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요인변화

Search Result 3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 of Nitrate on Iron Reduction and Phosphorus Release in Flooded Paddy Soil (논토양에서 질산 이온이 철의 환원과 인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 Chung, Jong-B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8 no.2
    • /
    • pp.165-170
    • /
    • 2009
  • The increase in P availability to rice under flooded soil conditions involves the reductive dissolution of iron phosphate and iron (hydr)oxide phosphate. However, since $NO_3^-$ is a more favourable electron acceptor in anaerobic soils than Fe, high$NO_3^-$ loads function as a redox buffer limiting the reduction of Fe. The effect of adding $NO_3^-$ on Fe reduction and P release in paddy soil was investigated.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NO_3^-$ was added to flooded soil and changes of redox potential and $Fe_2^+$, $NO_3^-$ and $PO_4^{3-}$ concentrations in soil solution at 10 cm depth were monitored as a function of time. Redox potential decreased with time to -96 mV, but it was temporarily poised at about 330${\sim}$360 mV when $NO_3^-$ was present. Nitrate addition to soil led to reduced release of $Fe_2^+$ and prevented the solubilization of P. Phosphate in pore water began to rise soon after incubation and reached final concentrations about 0.82 mg P/L in the soil without $NO_3^-$ addition. But, in the soil with $NO_3^-$ addition, $PO_4^{3-}$ in pore water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0.2${\sim}$0.3 mg P/L. The duration of inhibition in $Fe_2^+$ releas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NO_3^-$, and the timing of $PO_4^{3-}$ release was inversely related to the $NO_3^-$ concentration in soil solu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referential use of $NO_3^-$ as an electron acceptor in anaerobic soil condition can strongly limit Fe reduction and P solubilization.

Decadal Changes in Subsoil Phys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Agricultural Land Use Types in Korea (농업적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동 평가)

  • Cho, Hee-Rae;Zhang, Yong-Seon;Han, Kyung-Hwa;Ok, Jung-Hun;Hwang, Seon-Ah;Lee, Hyub-Sung;Kim, Dong-J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6 no.4
    • /
    • pp.567-575
    • /
    • 2018
  • The soil physical quality is a core factor in achieving two of sustainable agriculture's goals: productivity and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hanges in soil physical properties for nearly a decade through periodic monitoring of three cultivation types: upland, orchard, and paddy. Field surveys and lab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soils physical properties after every 4 years; upland (2009, 2013, and 2017), orchard (2010 and 2014), and paddy (2011 and 2015). In each year soil samples from 162-338 sites were collected. The bulk density of upland subsoil decreased from $1.53Mg\;m^{-3}$ to $1.50Mg\;m^{-3}$ while the plowing depth and subsoil organic matter increased from 13.7 cm to 19.5 cm and from $12.6g\;kg^{-1}$ to $18.3g\;kg^{-1}$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2009-2017. Plowing depth for orchard increased from 16.7 cm to 18.9 cm. However, organic matter content decreased from $15.9g\;kg^{-1}$ to $15.4g\;kg^{-1}$ during the 2010-2014 period. For paddy, plowing depth and subsoil organic matter decreased from 17.5 cm to 16.7 cm and from $17.5g\;kg^{-1}$ to $15.8g\;kg^{-1}$ respectively. The subsoil bulk density increased from $1.47Mg\;m^{-3}$ to $1.52Mg\;m^{-3}$ from 2011-2015. Excess ratio for soil physical standards increased from 16% to 22% in orchard, 56% to 62% in paddy, and decreased from 41% to 29% in upland. The overall soil physical quality had been ameliorated for upland, but degraded for paddy. Improved tillage practices and application of appropriate organic matter i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soils, especially in the paddy field.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bitats of Rare Species, Tofieldia nuda (희귀식물 꽃장포의 생육환경 특성)

  • Kwon, Soonsik;Hwang, In-Soo;Park, Wan-Gun;Cheong, Eun J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1
    • /
    • pp.86-106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natural habitats of T. nuda. The species was found on rocky northern hills ($60{\sim}90^{\circ}$) near the stream where the sea level ranges 95~145m.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of the habitats was lower than other places of South Korea. The differences of the lowest and the highest of the year was significantly huge than any other places. Plants were growing at the edge of stream that water reached but not submerged. Most of plants were found in North, Northeast or Northwest. It is suggested that these species require moist and low sunlight for growth. The common vegetation along with the T. nuda includes Mukdenia rossii, Selaginella rossii, Calamagrostis epigeios, and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The dominance values and sociability of T. nuda were below 3 in all studied habitats and the variance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mong the habitats was very high. As the optimum habitats for the T. nuda are decreasing due to the extreme precipitation pattern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number of T. nuda will be decreased in the future. Therefore restoration activity in situ or ex situ must be conducted to conserve this valuable plant species.

Variation of Copper Content in Paddy Soil and Rice from Janghang Smelter Area (장항제련소 지역의 논토양과 수도체중 Cu 함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eong-Jo;Lee, Man-Sang;Ryu, Taek-Kyu;Yang, Chang-Hyu;Moon, Kwang-Hyun;Baek, Seung-Hw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3 no.1
    • /
    • pp.1-9
    • /
    • 1994
  •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u contents in paddy soils and rices, being affected by air pollutants from the Janghang Smelter, soil samples at the different directions and surface (0-15cm) and subsurface (15-30cm) were collected in 1982 and 1990, and rice plants at the soil corresponding sampling sites in 1990 were also at separately collected from the Janghang Smelter area. Soil samples were extracted with $4M-HNO_3$ and plant samples were digested with a mixture of $HNO_3$ and $HClO_4$ for analyzing Cu, Zn, Cd and Pb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Cu contents in soils ranged from 5.1 to 391.0 mg $kg^{-1}$. The average content of Cu in 1990 was higher than that in 1982. The Cu content in soils nearer to the center of the smelter was higher than that farther from the center. The Cu content was highest at the east direction, and was in order of east > north-north east = north east > north. The variation of Cu levels in soil at east sites was more considerable than other directions. The Cu level in surface soils was higher than that in subsurface soils. The Cu contaminated area was within 5 km at east, and 3 km at north-north east and north ea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u content in surface soils of 1982 and that in surface and subsurface soils of 1990, and between Cu content in soils and soil properties such as organic matter(OM), available phosphate, available silicate, exchangeable $Ca^{++}$ and $Na^+$ in 1982. The Cu content in brown rice ranged from 0.4 to 3.6 mg $kg^{-1}$, and was the lowest in parts of rice plant, and Cu content in a part of plant was 13.75 times higher than that in brown rice. The Cu content of leaf sheath, stem and brown rice was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Cd, Zn, Cu and Pb in soils. The Cu content in soil regardless of years and soil depths was correlated with Zn and Pb in soil in the area affected by waste gas.

  • PDF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i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몇가지 환경요인이 돼지풀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 김종홍;김원희;차승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2
    • /
    • pp.93-100
    • /
    • 2002
  • In order to analyze the life cycle of A. artemisiifolia var. elation dormancy and some environmental factors inducing germination of the seeds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Dormancy of fertile seeds was broken in part within a month after seed collection in case of adequate moisture and alternating temperature was also effective in breaking dormancy. The temperature range, which allow germination was 12℃ ∼ 32℃. Optimum temperature for germination was 24℃. The seed of 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as light-independent. The difference of storage period appeared to have no particular effect on the viability of seeds at any time during the 9-month storage period. In the increasing temperature(IT) regime, 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eeds started to germinate at 16℃, showing the higher temperature the greater germination rate,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was 99.34%. On the other hand, in the decresing temperature(DT) regime, seeds began to germinate at 20℃ with the 1.34% germination. An induced dormancy occurred at 12℃ making the 5.34% fecal germination in the DT regime. Low temperature was more effective to break dormancy than higher temperature Seeds of 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eems to be germinated in mid to late autumn or germination delayed until following spring. The above results suggest these variation of germination response in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seems to be a physiological strategy to maintain their existence and to reproduce in the extreme thermal variation.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Community Changes of Ectomycorrhizal Fungi by Thinning in a Forest of Korea (간벌처리에 따른 외생균근균의 군집 변화)

  • Choi, Jae-Wook;Lee, Eun-Hwa;Eo, Ju-Kyeong;Koo, Chang-Duck;Eom, Ahn-Heum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2 no.2
    • /
    • pp.133-13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nning on ectomycorrhizal fungal communities in a forest. Ectomycorrhizal root tips were collected from forest soils in thinning and non-thinning sites and identified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is of ITS rDNA sequences. As a result, species richness of ectomycorrhizal fung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ectomycorrhizal fungal community composition was changed by thin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est management such as thinning,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mutualistic relationships and belowground microorganisms in forest ecosystems.

Design of Agricultural Drought Impact Assessment Platform Based on WEF(Water-Energy-Food) Nexus (WEF(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기반 농업 가뭄 영향 평가를 위한 플랫폼 설계)

  • Na, Ra;Joo, Donghyuk;Kim, Hayoung;Yoo, Seung-Hwan;Choi, Gyuhoon;Oh, Bu-Yeong;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2-292
    • /
    • 2022
  • 가뭄은 사회기반시설, 인적 자본 등과 같은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물을 중요한 투입재로 사용하는 농업부문에 피해가 집중된다. 가뭄 재해는 준비와 대응에 따라 피해에 큰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다른 재해와는 달리 강도뿐만 아니라 지속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효과적인 가뭄 위험 관리를 위해서는 가뭄의 특징과 가뭄 준비 및 대응 수단에 따른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 구축과 다양한 농업자원을 동시적으로 연계 평가하여 지속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등의 외부요인을 반영한 물-에너지-식량 (Water-Energy-Food, WEF) 넥서스 기반 농업 가뭄 평가 플랫폼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연계 해석 고도화 기술을 개발하고, 생물-물리학적 모델 및 경제학적 모델 연계형 기후-토양-물-에너지-식량 넥서스 (CS-WEF NEXUS) 플랫폼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및 농업부문 가뭄 준비 및 대응 수단의 영향 평가를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플랫폼은 넥서스 연계 해석을 통해 농업 가뭄 대응을 위한 식량 및 에너지 안보 정책에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식량-물-에너지 정책들이 타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 PDF

Variation of Lead Content in Paddy Rice and Soil of Janghang Smelter Area (장항제련소 지역의 토양과 수도체 중 Pb 함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eong-Jo;Ryu, Taek-Kyu;Lee, Man-Sang;Yang, Chang-Hyu;Jeon, Kyung-Soo;Beak, Seung-Hw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1 no.3
    • /
    • pp.185-193
    • /
    • 1992
  •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lead content in soils and paddy rices, affected by air pollutants from the Janghang Smelter, soil samples at the different directions, distances, and depths, surface(0-15cm depth) and subsurface(15-30cm depth) in 1982 and 1990, and rice plants at soil sampling sites in 1990 were separately collected at the Janghang Smelter area affected by combustible waste gas from the smelter chimney. Soil samples were extracted with $4M-HNO_3$ and plant samples were digested with mixture of $HNO_3$ and $HCIO_4$ for analyzing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Pb contents in soils ranged from 10.3 to 644.8mg $kg^{-1}$. The average content in 1990 was higher than that in 1982. The Pb content in soils at sites nearer the center of the smelter was higher than that at sites farther from the center. The highest lead content was found at the east direction, and was low in order of east>north-north east>north east > north. The variation of Pb level in soils at east sites was more considerable than other directions. The Pb level in surface soils was higher than that in subsurface soils. The contaminated radius of Pb was until 3km all at east, north-north east and north ea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b content in surface soils of 1982 and that in surface soils of 1990, between Pb content in soils and contents of Cd and Zn in soils, and between Pb content in soils and soil properties as organic matter, available silicate, cation exchange capacity, exchangeable $Ca^{++}$, $Mg^{++}$ and $Na^+$. Pb content in brown rice was low in the panicle axis, and brown rice, and Pb content in stem was 3.26 times of that in brown rice. Pb content in brown rice ranged from 2.2 to 9.0 mg $kg^{-1}$.

  • PDF

Estimation of soil moisture based on sentinel-1 SAR data: focusing on cropland and grassland area (Sentienl-1 SAR 토양수분 산정 연구: 농지와 초지지역을 중심으로)

  • Cho, Seongkeun;Jeong, Jaehwan;Lee, Seulchan;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1
    • /
    • pp.973-983
    • /
    • 2020
  • Recently,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s being highlighted as a solution to the coarse spatial resolution of remote sensing data in water resources research field. Spatial resolution up to 10 m of SAR backscattering coefficient has facilitated more elaborate analyse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compared to existing satellite-based coarse resolution (>10 km) soil moisture data. It is essential, however, to multilaterally analyze how various hyd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to utilize the data. In this study, soil moisture estimated by WCM (Water Cloud Model) and linear regression is compared with in-situ soil moisture data at 5 soil moisture observatories in the Korean peninsula. WCM shows suitable estimates for observing instant changes in soil moisture. However, it needs to be adjusted in terms of errors. Soil moisture estimated from linear regression shows a stable error range, but it cannot capture instant changes.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soil moisture on backscattering coefficients differs greatly by land cover,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water content of vegetation, hence that there're still limitations to apply preexisting models directly. Therefore, it is crucial to analyze variable effects from different environments and establish suitable soil moisture model, to apply SAR to water resources field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