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 미생물상(土壤 微生物相)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4초

고추역병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phthora Blight-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AH18 and Bacillus licheniformis K11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 박기춘;임종희;김상달;이영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3호
    • /
    • pp.121-125
    • /
    • 2009
  • 고추역병에 대한 길항미생물로 선발된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미생물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토양에 처리한 후 토양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토양미생물 생태의 변화는 토양에서 인지질 지방산을 추출한 후 전체 지방산과 지표 지방산의 상대적 비율로 분석하였다. 전체적 인지질 지방산 구성과 각 지표 지방산 분석에 의해서 B. subtilis AH18 처리구는 무처리 대조구와 완전히 구분되었다. 전체 토양미생물상을 B. subtilis AH18 처리가 바꾸었고 세균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곰팡이세균 비율을 높였으며, 그램음성균/그램양성균의 비율을 낮추었으며, 혐기성균/호기성균의 비율은 증가시켰다. 또한 불량환경 적응성을 의미하는 cy19:0/18:$1{\omega}7c$ 지방산비율과 단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도 B. subtilis AH18 처리구가 증가시켰다. 이에 반하여 B. licheniformis K11 처리나 두 미생물의 동시 처리는 전술한 토양미생물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지방산 분석을 토양미생물상 분석에서 B. subtilis AH18의 단용처리는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토양미생물상을 뚜렷이 바꾸었지만, B. subtilis AH18가 B. licheniformis K11와 혼용되었을 때는 토양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따라서 이들 두 미생물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고추역병 방제와 토양미생물 생태 보존의 두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생물제재 처리에 의한 토양 미생물상의 변화 및 배추와 토마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product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growth of cabbage and tomato)

  • 김지모;김철승;김현주;문병주;이재헌;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15-522
    • /
    • 2002
  •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coagulans DL-1을 사용하여 미생물제재를 제조하고 미생물제재의 처리가 배추와 토마토 재배 토양의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과 배추와 토마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미생물제재를 처리한 배추와 토마토 재배 토양의 총균수는 미생물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4.4~10.6 배가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재를 처리한 토양의 미생물 수는 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공시작물 재배 토양에 비하여 세균뿐만 아니라 방선균, 곰팡이 및 트리코데마도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재를 처리한 토양에서 자란 배추의 생체중량, 배추잎의 넓이 및 개수는 무 처리구에 비해서 21.5%, 10.6%, 10.0% 가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재를 처리한 토양에서 자란 토마토 열매의 생체중량, 근장으로 뿌리를 곧게 편 후 최장길이 및 열매의 직경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30.4%, 10.6%, 10.% 가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재를 처리한 토양은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전체적인 미생물 수의 증가와 유용한 종류의 미생물이 상대적으로 높게 증가하기 때문에 배추와 토마토의 성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물(有機物) 연용답토양(連用畓土壤)에 있어서 미생물상(微生物相)의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 (Seasonal Changes of Microflora in Paddy Soil with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 이상복;최윤희;이경보;유철현;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6-362
    • /
    • 1995
  • 1979년 이래 유기물(有機物)을 연용(連用)한 논토양에 있어서 미생물상(微生物相)의 이절적(李節的)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고자 호남지역 전북통인 논토양에 유기물(有機物)로써 무시용, 볏짚 및 퇴비를 그리고 질소수준으로써 무시용, 150kg/ha를 처리하여 표토(表土)로부터 15cm깊이토양의 미생물상(微生物相)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하였다. 전세균수(全細菌數)는 수도이앙전(水稻移秧前)인 담수직후(湛水直後)부터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까지 점진적인 증가 후 수확기까지 감소(減少)하였으며 방선균(放線菌), 사상균(絲狀菌) 및 셀루로스분해균수(分解菌數)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까지 미약한 변화를 보였으나 그 이후 수확기까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미생물수(微生物數)는 유기물과 질소의 장기혼용구(長期混用區)에서 높았으나 셀루로스분해균만은 유기물 단독시용구에서 높았다. 질소순환미생물중 암모니아 산화균수는 수확기에, 질산산화균수와 질산환원균수는 유수 형성기에 그리고 탈질균수는 분얼초기에 높았으나 암모니아 화성균수는 유기물 또는 질소(窒素)시용 여부에 따라 달랐다. 이들 미생물들은 유기물(有機物)이나 질소의 단독시용구에 비하여 유기물과 질소혼용구(窒素混用區)에서 높았으며, 특히 탈질균은 유기물(有機物)중 볏짚시용구에서 높았으나 그 외는 차이가 없었다.

  • PDF

유기질비료의 표층 및 전층시비에 따른 벼 수량 변화 (Change of Organic Rice Yield as Affected by Surface and Broadcast Fertilizer Applications)

  • 김현우;최현석;김병호;김홍재;최경주;정덕영;이연;박광래;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89
    • /
    • 2012
  • 벼 유기재배를 하는데 있어서 전층과 표층 시비방법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물리성, 미생물상, 그리고 벼의 생육과 수량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에 걸쳐서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논, 양토)에서 조사하였고 시험품종은 '동진1호'를 이용하였다. 토양유기물은 표층시비에서 높았고 토양양이온은 전층시비에서 높았다. 유기질비료의 질소 무기화율은 표층시비에서 높았고 잔존하는 시기별 토양 유기물함량도 표층시비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토양물리성은 전층시비에 의해서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토양 미생물상은 전체적으로 표층시비에서 높았다. 표층시비구가 전층시비보다 5%의 수량이 증수되는 특성을 보였다.

답전(畓田) 윤환시(輪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와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변화(變化)와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Soil Micro-organisms and Change of Cropping System)

  • 이상규;윤세영;김승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0-76
    • /
    • 1992
  • 답전윤환토양(畓田輪換土壤)에서 작부형태(作付形態)를 달리하여 작물을 재배했을 때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의 경시적변화(輕時的變化)와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成分)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재배 기간 중 미생물상의 변화는 휴한지(休閑地)와 수도 및 대두 연속재배지(連續栽培地)에서 세균과 방선균수는 5월부터 8월까지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사상균수는 감소되었다. 2. 대두연속재배구에서 Gram 음성균(陰性菌)인 Pseudomonas- 및 Rhzobium속 세균수가 그리고 Gram 양성균(陽性菌)인 Bacillus subtilis의 증가를 보였으며, 휴한지(休閑地)에서는 Agrobacterium속 세균수의 증가를 보였다. 3. 감자 및 배추 연속(連續) 재배구(栽培區)에서 Fusarium-, Rhizoctonia-, Phoma속의 토양(土壤) 병원성(病源性) 사상균(絲狀菌) 수(數)가 증가되었으며, 특히 전(全) 사상균(絲狀菌) 수(數)에 대한 토양(土壤) 병원성(病源性) 사상균(絲狀菌)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4. 토양(土壤) 미생물(微生物) 분석(分布) 중 세균 및 방선균 수는 토양 양이온 중(Ca+Mg)/K 비율과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그리고 사상균(絲狀菌) 수(數)와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 PDF

모암이 토양미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 Rocks on Soil Microbial Diversity)

  • 서장선;권장식;전길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27-133
    • /
    • 2003
  • 토양미생물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화강암, 석회암 및 현무암을 모재로 한 12개의 토양통의 미생물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미생물상은 토양화학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특히 토양 pH는 형광성 슈도모나스와, 토양 EC는 방선균, 사상균, 중온성 Bacillus 및 호알카리성균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포자형성균인 Bacillus는 화강암과 현무암에 비해 석회암토양에서 높은 균수를 보였으나, 그람음성균은 모암간에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화강암유래 토양에서는 Burkholderia, Pseudomonas, Ralstonia가, 석회암토양에서는 Pseudomonas, Burkholderia, Phyllobacterium가, 현무암토양에서는 Burkholderia속이 우점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유기농자재인 키토산, 목초액 및 EM 활성액의 처리에 따른 배추의 생육과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Active Solution on Soil Microbial and Growth in Chinese Cabbage)

  • 정순재;조미용;석운영;이상록;이형주;오주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4-5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자재인 키토산, 목초액 및 EM 활성액 등을 공시재료로, 배추 정식 전에 100배액 토양관주 처리하고,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엽면살포 농도를 100배액과 1,000배액으로 3회 엽면살포한 후 배추의 생육 및 토양 미생물상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유기농자재 처리에 따른 배추의 생육특성은 대조구에 비해 유기농자재 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유기농자재 간에는 키토산 처리구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키토산 1,000배액 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주중이 5.60 kg으로 가장 무거웠다. 유기농자재 처리에 따른 토양 미생물상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유기농자재 처리구에서 세균, 트리코데마 및 방선균수은 증가한 경향을 보였고, 사상균수는 약간 감소한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유기농처리구 간에는 키토산 1,000 배액 처리구에서 세균, 트리코데마 및 방선균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미생물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근대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ters Decomposed by Microbial Activity on Yield of Chard under Protected Cultivation)

  • 김경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1-98
    • /
    • 2000
  • 몇가지 토양미생물제 처리가 근대의 수량과 식물체 및 토양의 화학성분, 그리고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미생물제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특히 BLCS cattle dropping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식물체의 화학성분에서는 모든 철구에서 Mg의 함량이 증가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성분들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토양의 화학성분에서는 Tomi 처리구에서 K와 Mg의 함량이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의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 총세균수에서는 Tomi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Husk+Palma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Husk+Palma와 Tomi 처리구에서도 몹시 증가되었다. Actinomycetes와 fungi에서도 Tomi 처리구가 매우 증가하였으나, 다른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pseudomonas에서도 각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