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 세균

검색결과 709건 처리시간 0.027초

형광 Peptide를 이용한 Streptomyces griseus IFO 13350의 인산화 단백질 동정 (Identification of a Protein Kinase using a FITC-labelled Synthetic Peptide in Streptomyces griseus IFO 13350)

  • 허진행;정용훈;김종희;신수경;현창구;홍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5-240
    • /
    • 2002
  • 방선균은 토양속에 서식하는 그람 양성 세균으로 세포성 장의 어느 시기에 영양세포가 이어져 연쇄상의 기균사를 형성하고 그 끝에 포자를 형성하는 동시에 생리학적 분화로 표현되는 다양한 이차대사물질을 생산한다. 이들의 복잡한 생활사에 따른 분화에는 진핵생물의 ser/thr protein kinase와 원핵생물의 his/asp acid protein kinase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전달 단백질들이 조절을 담당하고 있다. Akt kinase는 진핵생물에서 보고된 ser/thr kinase로.세포내의 다양한 신호전달기구를 조절하고 있으며, 세포내의 Akt kinase의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가 세포 증식, 분화, 생존, 세포사등의 신호전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방선균으로부터 Akt kinase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신호전달 단백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Akt kinae의 target단백질들의 인산화 부위 보존영역으로부터 나타나는 아미노산의 consensus sequence를 기초로 하여 형광물질로 라벨시킨 합성 peptide(FITC-TRRSRfESIT)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기질 peptide에 인산화가 일어나면 아가 로스 전기영동상에서의 운동성에 차이가 나타나고, 이를 자외선하에서 형광 peptide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인산화 assay를 실시하였다. S. griseus IFO 13350을 배양한 cell-free extract로부터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과 DEAE-Sepharose, Mono Q, Resource Phenyl-Superose, Gel permeation 등 수 단계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Akt 유사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그 결과 방선균에도 고등생 물의 Akt와 유사한 기질특이성을 갖는 인산화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중의 하나는 분자량이 39 kDa 정도의 크기를 갖는 단백질로 판명되었다. 지금까지의 인산화 단백질 연구는 활성측정법이 어려워 연구자들에게 많은 제한을 주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합성 peptide를 이용하는 방법을 보다 다양한 인산화 단백질에 대하여 적용한다면, 인산화 단백질 및 조절물질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온성 세균의 $\beta$-Galactosidase에 관한 연구 ( I ) - 분리고온균의 생리적 특성 - (Studies on the $\beta$-Galactosidase from Thermphilic Bacterium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Thermophile -)

  • 이종수;오만진;이석건;김찬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3
    • /
    • 1983
  • 고온균의 생리적 특성자 내열기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온천토양에서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고온균을 분리하여 동정하고 몇가지 주요한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그의 균체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공시균주는 Thermus sp. 으로 동정되었다. 2. 분리선정한 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65^{\circ}C$이었고, 37$^{\circ}C$에서 생육하지 않는 절대고온균 이었으며 최적pH는 6.5내외이었고 pH에 민감하였다. 3. NaCl에 대한 내성은 NaCl 1% 이상에서는 생육하지 못했다. 4.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은 penicillin G는 10$\mu\textrm{g}$/$m\ell$, chloramphenicol은 0.5$\mu\textrm{g}$/$m\ell$ 이었다. 5. Vitamin 요구성은 Ca-pantothenate와 pyridoxine-HCI를 절대적 생육인자로 요구하였고niacin을 자극적 생육인자로 요구하였다. 6. 공시균주의 균체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60.20%, lauric acid 11.80%, myristic acid 7.56%. behenic acid 4.25%, Capric acid 1.77%, stearic acid 2.13%, arachidic acid 1.53% 이었다.

  • PDF

Pseudomonas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단백질성 항생물질에 의한 효모 Candida 생육 억제 (Inhibition of yeast Candida growth by protein antibiotic produced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BB2)

  • 안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8-452
    • /
    • 2015
  •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 세균을 배추의 근권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API 20NE test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Pseudomonas fluorescens BB2로 동정되었다. P. fluorescens BB2 균주는 3%의 glucose가 포함된 YM 배지에서 $20^{\circ}C$로 배양하였을 때 효모에 대한 항생물질을 2차 대사산물로서 효과적으로 생산하였다. BB2 균주의 단백질성 항생물질은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과 N-butanol 추출에 의해 농축되었으며,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데 Candida albicans KCTC 7965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은 $10{\mu}g/ml$이었고, $80{\mu}g/ml$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하였다. N-butanol 추출에 의한 친수성 분획은 Bacillus cereus ATCC 21366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chrome azurol S 평판배지에서 주황색 halo를 생성하므로 철과 결합하는 siderophore를 포함한다. 세포막을 통한 crystal violet의 흡수를 조사한 결과 효모 C. albicans에 대한 소수성 항생물질 $60{\mu}g/ml$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막 투과성이 약 9% 증가하였다. P.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항생물질은 효모 Candida의 생육을 억제하는 antimicrobial peptide의 일종으로 보이며, 이는 Pseudomonas 속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Pseudomonas sp. AC-711이 생산하는 알칼리성 Cellulase의 부분정제 및 효소적 성질 (Partial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lkaline Cellulase from Pseudomonas sp. AC-711)

  • 윤민호;임상호;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31-137
    • /
    • 1998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호알칼리성 세균 Pseudomonas sp. AC-711 균주의 배양여액으로 부터 황산암모늄 침전,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Sephadex G-150 겔 여과의 과정을 거쳐 비활성이 9.4배 향상된 정제효소를 얻었다. 정제효소를 전기이동법으로 확인한 결과 미량의 타효소 성분이 혼재되어 있는 부분정제 효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주성분의 분자량은 46,000이었다. 정제효소의 CMC에 대한 Km값은 $15.4mg\;mL^{-1}$ 이었으며, Vmax 값은 $4.17{\mu}moles\;mL^{-1}\;min^{-1}$이었다. 정제 효소의 열 및 안정성의 범위는 $60^{\circ}C$ 이하, pH 4.0~11.0 이었으며 작용최적 온도는 $60^{\circ}C$, 최적 pH는 8.0이었다. 정제효소의 CMCase 활성도는 0.05%의 ${\alpha}$-Olefin sulfonate,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Sodium doecylsulfate, 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Tween 80등의 계면활성제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Ca^{2+}$, $Cu^{2+}$, $Co^{2+}$등에 의하여 부활되는 반면에 $Hg^{2+}$ and $Zn^{2+}$등은 효소활성을 저해하였다. 또한 정제효소는 결정형 섬유소보다 CMC에 대한 활성이 높았고, 낮은 수준의 xylan및 pNPG에 대한 분해력을 가지고 있으며, pectin과 inulin에는 작용하지 못하였다.

  • PDF

β-galactosidase를 생성하는 고온성(高溫性) 세균(細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β-galactosidase Producing Thermophilic Bacterium)

  • 이종수;김찬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77-386
    • /
    • 1982
  • 고온균(高溫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과 내열기구(耐熱機構)에 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온천토양(溫泉土壤)에서 ${\beta}$-galactosidase를 생산(生産)하는 고온균(高溫菌)을 분리(分離)하여 동정(同定)하고, 몇가지 주요(主要)한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하였으며, 그의 균체지방산(菌體脂肪酸) 조성(組成)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beta}$-galactosidase를 생산(生産)하는 공시(供試) 균주(菌株)는 Thermus속(屬)으로 동정(同定)되었다. 2. 분리선정(分離選定)한 균주(菌株)의 최적(最適) 생육온도(生育溫度)는 $65^{\circ}C$이었고, $37^{\circ}C$에서 생육(生育)하지 않는 절대(絶對) 고온균(高溫菌)이었으며 최적(最適) pH는 6.5내외(內外)이었다. 3. NaCl에 대(對)한 내성(耐性)은 NaCl 1% 이상(以上)에서 생육(生育)하지 못했다. 4. 공시균주(供試菌株)의 항생물질(抗生物質) 내성(耐性)은 Penicillin G는 $10{\mu}g/m{\ell}$, Chloramphenicol은 $0.5{\mu}g/m{\ell}$이었다. 5. Vitamin 요구성(要求性)은 Ca-pantothenate와 pyridoxine-HCl을 절대적(絶對的) 생육인자(生育因子)로 요구(要求)하였고 niacin을 자극적(刺戟的) 생육인자(生育因子)로 요구(要求)하였다. 6. 공시균주(供試菌株)는 최대(最大) 흡수파장(吸收波長)이 420nm 부근(附近)의 색소(色素)를 생성(生成)하였고 그의 생성능(生成能)은 약(弱)하였다. 7. 공시균주(供試菌株)의 균체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palmitic acid 60.20%, lauric acid 11.80%, myristic acid 7.56%, behenic acid 4.25%, capric acid 1.77%, stearic acid 2.13%, arachidic acid 1.53%이었다.

  • PDF

고추 역병 방제를 위한 저영양 길항세균 7F 균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the Oligotrophic Bacteria Strain 7F Biocontrolling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Red-pepper)

  • 김동관;여윤수;권순우;장길수;이창묵;이미혜;김수진;구본성;윤상홍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41-47
    • /
    • 2010
  • 고추 역병이 발생한 충주, 안면, 태안, 안동, 음성 그리고 괴산지역의 고추밭 토양에서 전체 10,753균주의 저영양 미생불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 Phytophthora capsid를 포함하여 식불체의 주요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길항작용을 보이는 균주들을 일차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온실 고추유묘 검정을 통해 고추 역병에 대해 탁월한 방제가를 보이는 7F 균추가 선발되었다. 이 균주는 16SrDNA염기서열 분석과 API20 NE 키트를 통한 생리, 생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 되었다. 고추 역병균 포자를 처리한 고추 유묘 화분 검정에서, 처리25일 후 대조구는 고추 역병 이병 비율이 87%에 이르는 반면에 7F 균주를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단지 6%의 이병율을 보였다.

소나무 유묘에서 송이 외생균근 형성 균주의 선발 (Selection of Ectomycorrhizal Isolates of Tricholoma matsutake and T. magnivelare for Inoculation on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In Vitro)

  • 가강현;박현;허태철;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8-152
    • /
    • 2008
  • 토양매질에 1/2 PDMP 배지를 넣고 소나무 유묘를 키운 후, 송이와 미국 송이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송이균을 접종하고 관찰하였다. 접종 4개월 후, 송이 감염률, 송이향기 및 하티그 넷 층을 조사하였다. 송이와 미국 송이의 외생균근 형성은 12개 균주 중 9개 균주에서 성공하였으며, 송이 균근 형성 정도는 균주별로 차이가 있었다. 송이균근이 형성된 것은 송이 향기도 매우 진하게 발생한 반면, 세균과 사상균에 오염된 소나무는 송이 균근이 형성되지 않았고 역겨운 냄새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송이 향기 유무를 가지고도 송이 균근 형성 유무를 판단할 수 있었다. 송이 균근은 초기에 비분지형과 가지 친 모양으로서 뿌리털이 없었다. 후기에는 맨틀 층과 하티그넷 층을 나타내었으며, 균근이 형성된 부근의 뿌리는 검게 변했다. 균주 간에는 예천에서 1995년 분리한 균주가 타 균주에 비하여 훨씬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어 균주 선발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hingomonas sp. KS 301의 Superoxide Dismutase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in Sphingomonas sp. KS 301)

  • 강희정;정재훈;최지혜;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3-90
    • /
    • 2007
  • 유류오염 토양에서 난분해성 물질인 PA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들을 잘 분해하는 균주 중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이 높은 균주인 Sphingomonas sp. KS 301의 SOD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mmonium sulfate 침전, DEAE-Sepharose 크로마토그래피, Superose-12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Uno-Q1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SOD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Sphingomonas sp. KS 301은 DEAE-Sepharose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기존의 알려진 세균들과는 달리 서로 다른 5가지의 SOD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중 SOD III를 부분 정제하였다. 정제한 SOD III는 Mn type 및 Fe type Escherichia coli SOD와 비교했을 때 비활성도(specific activity)가 5배로 높게 나타났다. SOD III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는 23 kDa으로 측정되었으며 Superose-12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후 native 상태의 분자량은 71 kDa으로 정제한 SOD는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정제한SOD III의 최적 pH는 7.0 이었고 $20^{\circ}C$에서 최적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SOD의 종류를 알 수 있는 억제물질 $NaN_{3},\;H_{2}O_{2},\;KCN$를 이용한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더니 $NaN_{3}$에만 억제되어 Mn type의 SOD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효소의 아미노 말단의 아미노산 서열은 Psudomonase ovalis 및 Vibrio cholerae의 SOD와 가장 유사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성 세균 Pseudomonas sp. HN37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HN37)

  • 정다희;장동호;김영은;정미랑;한규웅;김형배;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39
    • /
    • 2014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원유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총 144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이중 유화능과 성장률 그리고 표면장력활성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 HN37이라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Pseudomonas sp. HN37는 여러 종류의 지방족 탄화수소와 3,5-dinitrosalicylic acid와 2,4-dichlorophooxyacetic acid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그리고 이 균주는 암피실린과 클로람페니콜 항생제와 Ba, Cr, Li, Mn 중금속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었고, pH 6.0-9.0과 $30^{\circ}C$에서 성장능과 표면장력활성, 그리고 유화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Pseudomonas sp. HN37는 1% (v/v) 원유 농도와 1%(w/v) NaCl에서 최대 유화능과 표면장력활성을 나타내었고, LB배지에서 배양 15시간 후에 표면장력활성이 62 dyne/cm에서 27 dyne/cm까지 감소하였다.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Assessing Biological Safety of the Hanwoo Serum Obtained During Slaughtering Process)

  • 김민수;유지은;민경호;김지회;최인호;남상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59-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성체 한우의 도축과정 중에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및 바이러스의 검출과 동정을 실시하였다. 검사를 실시한 대부분의 혈청에서 전염성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고 두 개의 혈청에서 토양 유래의 것으로 추정되는 Bacillus thuringiensis가 검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도축되는 한우는 생물학적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안전장치를 통해 도축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한우의 도축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을 수 있는 혈액을 안전한 생물학적 제제로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