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론의 효과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6초

마우스복강내 투여한 방사성스토론튬의 체외배설 촉진제로서 카이토산의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Chitosan on the Elimination of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Radiostrontium (Sr-85))

  • 김지열;김광윤;범회승;김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3-297
    • /
    • 1993
  • 카이토산은 천연착화제의 일종으로 카이틴의 유도체인데 셀룰로오스와 유사한 다당류로서 갑각류, 곤충, 균류, 효모등에 널리 퍼져있다. 카이토산은 수용성과 불용성의 두가지 형태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성 카이토산을 일반 마우스식이에 섞어 60일과 90일의 장기간 복용했을 때, 복강을 통하여 체내에 유입되는 방사성스트론튬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그 효과를 카이토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60일 처리군, 90일 처리군 간에 비교하였다. 10% 수용성카이토산 분말을 보통식이에 혼합하여 60일, 90일 간격으로 섭취시킨 후에 방사성스트론튬을 복강을 통하여 주사하였다. 그리고 5일간 식이를 복용시킨 후 6일째에 척추, 두개골, 대퇴골, 경골, 치아, 꼬리뼈 등으로 세분, 도살 부검하여 감마카운터로 계측하였다. 대조군은 카이토산을 처리하지 않았다. 각각의 실험군은 마우스 5개체로 구성하였다. 90일간 카이토산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과 60일 처리군에 비해 방사성스트론튬의 골조직 침착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골조직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용성카이토산은 체내에 유입되는 카이토산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장기간 처리했을 때 그 효과는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용성 카이토산은 복강중으로 오염되는 방사성스트론튬의 방어약제로 쓰일 수 있으며, 그 중 장기간 수용성 카이토산을 투여할 수록 그 배출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임상실습전 멘토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Effects of Mentoring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before their Clinical Practice)

  • 박수호;유하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6
    • /
    • 2020
  • 멘토링의 효과는 멘티의 역량강화, 지식향상, 적극적 태도 등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 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현장적응, 자신감 부족 등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실습 전 문제해결능력, 학습태도, 간호술기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자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책임자를 포함한 교수 및 임상간호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 임상실습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간호행위 및 지식 등에 대한 논의를 거쳐 11개의 주제를 선정한 후 내용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에는 14명의 멘토가 투입되어 2일동안 9~10명으로 구성된 그룹에게 실습, 상담, 동영상, 상황별 토론 등을 운영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이고, 프로그램의 효과는 문제해결능력, 학습태도, 간호행위 수행자신감 도구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참여 후 학습태도, 간호술기 수행자신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문제해결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정형화된 교내실습교육에서 벗어나 멘토링 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효과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멘토링 교육프로그램이 단기간이 아닌 임상실습 전, 중, 후에 적용하여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가정생활문화 수업 사례와 효과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a college-level course on the culture of family living and its effect)

  • 백민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 가정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정생활문화 수업에서 학습자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역진행 수업(Inverted Class)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러닝 수업은 3단계(Pre class/In class/After class)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가정교육과 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매주 수업 종료 후 학생들이 작성한 WorkSheet와 성찰일지를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일방적 강의에서 탈피하여 질문과 토론 등 어울림 수업을 할 수 있어서 좋았으며, 선행학습 또는 개별적으로 학습할 때 병행학습이 가능하여 학습효과가 높아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Visual Thinking을 활용한 수업은 흥미로웠으며, 학습내용을 이해하고 정리(요약)하는데 유용하여 다른 전공분야 학습에 적용시킬 의지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가정생활문화 수업에 활용해 보는 것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앞으로의 중등교육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종합편성채널 저널리즘의 비판적 재조명 시사토크쇼 정치 매개 엘리트들의 텔레비전 정치 (A Critical Review on the Comprehensive Cable TV Channels' Journalism Focused on the TV Politics of Political Mediating Elites in Current Affairs Talk Show)

  • 이영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7권
    • /
    • pp.36-72
    • /
    • 2016
  • 정치적 산물로서 출범한 지 5년을 넘어선 종합편성채널의 영향력과 방송 영역에서의 지위가 상승하고 있다. 종편의 안정화는 저널리즘의 물량 공세에 기초한다.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쏟아 내는 뉴스와 시사토론 프로그램들이 '종편 타임대'라 불리는 오후 시간대를 점유한다. 시사토크쇼는 종편이 만들어 낸 대표적인 프로그램 형식이자 상품으로 독특한 종편 스타일 저널리즘을 이끌고 있다. 시사토크쇼의 주인공은 평론과 토론을 위해 모인 출연자들이다. 이 연구는 이들을 정치 매개 엘리트라는 개념적 위치화와 함께 TV조선, 채널A, MBN, JTBC의 대표적인 시사토크쇼에서 이들이 벌이는 텔레비전 정치의 풍경들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종편의 시청률을 상승시키고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시사토크쇼에서 정치 매개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편향성과 감정을 과감하게 드러내고 독특한 규정과 서술적 발화들을 통해 특정 대상들을 형상화하는 텔레비전 정치의 효과들을 읽어 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출연자로 불리는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주로 극우, 보수, 중도보수적 정치 성향들을 가지며, 특정한 정당이나 정치 집단과 밀착된 관계를 형성한다.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종편 시사토크쇼에서 수행하는 텔레비전 정치를 통해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자산을 확보하면서 정치 집단과 정치적 교환 혹은 거래 관계를 형성한다. 이 같은 정치적 동원, 교환, 거래의 관계 속에 종편의 시사토크쇼가 위치하며, 시사토크쇼는 정치적 전장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 연구는 강조한다.

  • PDF

환경단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for Environment Teaching Unit)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5-21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을 과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지도전략과 '문제상황'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후 학습자의 학습과정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문제중심학습의 단계는 문제상황 제시-문제 만나기-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 할 것에 대한 확인(Know/Need to Know)-문제의 진술-정보의 수집과 공유-가능한 문제해결책 형성-최적 문제해결책 결정-문제해결책 발표이고, 소집단 토론 전략과 학습자 주도적 문제해결 전략 등의 단계별 지도전략을 설계하였다. '온실효과를 줄이기 위한 미래의 에너지로 무엇이 좋을까?'라는 문제상황으로, 과학고등학교 2학년 지구과학 수업시간에 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하였고, 학습과정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을 밝혔다. 연구결과, 문제의 진술 단계에서는 초기에는 광범위한 문제 진술이 많았으나, 토론을 거듭할수록 문제해결책을 찾기 용이한 좁은 범위의 문제 진술로 정교화되었다. 그리고 K/NK단계에서 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할 것에 대하여 명료하게 진술하는 활동이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소감문 분석결과 학습자들은 문제상황에서 문제를 찾아내는 과정을 가장 어려워하면서도 또한 흥미있는 활동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내실있는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을 위하여, 다각도의 문제인식이 가능한 간학문적이고 현실적인 문제 상황의 개발이 우선되어야함을 알 수 있다.

환경의식 함양을 위한 NIE탐구공동체 활동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to NIE Community Activity of Inquiry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Awareness)

  • 문지영;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29
    • /
    • 2010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의복 마련과 관리' 단원에서 환경교육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NIE 탐구 공동체 교수 학습 과정안 및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환경의식함양을 위한 수업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의 의생활 단원을 분석하여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의복의 소재', '의복 구입과 사용 및 보관', '의복의 세탁', '의복의 재활용과 폐기'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총 8차시 분량의 NIE 탐구공동체 활동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부산광역시 소재의 E중학교 2학년 3개 학급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수업한 후 환경의식과 NIE 탐구공동체 수업에 대한 흥미도, 태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중학생들은 다양한 신문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여 비판적, 창의적, 배려적 사고를 강조하는 토론 위주의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일반적 환경인식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 학습주제 '의복의 소재', '의복의 구입 과 사용 및 보관' '의복의 세탁', '의복의 재활용과 폐기'와 관련된 환경의식도 유의미하게 높았다. NIE 탐구공동체 활동(신문토론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도 매우 높게 향상되었다. NIE 탐구공동체 활동에 대한 학생의 평가는 그동안 접해보지 않는 새로운 내용구성과 NIE 탐구공동체 활동 학습방법이 교과서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 더 재미있어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환경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NIE 탐구공동체 활동 교수 학습 과정안은 학습의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의생활 환경의식 함양에도 매우 효과가 있으므로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과 학습 자료는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핵심역량중심교육 관점에서 지층관련 초등과학교과서의 지식과 예비초등 교사들의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lated to Strata from the Perspective of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8-58
    • /
    • 2021
  • 이 연구는 핵심역량중심교육 관점에서 초등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지층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지층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교과서의 지층관련 지식은 대부분 'A는 B이다'와 같은 선언적 문장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지식의 형식은 과학수업에서 학생들 간 토의와 토론의 주제로 사용하는데 한계를 지님으로써 핵심역량교육 관점에서 불리하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지층개념과 관련하여 조사대상자의 70%는 진흙, 모래, 자갈 등의 퇴적물들을 단단한 퇴적암으로 변화시키는 속성작용의 원인으로'상부의 퇴적층에서 가하는 압력과 압력으로 생긴 열이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지질시대의 자연환경에 대한 정보를 지층을 통해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약 20%가 '지층에서 나타난 화석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고 응답했다. 약 80%의 학생들은 지층을 통해 얻을 수 과거 지질시대의 자연환경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자연환경에 대한 정보는 지층의 단단함 등 오개념이 비율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지층개념에 대한 교수/학습을 통해 핵심역량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지층 관련 지식의 형태와 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COVID-19로 인한 대학교 원격 화상강의 유형에 따른 학업 성취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University Remote Video Lecture Typ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97-404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원격 화상강의 유형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화상강의 유형은 일반적 강의 중심형과 조별과업 중심형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두 가지 화상강의 유형에 맞게 실험반과 비교반을 설정하였고 두 가지 유형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성취도 테스트와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성취도 테스트 결과 화상강의 유형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성취도 점수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강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두 집단의 만족도는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강의 형식으로 진행된 반에서 화상강의에 만족하는 이유로는 학습 효과, 교수자의 수업 준비 및 태도, 수업 참여 촉진이 그 이유로 나왔다. 조별 과업 중심으로 진행된 반에서는 소통과 공유 가능, 조별 토론의 효율성, 조별 과업의 부담 없는 난이도 등이 화상강의에 만족하는 이유로 제시되었다. 언택트 시대 화상강의는 점차 일반화되어 가고 있고 이것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학생 소집단 활동 참여구조를 기반으로 (The Effect of Mathematics-Based Yungbokhap Instruction: An Analysis of Participation Structure in Small Group)

  • 박모라;문종은;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355-376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융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탐구하기 위해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의 모둠 활동 맥락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참여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중심 융복합수업을 통해 학생 사이의 참여구조가 보다 협력적 지식 구성 활동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초기수업에서는 특정 학생에 의해 모둠 활동과 토론이 주도되거나 타인의 의견을 무조건적 비판하는 경향을 보여서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참여구조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후기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수학적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근거를 바탕으로 타인의 의견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는 말하기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모둠 내에 학생들의 능동적 탐구와 협력적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참여구조가 등장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이 학생 사이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소통 역량을 개발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을 보여준다.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지원하는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n-line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Learning System(RVCLS) for Web-based Project Learning)

  • 최길수;김동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80-9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 현장에 적용하였다. 또한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 활용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실환경검사도구인 WIHIC를 투입하여 학생들의 교실 환경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한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의 활용은 교실 환경 8개 영역(학생들의 단결, 교사의 지원, 수업에의 참여, 자율성, 탐구 활동, 과제지향, 협동성, 평등) 에서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및 ICT 활용 능력 함양, 소집단 협동 학습에서의 토론 활동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