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Review on the Comprehensive Cable TV Channels' Journalism Focused on the TV Politics of Political Mediating Elites in Current Affairs Talk Show

종합편성채널 저널리즘의 비판적 재조명 시사토크쇼 정치 매개 엘리트들의 텔레비전 정치

  • 이영주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6.02.16
  • Accepted : 2016.05.26
  • Published : 2016.06.15

Abstract

Comprehensive Cable TV Channels(CCCs) has been established as a political product around 5 years ago, and it's influence and position on the broadcasting field are keep increasing. CCC's stabilization is based on flooding the market with journalism. The repeating news and current affairs programs are appearing constantly in the afternoon which is CCC's primetime. The current affairs talk shows are a product of CCC's representative program type and it leads unique CCC style journalism. The guests of the current affairs talk show leading the program with critiques(comments) and discussions about political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se guests of the current affairs talk shows conceptually positioned as political mediating elites and same time to explore the television political landscape through the representative current affairs talk shows from TV chosun, Channel A, MBN, JTBC which are present by these political elites. This study wants to find out about that television political effects from CCCs which exemplified into certain directions by these political mediating elites saying their political biases and expresses their feelings drastically that causes high ratings and brings people's attention. The guests who called political mediating elites in this study are mostly considered to be extreme rightist, conservatives, conservative-centrist and they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certain political party or political group. The political mediating elites gain the popularities and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 from performing the television politics through CCCs' current affairs talk shows and use that to make political exchange connections with political groups. Therefore this study wants to point out that CCCs' current affairs talk shows are situated in political rally, exchange connection, so current affairs talk shows are existing only for political battle field.

정치적 산물로서 출범한 지 5년을 넘어선 종합편성채널의 영향력과 방송 영역에서의 지위가 상승하고 있다. 종편의 안정화는 저널리즘의 물량 공세에 기초한다.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쏟아 내는 뉴스와 시사토론 프로그램들이 '종편 타임대'라 불리는 오후 시간대를 점유한다. 시사토크쇼는 종편이 만들어 낸 대표적인 프로그램 형식이자 상품으로 독특한 종편 스타일 저널리즘을 이끌고 있다. 시사토크쇼의 주인공은 평론과 토론을 위해 모인 출연자들이다. 이 연구는 이들을 정치 매개 엘리트라는 개념적 위치화와 함께 TV조선, 채널A, MBN, JTBC의 대표적인 시사토크쇼에서 이들이 벌이는 텔레비전 정치의 풍경들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종편의 시청률을 상승시키고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시사토크쇼에서 정치 매개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편향성과 감정을 과감하게 드러내고 독특한 규정과 서술적 발화들을 통해 특정 대상들을 형상화하는 텔레비전 정치의 효과들을 읽어 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출연자로 불리는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주로 극우, 보수, 중도보수적 정치 성향들을 가지며, 특정한 정당이나 정치 집단과 밀착된 관계를 형성한다.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종편 시사토크쇼에서 수행하는 텔레비전 정치를 통해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자산을 확보하면서 정치 집단과 정치적 교환 혹은 거래 관계를 형성한다. 이 같은 정치적 동원, 교환, 거래의 관계 속에 종편의 시사토크쇼가 위치하며, 시사토크쇼는 정치적 전장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 연구는 강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찬호 (2013), 방송 정치평론의 문제점과 해법: 종편 시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관훈저널>, 128호, 249-258.
  2. 경향신문 (2013, 11, 17). 괴물이 된 종편... 개국 2년, 이대로 좋은가.
  3. 그린투데이 (2014, 7, 11). 지상파조차 따라하기 '종편의 시사토크' 왜 뜨나.
  4. 금희조.조재호 (2015). 종합편성채널 시사토크쇼 시청이 정치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시청의 주 효과 및 정치 성향과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방송학보>, 29권 3호, 5-35.
  5. 김서중 (2013). 신문의 방송 뉴스 진출을 위해 기획된 종편. 민주언론시민연합 (편), <종편 대해부: 종편 탄생의 비밀과 비리>.
  6. 김세은 (2014). 전장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한국언론학회 엮음,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 186-227.
  7. 김재홍 (2002). 한국 정치과정에서 언론의 역할에 관한 사례 연구: 정치 평론과 선거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9집, 77-113.
  8. 류동협.홍성일 (2014). 종합편성채널 시사대담 프로그램의 차별화 전략과 그 효과: 부르디외의 저널리즘 장 이론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2013년 겨울호, 9-36.
  9. 민주언론시민연합 (2015, 3). 종편 시사토크쇼는 한마디로 막말쇼, 카더라쇼이다, <방송모니터보고서>.
  10. 박지영.김예란.손병우 (2014). 종편 시사토크쇼와 사담의 저널리즘: 쾌도난마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2권 2호, 5-63.
  11. 시사IN (2012, 12, 1). 정치평론가, 누가 제일 잘 나갔지?.
  12. 시사IN (2016, 2, 1). 살아남은 종편의 비빌 언덕은 선거.
  13. 원희영.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제18대 대통령선거에 대한 메인뉴스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9권 1호, 117-148.
  14. 이기형 (2014). 종편 저널리즘의 위상과 함의: 과잉된 정파적 저널리즘과 흥분하는 시사토론 프로그램의 역할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104-128.
  15. 이기형 (2014). 종편 저널리즘의 위상과 함의. <종편의 문화 정치>, 2014 미디어콘텐츠포럼.
  16. 주간경향 (2014, 3, 18). 어르신들은 종편을 좋아해?. 1067호.
  17. 프레시안 (2015, 5, 11). 종편이 낳은 '동교동 좀비들'부터 물갈이하자.
  18. 한겨레21 (2015, 3, 18). 종편 패널의 고백 "괴물로 변한 나를 발견했다".
  19. 한겨레21 (2015, 3, 4). 종편이 낳은 괴물들의 거친 입, 독한 입, 쏠린 입.
  20. 홍성일 (2014). 보수적 방송저널리즘의 출현 혹은 페니 프레스의 텔레비전화. <종편의 문화 정치>, 2014 미디어콘텐츠포럼.
  21. 2016총선보도감시연대 (2016, 2). <모니터 주간 보고서>, 6호.
  22. MK뉴스 (2016, 1, 3). 종편 출범 5년차 지상파 독식 깨져.
  23. PD저널 (2016, 1, 25). 생존한 종편 '이런 성장' 괜찮습니까.
  24. theimpeter.com (2016, 1, 11). 종편 채널들을 대거 새누리당이 영입한 이유는.
  25. Goff, J. (2004). Right-Wing Influence in American Media, web.standford.edu.
  26. Parry, G. (1976). Political Elites.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