 미소용량 변화로 변환하여, 그것을 변압기 부리지 로 검출하였다. 3% Si-Fe 단결정의(100)면에 대한 입방 이방성 $K_{1}$$3.3{\times}10^{4}\;J/m^{3}$가 얻어졌으며, 교정에는 Ni선의 형상이방성을 이용하였다. 기타 수종의 시료에 대한 결과도 기존치와 좋은 일치를 보였다.

  • PDF

헬리콥터 로터 시험장치의 개발 및 공력소음특성의 측정 (Development of a Helicopter Rotor Test Rig and Measurement of Aeroacoustic Characteristics)

  • 이욱;최종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0-1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축소형실험을 통하여 제자리 비행하는 헬리콥터 주로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특성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동장치에서의 발생소음이 적은 저소음 로터시험장치를 설계/제작하였으며, 아울러 로터의 공력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동조건에서의 회전수, 추력 및 토크를 함께 계측하였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사용된 하중 측정장치의 교정을 통하여 이의 정확도를 확인하였으며, 두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 직경 1.2m의 축소형 로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측정된 추력값이 이론적 계산값과 비교하여 비교적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나 토크 측정값은 잘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소음 측정실험을 통하여 로터 구동장치로 인한 배경소음이 로터 소음에 비하여 현저히 작음을 확인하였고, 각 로터 발생소음원의 특성에 따라 날개끝 속도에 의하여 달리 무차원화 됨을 확인하였고 방향성 특성도 변화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