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인자

검색결과 999건 처리시간 0.044초

Soil Properties of the Habitat of Lepista nuda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 서식지의 토양인자 분석)

  • Lee, Yang-Suk;Joo, Eun-Young;Kim, Jong-Bong;Kim, Nam-Wo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25-29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soil properties of Lepista nuda habitats to form a part of th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 nuda.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studied areas were investigated for soil properties such as soil moisture, soil pH, and the content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ters. The content of soil moisture was 29.7% and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was 32.1%. Total nitrogen was 0.74% and soil pH was 4.75, which was ranged from 3.6 to 5.20. In the content of inorganic matter, the content of Fe was highest as 1,024 ppm, K 183 ppm, Mn 21.9 ppm, Ca 2.02 ppm, Zn 1.46 ppm and Mg was lowest as 0.51 ppm.

Forest Site Environments and Soil Propertie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Ullengdo (울릉도 산마늘 자생지의 산림입지환경과 토양 특성)

  • Hur, Tae-Chul;Yun, Chung-Weon;Joo, Sung-Hyu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제46권3호
    • /
    • pp.19-2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ultivation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the area covered with forest vegetation. The populations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Ulleungdo were naturally growing in the communities of Fagus japonica var. multinervis, Acer okamotoanum, Pinus parviflora, Tsuga sieboldii,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Tilia amurensis, and Alnus maximowiczii. On average, the study area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opulation was located in the places of 563 m above sea level, and in the slope area of $27.8^{\circ}$. Soil texture of its inhabitation site mainly consisted of sandy soil, sandy loam, loamy sand, and loam. The depth of the organic layer was 6 cm on average, soil pH 5.4, available phosphate content 18.5 ppm,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18.6cmol_c/k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te factors and soil factors by CCA analysis showed that the community of beech tree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bon, nitrogen, sand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 study of comparison about estimation methods of sediment yield (토사유출량 산정식에 대한 비교연구)

  • Kwon, Hyuk Jae;Kim, Hyeong G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제53권12호
    • /
    • pp.1109-1117
    • /
    • 2020
  • In this study, results of RUSLE which is most popular equation for estimating sediment and MSDPM and LADMP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by applying to real watershed of mountain area. Crop factor (C), preservation factor (P), and soil erosion factor (VM) of RUSLE can be subjectively selected and differently applied. Therefore, effects of those factors were estimated and compared with different values of factors. Furthermore, sediment yield has been estimated by MSDPM and LADMP according to 10, 20, 30, 50, 100, and 200 year return period.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sediment yield can be resulted with 400% diffrence. And it was also found that MSDPM and LADMP can be applied in mountain area of Korea.

Evaluation of the snow simulations from CLM using satellite-based observations (위성 관측 자료를 활용한 지면모형(CLM)의 적설 모의 평가)

  • Seo, Jungho;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2-332
    • /
    • 2022
  • 적설은 지구 기후시스템과 수문순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겨울철의 적설은 봄철에 녹으면서 식생과 수자원 제공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동아시아가 위치한 북반구는 적설량의 90%가 관찰되고 토지의 약 42%가 긴 시간동안 눈으로 덮여 있어 지표 에너지와 물 균형에 영향을 주고, 특히 수자원 관리를 위한 유출이나 토양수분과 같은 수문 인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적설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수자원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편, 이러한 수문 순환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수문 분야에서는 지면모형(Land Surface Model, LSM)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지면모형은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을 모의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에너지, 수증기, 이산화탄소 등의 다양한 인자들의 교환에 대하여 해석하며, 토양수분, 유출량 등의 수자원 분야의 주요 인자들을 산출하여 수자원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NCAR)에서 개발한 Community Land Model(CLM)을 사용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 25km의 공간해상도로 동아시아 지역의 적설 모의를 평가하였다. CLM의 적설 모의 평가 인자는 Snow depth, Snow water equivalent의 2가지 인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모의 성능 평가를 위한 관측 자료로 NASA Aqua와 JAXA GCOM-W1 위성에 탑재된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AMSR) 센서에서 제공하는 위성 관측 자료와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DMSP) 위성의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SSM/I) 센서와 Nimbus-7 위성의 Scanning Multichannel Microwave Radiometer(SMMR) 센서에서 제공하는 위성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지상 기상 관측소 자료와 조합하여 재생성한 European Space Agency Global Snow Monitoring for Climate Research (ESA GlobSnow)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CLM의 적설 모의는 과대 추정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동아시아 적설 모의 개선을 위해 자료 동화를 사용하는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Soil Moisture Based on Sentinel-1 SAR Sensor (Sentinel-1 SAR 센서 기반 고해상도 토양수분 산정)

  • KIm, Sangwoo;Lee, Taehwa;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1-141
    • /
    • 2019
  • 토양수분은 수문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및 산불발생과 같은 물 관련 재해 발생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표 토양수분산정은 매우 중요하다. Sentinel-1 SAR(Synthetic Aperture Radar)는 능동형 위성으로 10m의 공간해상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존의 토양수분 전용위성인 SMOS(Soil Moisure and Ocean Salinity), SMAP(Soil Moisture Active Passive) 및 GCOM-W1(Glo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 Water) 등 다르게 고해상도 토양수분 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Sentinel-1 SAR 센서에서는 고해상도 지표 관측 이미지 자료만 제공하며, 토양수분 자료를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 Sentinel-1 A/B IW(Interferometric Wide swath) 모드의 VH(Vertical Transmit - Horizontal Receive) 편파 영상과 Sentinel-1 SAR 위성자료 전처리 도구인 SNAP(Sentinel Application Platform)을 이용하여 후방산란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후 방산란계수와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65개 지점의 실측 TDR(Time Domain Reflectrometry) 토양수분의 관계를 이용하여 회귀모형을 도출 및 토양수분 공간분포를 산정하였다. 비록 불확실성은 어느정도 발생 하였으나, 전체적으로 TDR 관측값과 $10m{\times}10m$ 해상도의 Sentinel-1 SAR 기반 토양수분이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문, 농업, 산림, 재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ophysical effect of vegetation cover factors on soil erosion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피복 인자의 수문물리적 영향)

  • Seung Sook Shin;Sang Deog Park;Sang Ji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3-343
    • /
    • 2023
  • 식생피복(Vegetation cover)은 대기 중의 강우와 토양 사이에서 침식으로부터 표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유 낙하하는 강우의 물방울은 식생을 통과하면서 차단(interception), 수관통과(throughfall), 수간유하(stemflow)의 형태로 변화한다. 식생은 강우입자의 운동에너지와 수량을 감소시키고, 지표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지표유출(overland flow) 저감에 기여한다. 유출수의 흐름과정에서 식물의 줄기, 낙엽, 뿌리 등은 유속을 감소시키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토양침식은 감소한다. 토양침식은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감소하며, 지수함수의 관계를 갖는다. 식생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잎의 모양 등에 따라 수문물리적인 반응이 달라진다. 캐노피를 갖는 지상식물(canopy cover plant)은 물방울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반면, 지피식물(ground cover plant)은 낙하고가 작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는 적으며, 특히 낙엽층은 지표면을 보호하여 토양침식의 저감효과가 더욱 크다. 산불지역의 식생피복에 따른 토양침식 측정 자료에 따르면, 강우운동에너지는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지상피복(canopy cover)에 의한 감소보다는 지면피복(ground cover)과 낙엽피복(litter cover)에 의한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컸다. 식생피복에 의해 차단되는 강우의 손실량보다 침투량 증가에 의한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낙엽피복에 대한 강우모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낙엽의 피복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토양침식량은 감소하였다. 낙엽 피복율의 40% 이상은 토양침식량을 현격이 감소시킨 반면, 피복율의 70% 이상은 지표유출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낙엽 피복율이 70%이상이면, 유출계수가 33%가 감소하였으나, 토양침식민감도는 94%로 크게 감소하였다.

  • PDF

Comparison of Savitzky-Golay filtering results for quality control of soil moisture data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Savitzky-Golay 필터링 적용결과 비교)

  • Lee, Yongjun;Kim, K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8-268
    • /
    • 2020
  • 토양수분량은 수문연구에 있어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며, 그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새로운 관측기기의 도입이나 수자원위성의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점차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토양수분량 자료의 생산, 품질관리 및 배포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반면에 해외에서는 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ISMN)을 통해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 및 배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ISMN에서는 토양특성, 강우에 대한 반응, 토양온도, 시계열특성을 이용해 토양수분량 관측 자료를 품질관리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SMN의 spike 검출 알고리즘에서 그래프 평활화(smoothing)를 위해 이용되는 Savitzky-Golay 필터의 window size와 polynomial order(filter order)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이를 설마천 관측소에서 측정한 토양수분량 원시자료에 적용하여 window size와 polynomial order별로 편의(bias), 변동(variation),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산정하였다. 통계산정 결과 원시자료와의 bias는 window size가 3이고 polynomial order가 2인 필터를 적용했을 때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variance는 window size가 3이고 polynomial order가 2인 필터를 이용했을 때가 원시자료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MSE는 window size가 5이고 polynomial order가 3일 때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추후 토양수분량 품질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필터 계수 값을 제시할 수 있는 논문으로 사료된다.

  • PD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by Combining Classification Results by Climate and Soil Information Using the Most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in the Republic of Korea (기후 및 토양 정보에서 최대저해인자법을 이용한 재배적지 구분의 통합에 관한 연구)

  • Kim, Hojung;Shim, Kyomoon;Hyun, Byungkeu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제18권3호
    • /
    • pp.127-134
    • /
    • 2016
  •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r apples and pears was conducted with soil and climate information in South Korea. In doing so, we intended to preserve land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by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where more suitable areas for apples or pears are located. We used soil classification driven by soi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and also used climate classification in digital agro-climate map database for which is made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We combined both soil and climate classification results using a most-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The combined results showed very similar patterns with the results by classification based on soil information. Such results seem to come from the fact that the classification results by soil relatively lower than those by climate information. The results by soil classification seem to be too downgraded and checking if the final classification ranges in soil are reasonably made is strongly required. Although the most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had been used widely i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dapting the method based on results by soil and climate can be influenced by one downgraded factor. Therefore, alternative way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increasing the accuracy.

Dose rate conversion factor for soil by the beta-rays and gamma-rays from 238,235U, 232Th and 40K (238,235U, 232Th과 40K의 베타선 및 감마선에 의한 토양의 흡수선량 환산 인자)

  • Kim, Gi-Dong;Eum, Chul-Hun;Bang, Jun-Hwa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6호
    • /
    • pp.460-467
    • /
    • 2007
  • Dose rate conversion factor was calculated to estimate the absorbed effective annual doses for soils for the beta-rays and gamma-rays, which were emitted from $^{238,235}U$, $^{232}Th$, and $^{40}K$ isotopes. The most recent data of the emitted energies per decay, half-lifes, and branching ratios, which were obtained from National Nuclear Data Center, were used. When this factor and the effective annual doses for the beta-rays and the gamma-rays of natural radioisotop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itken, these of $^{238}U$, $^{232}Th$ and $^{40}K$ are estimated to have good agreements but a large difference is shown in this for $^{235}U$. Through the calculations of effective annual doses by using these factor and the measurements of gamma-ray spectra for soils, which were extracted from prehistoric remains (Mansuri) on Osong, Chungchengbuk-do, The annual effective doses were obtained to be 3.8~5.9 mGy/yr. Also, when these doses including decay elements upper Rn were compared with those on all isotopes, the differences within 9~30 % were obtained. The analysis method of the annual effective doses for the beta-rays and the gamma-rays of the natural isotopes of soils was established by this dose rate conversion factor.

An inter-comparison of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over East Asia (동아시아 지역 토양수분 산출 위성 평가)

  • Kim, Hyunglok;SunWoo, Wooyeo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7-187
    • /
    • 2015
  • 인공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의 측정은, 범지구적인 물순환 분석에 있어서, 수문학적인 인자들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예측,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어왔다. 현재 국/내 외 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수분 위성은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SMOS), Advanced SCATerometer (ASCAT)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더불어 일본에서 최근에 발사 된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ter 2 (AMSR2) 센서를 통한 토양수분도 데이터도 적극 활용 되고 있다. 각 위성은 토양수분을 산출 하는 알고리즘, 파장대 그리고 위성 통과 시간 등이 각기 다르므로, 이러한 위성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점 데이터와의 검증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성 데이터와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와의 비교를 통해 각 위성데이터의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동아시아의 건조한 지역에서는 SMOS가 가장 좋은 토양수분 데이터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다른 많은 지역에서는 ASCAT이 우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한반도 지역의 특정 지역에서는 AMSR2의 토양수분 값이 ASCAT을 뛰어넘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SMOS의 경우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의 영향으로 한반도지역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것에는 많은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