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off and soil loss on newly reclaimed upland

야산개발지(野山開發地)의 토양침식(土壤侵蝕)에 관(關)하여

  • Accepted : 1976.01.20
  • Published : 1976.03.20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inherent erodibility of the soil, which is a major factor is soil erosion prediction, a survey on runoff and soil loss of reclaimed upland soil was carried out by using a portable rainulator. The relations of soil loss and som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were discussed. The soil erodibility 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Wischmeier's nomograph.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otal runoff increased for finer textured soil in order of Jeonnam silty clay loam, Songjeong clay loam, Yesan loam, Samgag and Sangju sandy loam. Total soil loss and soil content in runoff were not correspondently related with textural characteristic in order of Jeonnam, Samgag, Sangju, Yesan, and Songjeong. Total runoff, soil loss, and soil content in runoff were increased for steeper slope. 2. Soil loss and soil content in runoff negatively correlated with organic matter content of surface soil, whi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persion ratio, clay ratio, silt content,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ddleton erosion ratio for coarser textured soil but not correctly related for finer textured soil. 3. The soil erodibilty factor K values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ere 0.32 for Jeonnam, 0.22 for Samgag, 0.17 for Sangju, 0.15 for Yesan, and 0.13 for Songjeong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close to those from Wischmeier's nomograph. So, it seems that the nomograph is useful for estimation of soil loss in Korea.

우리나라에서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을 예측(豫測)하기 위(爲)한 토양침식성인자(土壤浸蝕性因子) K(soil 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를 알아내기 위하여 인공강우기(人工降雨器)를 사용(使用)하여 야산개발지토양(野山開發地土壤)을 중심(中心)으로 유출량(流出量) 및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을 측정(測定)함과 동시(同時)에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으로부터 산출(算出)된 토양침식성인자(土壤浸蝕性因子) K과 Wischmeier의 nomograph에서 토양(土壤)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적용(適用)하여 얻은 토양침식성인자(土壤浸蝕性因子) K와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출량(流出量)은 토양(土壤)의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많아질수록 증가(增加)하였으나,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과 S/R비(比)(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과 유출량(流出量)의 비(比)는 토성(土性)과 관계(關係)없고 토양(土壤)의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경사도(傾斜度)와 유출량(流出量)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경사(傾斜)가 심(甚)할수록 유출량(流出量)의 증가(增加)는 완만(緩慢)하여졌지만,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과 S/R비(比)는 경사(傾斜)가 심(甚)하여질수록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였다. 나.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 및 S/R비(比)는 표토(表土)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부상관(負相關)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분산율(分散率)과 점토율(粘土率) 및 미사(微砂)의 함량(含量)과 정상관(正相關)을 보였으며, 가비중(假比重)과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또 이들은 Middleton 침식율(浸蝕率)과 토성(土性)이 사질(砂質)인 토양(土壤)에서는 정상관(正相關)이 인정(認定)되나, 식질토양(埴質土壤)에서는 그 경향(傾向)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다. 토양침식성인자(土壤浸蝕性因子) K는 전남미사질식양토(全南微砂質埴壤土)에서 0.32, 삼각사양토(三角砂壤土)에서 0.22, 상주사양토(尙州砂壤土)에서 0.17, 예산양토(禮山壤土)에서 0.15, 및 송정식양토(松汀埴壤土)에서 0.13 이었다. 이들 K의 값과 nomograph에서 얻은 K의 값과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상호근사(相互近似)함으로 우리나라에서 K값을 얻은 데에 Wischmeier의 nomograph를 활용(活用)하여도 무방(無妨)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