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로이달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velopment of the New nuclear fusion devices Using Method of promoting nuclear fusion (핵융합 촉진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핵융합 장치의 개발)

  • Kim, G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151-155
    • /
    • 2005
  • Though the nuclear fusion system has been fused into hydro-nuclear based on thermodynamics by tokamak system, there has been no success story. Because it's impossible to confine high temperatured plasma long Time actually. New nuclear-fusion-system using this nuclear-fusion-method will gather toroidal-magnetic-field by putting Core Block(C shaped torus iron) and toroidal-aluminium coil into toroidal magnetic-field-aluminium. That will arrange the nuclear-fusion-route on a gap fallen out by a part of cut torus-core and mkee the toroidal-an electric-current flow and electrolyze the fusioned-material (an electrolyte) into troidal-electrocity. That consists of troidal-magnetic-fild coil, toroidal-coial fusioned- material, series circuit. So toroidal-electocity will be changed into filament-electrocity and be introjected into fusioned-material. In a sapce on filament-electrocity, the magnetic inhaling-powr will enlarge to input-electrocity outside. This will exceed the Coulomb force and reache the nuclear-fusion. By this phenomenon there be quantity-loss. By this process I could confirmed that Einstein euation$(E=mC^2)$ releases into thermal energy.

  • PDF

Position Detection of Toroidal Switched Reluctance Motor Using Search Coils (서치 코일을 이용한 토로이달 스위치드 릴럭던스 모터의 위치 검출)

  • Kim Jong-Gun;Yang Hyong-Yeol;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2.07a
    • /
    • pp.1-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저비용과 강인한 제어성에 관심을 갖고 토로이달 SRM을 기존의 위치 센서가 아닌 서치 코일을 이용해 인가 전압과 전류에 의한 쇄교자속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 파형을 이용하여 위치 검출을 시도하였다. 서치 코일에서 유기되는 전압파형을 이용해 특정지 점을 검출하여 토로이달 6/4 SRM을 구동시켜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Drive of Toroidal Switched Reluctance Motor Using Search Coils (서치 코일을 이용한 토로이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

  • Kim, Jong-Gun;Yang, Hyong-Yeol;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b
    • /
    • pp.996-99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위치 센서인 엔코더를 이용하여 토로이달 SRM을 구동시, 각 상의 슬롯에 감긴 서치 코일에서 유기되는 전압 파형을 분석했으며, 그 유기전압을 이용해 회전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추적 방법을 토대로 엔코더 없이 서치코일만으로 위치를 검출하여 토로이달 SRM을 구동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 서치 코일에서 특정지점을 검출하여 토로이달 6/4 SRM을 구동시켜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Impedance Matching Using Toroidal Transformers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토로이달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임피던스 매칭)

  • Kim, Jinwook;Kim, Do-Hyeon;Park,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토로이달 트랜스포머를 사용한 공진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임피던스 매칭법을 제안한다. 공진코일과 병렬 연결된 토로이달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1, 2차 코일에 의한 전력손실을 줄이면서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최대 전력전송효율 또한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품질계수가 각 각 549와 525인 직사각형 송 수전부 공진코일에 토로이달 트랜스포머 2차 코일을 연결한 후 1차 코일의 턴 수를 변경하여 송 수전부 공진코일 사이의 간격이 40 cm에서 약 90%, 100 cm에서 약 60%의 효율을 얻었다.

  • PDF

KAERIT 토카막의 실험현황

  • 황철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2.11a
    • /
    • pp.88-94
    • /
    • 1992
  • 최근 KAERIT토카막은 토로이달 및 폴로이달 코일 전원의 용량을 확장하고 이에 따른 토로이달코일의 기계적 지지구조의 강화 그리고 진공용기 관련 사항들을 개선하는 일을 마감하였다. 확장된 각 전원의 실험적 특성이 논의되고 현재 진행중인 토카막 실험의 내용과 함께 그동안 KAERIT에서 이루어진 플라즈마 실험들이 개괄된다.

  • PDF

Design of Magnetic Systems for SNUT-79 Tokamak (SNUT-79 토카막의 자장 계통 설계)

  • Cheol Hee Nam;Sang Hee Hong;Kie Hyung Chung;Sang Ryul 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6 no.2
    • /
    • pp.89-96
    • /
    • 1984
  • A toroidal-field (TF) coil with a pure tension D-shape curve is designed for the confinement of high-temperature plasmas in the SNUT-79, which is a tokamak being buil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 toroidal assembly of 16 D-shape TF coils is designed to produce the magnetic field of up to 3T, of which ripples appear to be below 4% of the average toroidal field in the plasma region. Exact positions and currents in six equilibrium coils distributed symmetrically in the z=0 plane are found by the solution of a set of linear equations which is transformed from a Fredholm integral equation of the first kind. The decay indices resulted from equilibrium field indicate that the stability condition for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s is satisfied.

  • PDF

Rotor Position Detection of Toroidal Switched Reluctance Motor Using Search Coils (서치 코일을 이용한 토로이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회전자 위치 검출)

  • 양형열;김종건;임영철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7 no.6
    • /
    • pp.537-545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of detecting rotor position in Toroidal Switched Reluctance Motor(TSRM). In this paper, low cost and robust characteristics of rotor position detection method are focus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disadvantage of existing sensors. Search coils wound around stator poles are used for detection of rotor position in TSRM. Rotor position detection is achieved through electromotive force patterns induced by time-varying flux linkage in the search coils and then adequate phase is excited for drive. The validity of the method is verified by experimental results.

Numerical Analysis of MHD Equilibrium in Tokamaks by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에 의한 토카막에서 MHD평형의 수치해석)

  • 이홍식;황기웅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38 no.9
    • /
    • pp.733-739
    • /
    • 1989
  • Fixed boundary MHD static equilibrium for the axisymmetric toroidal plasma is analyzed numerically. The Grad-Shafranov equation is solv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toroidal current term is expressed by plasma pressure and toroidal field function. The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to the Solovev analytic equilibrium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olution. For SNUT-79 tokamak devic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lux surfaces, the toroidal current profiles, the safety factor q and average beta values are obtained when the p and g profiles are varied.

Ideal MHD Beta Limit for Optimum Stable Operation of Axisymmetric Tokamak Reactor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원형 단면을 가진 축대칭형 토카막 핵융합로의 최적운전을 위한 이상적 자기유체역학 안전성을 유지하는 베타값의 최대한계)

  • Lee, Hyoung-Koo;Hong, Sa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1
    • /
    • pp.32-39
    • /
    • 1989
  •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um ideal MHD $\beta$limit and the operation conditions is presented for an axisymmetric tokamak reactor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beta$limit is calculated under the constraints of ideal MHD instability criteria with varying the operation conditions which depend on the toroidal current density distributions. Semiempirical laws deduced from experimental observations are used for the toroidal current density distributions. Analytic derivations of various equations required to determine the $\beta$limit are carried out from the empirical equations. Various distributions of the $\beta$limit are obtained by the numerical calculations for different distributions of the toroidal current density. The resulting values of the maximum $\beta$limited by ideal MHD instabilities are expressed by a scaling law in terms of the tokamak geometry and the safety factor.

  • PDF

Shifting Ratio Control of CVT (CVT의 변속제어)

  • Kim, Hyun-Soo;Kim, Kwang-Won;Kim, Sung-Ho;Sung, Duk-Hwan;Eun, Tak;Park, Seong-Hyon;Yang, Jin-Seung;Kwon, Hyuk-Bin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0
    • /
    • pp.892-901
    • /
    • 1993
  • 환경오염과 차량 성능향상에 따라서 날로 강화되는 연비규제는 차량용 변속기로서 CVT 양상 보급에 대한 필요를 앞당기고 있다. CVT는 소형차를 중심으로 일부 자동차 에이커에 의해 이미 실용화되어 있으며 일본 및 구미 자동차 각 사는 CVT에 대한 자체기술을 보유하고 경쟁성 있 는 완성품 개발을 위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CVT에 대한 연구개발의 추세는 동 력전달 구동요소의 특성에 따라 벨트식과 토로이달 (Torodial)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현재 일부 실용화 개발된 벨트식 CVT가 기술완성도가 높은 반면 토로이달롤러의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무단변속을 이루는 토로이달 방식은 2000년대 이후에 양산을 목표로 일본 및 영국 등에서 개발 진행주이나 새로운 재질과 제어기술개발 등의 숙제를 안고 있다. 벨 트식의 경우 금속벨트는 지난 십 수년이상 시행착오를 겪으며 CVT용으로 개발된 전문업체의 제품이 이미 특허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각사는 벨트와 같은 구동요소보다는 CVT 메카니즘 설계 및 제어시스템 개발에 기술력을 투입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CVT 개발도 이와 같은 추세를 따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AT와 같은 완성품으로서의 상품가치를 갖기 위하여는 CVT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