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침식성 인자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Analysis of Optimum Resolution with Different Scale of Soil Map for the Calculation of Soil Loss (토양침식량 산정에서 토양도 축척에 따른 적정 해상도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Greun-Sang;Jang, Young-Ryul;Cho, Gi-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3
    • /
    • pp.1-10
    • /
    • 2003
  •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estimating soil loss. It is very difficult to validate the model estimation since the calculated soil loss should be compared with the survey data for quantification. The input variables for RUSLE model were estimated to grid cell for raster analysis in Bosung basin. Both reconnaissance(1:250,000) and detailed(1:25,000) soil maps were used to derive the input variables for soil erodibility factor. Soil loss calculated using RUSLE were compared to the unit sediment deposit surveyed by KICT(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992) in Bosung basin for assessment. Unit sediment deposit from the cell size of 120m and 150m were the closest to the survey data in 1:250,000 and 1:25,000 map scale, respectively.

  • PDF

Estimation of 30 Minutes Maximum Rainfall Intenstiy for Rainfall Erosivity in USLE (토양유실공식의 강우침식도 산정을 위한 30분 최대강우강도 추정)

  • Shin, Sang-Hoo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9-259
    • /
    • 2012
  •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의 강우침식인자의 적절한 산정을 위해서는 각 독립강우사상의 30분 최대강우강도의 산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조밀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강우자료가 필요하나 자료습득의 용이성 문제 및 자료의 비연속성 문제 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박정환 등(2000)은 1시간 단위 자료로부터 기존에 개발된 Talbot형, Sherman형, Japanese형 강우강도경험식을 이용하여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했다. 이후 이준학 등(2010)은 강우의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속초지점의 2007년의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1시간 최대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이준학 등(2011)은 대구지점의 1960년~1999년간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고정시간 1시간 최대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계수를 제안했다. 선행연구는 경험식을 이용했거나 연구대상을 특정지점에 국한 또는 1시간과 30분 최대강우강도의 일대일 변환관계에만 집중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0년의 AWS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했고 도시, 내륙, 산간, 해안, 섬을 대표할 수 있는 전국 5개 지점에 대해 임의시간 최대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하는 관계곡선을 산정했다.

  • PDF

Non-point Source Critical Area Analysis and Embedded RUSLE Model Development for Soil Loss Management in the Congaree River Basin in South Carolina, USA

  • Rhee, Jin-Young;Im, Ju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4 s.39
    • /
    • pp.363-377
    • /
    • 2006
  • Mean annual soil loss was calculated and critical soil erosion areas were identified for the Congaree River Basin in South Carolina, USA us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model. In the RUSLE model, the mean annual soil loss (A)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rainfall-runoff erosivity (R), soil erodibility (K), slope length and steepness (LS), crop-management (C), and support practice (P) factors. The critical soil erosion areas can be identified as the areas with soil loss amounts (A) greater than the soil loss tolerance (T) factor More than 10% of the total area was identified as a critical soil erosion area. Among seven subwatersheds within the Congaree River Basin, the urban areas of the Congaree Creek and the Gills Creek subwatersheds as well as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Cedar Creek subwatershed appeared to be exposed to the risk of severe soil loss. As a prototype model for examining future effect of human and/or nature-induced changes on soil erosion, the RUSLE model customized for the area was embedded into ESRI ArcGIS ArcMap 9.0 using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Using the embedded model, users can modify C, LS, and P-factor values for each subwatershed by changing conditions such as land cover, canopy type, ground cover type, slope, type of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practice types. The result mean annual soil loss and critical soil erosion areas can be compared to the ones with existing conditions and used for further soil loss management for the area.

  • PDF

Regional Distribution Analysis by Updating the Average Annual Rainfall Erosivity (연평균 강우가식성 지표의 업데이트를 통한 지역적 분포 연구)

  • Lee, Joo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0-410
    • /
    • 2021
  • 강우가식성 지표(또는 강우침식인자)는 빗방울이 지상으로 떨어질 때 빗방울의 크기와 낙하속도 즉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표토의 입자가 잠재적으로 침식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최신 호우사상을 분석하여 지점별 연평균 강우가식성 지표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연구는 범용토양유실공식을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친 연평균 토양침식량을 산정하려고 하는 연구자들에게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상청 산하 관측소 54개 지점을 대상으로 지점별 연평균 강우가식성 지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으로, 2017년까지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강우 가식성 지표 계산을 위한 1분 단위 강우자료는 기상자료개방포털의 공개된 자료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나, 지점별로 결측치를 일부 포함하고 있거나 불연속된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54개 지점 모두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제한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54개 지점 중에 29개 지점에 대한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기상청 29개 지점의 1961~2017년 기간(최소 45년 ~ 최대 57년) 동안의 연평균 강우가식성 지표는 4,624MJmm/ha/hr로 나타났다. 이 값은 2015년 기간까지의 평균값과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적 분포로서 29개 지점 중에 14개 지점에서 연평균 강우가식성 지표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5개 지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증가 및 감소폭은 2.5%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Soil-Erosion in Keumho River Watershed (금호강유역의 유사발생 발생 평가)

  • Kim, Seong won;Jeong, Anchul;Yu, Wansik;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0-280
    • /
    • 2017
  • 국내의 사면안정평가는 국토교통부, 국민안전처, 산림청 등의 주요 기관에서 사면을 구성하고 있는 토양특성과 사면경사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대부분 경우 이 기준을 가지고 자연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관리에서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계획이 수립되고 실행되고 있으며 이 중 산지와 기타 지역에서 유입유사는 그 정도에 따라 하천의 통수능력 감소와 하천생태계 교란 등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유사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관리 대상이다. 그러나 현재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사면의 붕괴 및 취약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나 유역의 유사발생여부를 평가하기에는 상당한 오류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평가기준을 통한 1차적인 평가와 강우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침식과 퇴적을 분석 결과를 적용한 종합적인 2차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1)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사면안정평가기준을 가지고 대상유역인 금호강유역의 토양특성에 대한 등급을 분류한다. (2)토층, 토지이용, 빈도별 강우자료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할 수 있는 C-SEM(Cell-based Sediment Erosion Model)을 이용하여 침식 및 퇴적 깊이를 계산한다. (3)사용하고 있는 평가기준과 침식 및 퇴적깊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조합하여 금호강유역에서의 유사발생 평가를 위한 지도를 작성한다. 이 연구는 국가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역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에서 유사발생을 평가하고 유사발생 관련인자를 대상으로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Runoff and soil loss on newly reclaimed upland (야산개발지(野山開發地)의 토양침식(土壤侵蝕)에 관(關)하여)

  • Jung, Yeong Sang;Shin, Jae Sung;Shin, Yong Hwa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9 no.1
    • /
    • pp.9-16
    • /
    • 1976
  • In order to investigate inherent erodibility of the soil, which is a major factor is soil erosion prediction, a survey on runoff and soil loss of reclaimed upland soil was carried out by using a portable rainulator. The relations of soil loss and som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were discussed. The soil erodibility 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Wischmeier's nomograph.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otal runoff increased for finer textured soil in order of Jeonnam silty clay loam, Songjeong clay loam, Yesan loam, Samgag and Sangju sandy loam. Total soil loss and soil content in runoff were not correspondently related with textural characteristic in order of Jeonnam, Samgag, Sangju, Yesan, and Songjeong. Total runoff, soil loss, and soil content in runoff were increased for steeper slope. 2. Soil loss and soil content in runoff negatively correlated with organic matter content of surface soil, whi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persion ratio, clay ratio, silt content,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ddleton erosion ratio for coarser textured soil but not correctly related for finer textured soil. 3. The soil erodibilty factor K values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ere 0.32 for Jeonnam, 0.22 for Samgag, 0.17 for Sangju, 0.15 for Yesan, and 0.13 for Songjeong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close to those from Wischmeier's nomograph. So, it seems that the nomograph is useful for estimation of soil loss in Korea.

  • PDF

Erodibility of the soils of Korea (경사지(傾斜地) 토양(土壤)의 침식성(浸蝕性) 인자(因子)에 관(關)하여)

  • Jung, Yeong-Sang;Shin, Jae-Sung;Shin, Yong-Hwa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9 no.2
    • /
    • pp.107-113
    • /
    • 1976
  •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out soil erodibility factor K valu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stimate soil loss using a new method for predicting K value, the nomograph, that was first proposed by Whischmeier. K values for 83 soil series including upland and forest soils in Korea were checked up.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average K value was 0.27 with ranging between 0.05 and 0.51. K values were higher for finer textured soils than for coarser textured soils widely ranged in a textural class, and higher for silty textured and low permeable soils. K value was correlated inversely with organic matter content in range of 3 to 13 percent, but the tendency was not related in range of lower than 3 percent.

  • PDF

Estimation of Rainfall-runoff Erosivity Using Modifie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Index (수정 IAS 지수를 이용한 강우침식인자 추정)

  • Lee, Joon-Hak;Oh, Kyoung-Doo;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8
    • /
    • pp.619-62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xisting method of calculating rainfall-runoff erosivity using monthly precipitation, such as Fournier's index, modified Fournier's index, IAS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index, etc., and to present more reasonable regression model based on monthly rainfall data in Korea. This study introduced a new simplified method of calculating rainfall-runoff erosivity based on monthly precipitation, called by modified IAS index. It was expanded form IAS index which is the simple calculation method by summing up the rainfall amount of two months with maximum amount. Monthly precipitation and annual rainfall-runoff erosivity at 21 weather stations for over 25 years were used to analyze correlation relationship and regression model. The result shows that modified IAS index is the more reasonable parameter for estimating rainfall-runoff erosivity of the middle-western and south-western regions in Korea.

남한강 유역의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진영;양동윤;임현수;정공수;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57-160
    • /
    • 2003
  • 해마다 늘고 있는 토사유출희 인한 피해는 자연재해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토사유출에 의한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토양유실량의 산정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면에서의 토양유실량 산정방법 및 산정된 결과에 대한 검증 역시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토양유실량산정을 위해 범용토양유실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사용하고 있다. 범용토양유실공식(USEL)은 실험적 근거가 미비한 국내실정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공식의 적용에 대한 다양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강 유역 여주-이포 구간을 대상으로 2002년 6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수행된 자연 상태에서의 토양침식실험과 실험지역의 USLE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토양침식실험을 통하여 산정된 침식율과 범용토양유실공식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USLE의 인자에 따른 토양유실량 산정 결과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남한강 유역에서의 토양침식 실험결과 자연 상태에서 연간토양유실량은 평균 12.54ton/acre/year이었으며, 최소 0.1ton/acre/year, 최대 34.06ton/acre/year로 나타났다. USLE에 의해 계산된 연간토양유실량은 17.15ton/acre/year로서 실험결과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토양유실량 산정에 필요한 다양한 조건을 정량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USLE식에 활용되는 인자의 적용방법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USLE에 의해 산정된 결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하며 USLE 산정에 관한 지속적인 실험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증가할 것이다. 또한 부분육을 이용한 완전제품, 적색육제품, 유기농이나 별미식 제품과 같은 형태의 다양한 포장육 제품이 도입 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e in vitro SPF test method will be able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in vivo SPF in case of lotion and cream. replic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ar Fruit Leaf Extract BG30-treated site was seen in decreased wrinkles.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results in clinically visible improvement in wrinkling when used topically for 5 weeks. 또한 관계마케팅, CRM 등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신뢰와 결속의 중요성이 재확인하는 결과도 의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신뢰는 양사 간의 상호관계에서 조성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반면, 결속은 계약관계 초기단계에서 성문화하고 규정화 할 수 있는 변수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기업간 관계를 지나치게 협력적 측면에서만 규명했기 때문에 많은 측면을 간과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 일방향의 시각만을 고려했고, 횡단적 조사를 통하고 국내의 한 서비스제공업체와 관련이 있는 컨텐츠 공급파트너만의 시각을 검증했기 때문에 해석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타당성확보 노력을 기하였지만 측정도구 면에서 엄격한 개발과정을 준수하지는 못했다. 향후에는 모바일 컨텐츠 파트너의 기업의 특성을 조사하여 관계성 변수와의

  • PDF

USLE/RUSLE Factors for National Scale Soil Loss Estimation Based on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 (수치 정밀토양에 기초한 전국 토양유실량의 평가를 위한 USLE/RUSLE 인자의 산정)

  • Jung, Kang-Ho;Kim, Won-Tae;Hur, Seung-Oh;Ha, Sang-Keon;Jung, Pil-Kyun;Jung, Yeong-Sa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7 no.4
    • /
    • pp.199-206
    • /
    • 2004
  • Factors of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and its revised version, RUSLE for Korean soils were reevaluated to estimate the national scale of soil loss based on digital soil maps. Rainfall erosivity factor, R, of 158 locations of cities and counties were spacially interpolated by the inverse distance weight method. Soil erodibility factor, K, of 1321 soil phases of 390 soil series were calculated using the data of soil survey and agri-environmental quality monitoring. Topographic factor, LS, was estimated using soil map of 1:25,000 scale with soil phase and land use type. Cover management factor, C, of major crops and support practice factor, P,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the data of lysimeter and field experiments for 27 years (1975-2001)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 factor varied between 2322 and 6408 MJ mm $ha^{-1}$ $yr^{-1}$ $hr^{-1}$ and the average value was 4276 MJ mm $ha^{-1}$ $yr^{-1}$ $hr^{-1}$. The average K value was evaluated as 0.027 MT hr $MJ^{-1}$ $mm^{-1}$. The highest K factor was found in paddy rice fields, 0.034 MT hr $MJ^{-1}$ $mm^{-1}$, and K factors in upland fields, grassland, and forest were 0.026, 0.019, and 0.020 MT hr $MJ^{-1}$ $mm^{-1}$, respectively. C factors of upland crops ranged from 0.06 to 0.45 and that of grassland was 0.003. P factor varied between 0.01 and 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