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구설치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Water Depth and Velocity through Discharge Condition from Sewerage Outlet at Near Channel Junction (하천 합류부 주변내 하수관거 방류조건에 따른 수위 및 유속 영향분석)

  • Chung, Yeon-Jung;Choi, Gye-Woon;Kim, Young-Kyu;Cho,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4 s.23
    • /
    • pp.49-56
    • /
    • 2006
  • The rainfall runoff is drained through sewerage outlet at urban area. But, there is no guideline or standard to install sewerage outlet, so the sewerage outlet are designed or installed by discretion of engineers or constructors. In this paper, for the sake of supporting basic data to design, it would be suggested a guideline for less influenced to flow at the channel flow condition through hydraulic experiment by variation of lateral inflow discharge, sewerage outlet projecting part, sewerage outlet direction and position. Through 10 cases of experiments, it would be less influenced two sewerage outlet at up and down stream than one installed at up or down stream even though the same discharge. And installed conditions which are installed angle and protecting part will be influenced to increase water depth and to decrease velocity at upstream. So when sewerage outlet is installed, it would be try to find a installing way to be less influence with more careful.

A study of the operational plans of non-point treatment facility depending on non-point source reduction scenario (비점오염원 저감시나리오에 따른 비점처리시설의 운영방안 연구)

  • Shin, Hyun-Suk;Jang, Jong-Kyung;Shon, Tae-Seok;Kim, Hong-Tae;Son, J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56-2060
    • /
    • 2008
  • 도시하천의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분류되어 점오염원은 하천유입 전에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하는 체계가 갖추어져 있으나 전체 오염부하량의 $30%{\sim}40%$ (BOD기준)로 추정되는 비점오염원은 차집되거나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하천에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점오염원은 불특정 오염원으로서 지표의 오염물질이나 합류식 하수관거의 하수가 강우에 의해 발생한 유출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CSOs)되어 우천 시에 하천을 오염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의 저감하기 위한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인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온천천 유역을 주요토구별 43개 유역으로 구분하여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구축하였고 개별 토구에 Divider를 설치하여 일정 차집량을 초과하는 유량은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모의하였다. 장치형 처리시설은 농도에 따라 일정효율을 가지고 처리시설의 임계유량을 초과하는 경우는 미처리되어 방류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처리장으로 차집된 유량도 처리장의 시간최대 유량을 초과하는 유량은 간이처리 후 방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하였다. 각 토구별로 처리시설을 설치한 경우의 처리효율과 차집비율을 증가시켜 처리장에서 일괄처리하는 경우의 처리효율을 차집비율별로 검토하여 최적의 차집비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오염원 관리측면의 면적당 축적부하량 저감과 발생량 관리측면의 토구의 차집비율 증가 및 토구에 대한 처리시설 설치비율에 따른 효율을 검토하여 처리효율, 오염원 저감 및 차집비율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PDF

Variation of Flow Properties by Installing Sewerage Outlet at Channel Junction (합류하천에서 토구설치에 따른 흐름변화)

  • Choi, Gye-Woon;Cho, Sang-Wook;Kim, Young-Kyu;Han, Hyu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28-1332
    • /
    • 2006
  • As the city is developed, Sewerage outlet is installed for the discharge of rainfall special at new town or modified the existed sewerage network. But the sewerage outlet is influenced to the cannel flow. In this paper, for analyzing variation of flow properties by installing sewerage outlet, it was experimented a with $120^{\circ}$ channel junction. The water depth is rapidly increasing at the just before sewerage installed position, but the velocity is represented increasing at the just after sewerage installed position. In addition, the biggest increment of water depth and velocity is represented $3.0m^3/hr{\sim}4.0.m^3/hr$. At the position of the sewerage outlet installation, separate install at up and downstream is rather than only one position at up or down stream. If it was not install both installation, the upstream installation is better than downstream installation.

  • PDF

수리모형실험을 이용한 청계천 복원 건설 공시의 수리 안정성 검토

  • 노영신;윤병만;송재우;윤세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47-95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계천 복원에 따라 새로이 설계된 하도의 치수안정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 모형은 태평로 입구로부터 신답철교까지 청계천 복원 5.8km 전구간을 대상으로 평면 1/100, 면적 1/40의 축척으로 제작하였으며, 실험은 치수안정성 검토 및 대안 제시와 홍수시 하도와 벼수구의 유량 분배 효과의 검토에 중점을 두어 실시되었다. 치수 안정성 검토를 위해 청계천 복원으로 인한 홍수시 수위 및 유속변화 등의 흐름변화를 파악하였으며 홍수량 소통 가능 여부와 구조를 영향에 회한 월류 문제 등을 파악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200년 빈도 홍수시에 본류와 개구부에 관로 미설치시 본류는 제법 여유고가 확보되나 좌${\cdot}$우안 관로의 경우 전체구간에서 만관이 발생하며, 토구의 흐름 지체 및 역류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체내지에 침수의 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므로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개구부 및 비상 개구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관로 만관에 따른 침수피해를 예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Optimal Sewer Network Design to Reduce the Damage for Urban Inundation Risk Area (도시 침수 위험지역의 피해 저감을 위한 우수관망 최적설계)

  • Lee, Jung-Ho;Ryu, Seung-Hyun;Song, Y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71-471
    • /
    • 2012
  • 도시유역에서 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방류토구 인근의 저지대의 경우 유수지 및 빗물펌프장을 통하여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 도심지 한복판에 이러한 상습 침수지역이 존재한다면 이에 대한 침수 방지 시설물의 설치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도심지 한복판의 침수위험지역의 경우 부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유수지의 설치는 매우 제한적이며, 따라서 근래 대두되고 있는 것이 지하 저류공간의 건설 등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하 저류공간의 건설과 더불어 우수관망의 설계 자체를 침수피해 저감 측면에서 그 효과를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설계빈도하에 설계된 우수관망이라 하더라도 관망의 노선 선정에 따라서 초과강우사상에 따른 침수 발생량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우수관망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사상에 대하여 그 부하량을 적정히 분배함으로써 관망의 전체적인 침수 발생 위험을 전반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확보되는 안전성은 지하 저류공간 등 각종 침수피해 저감 시설과 더불어 우수관망시스템의 침수피해 발생 위험을 전반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하에 도시유역에서의 침수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우수관망의 신뢰도 산정 식을 토대로 목적함수를 아래의 식과 같이 구성하였다. $$Max.\;liability\;of\;Sewer\;Networks=1-\;{(1-N)^2+(1-V_i)^2\atop2}\;\cdots\cdots\cdots\;\;\;(1)$$ 여기서, $V_i$는 적용된 강우량당 유역의 전체 유출량 대비 월류발생량을 나타내며, $N_i$는 적용된 강우량당 해당 관망의 전체 지점 수 대비 월류 발생지점 수를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우수관망의 신뢰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도시유역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최적 설계에 따른 신뢰도 향상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 PDF

Soil amendment for turfgrass vegetation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runway side on the Yeongjong reclaimed land (인천국제공항 착륙대 잔디 식재 지반 조성을 위한 영종도 매립 토양 개량)

  • Yoo, Sun-Ho;Jeong, Yeong-Sang;Joo, Young-Kyu;Choi, Byung-Kwon;Wu, Heun-Young;Lee, Tae-Yo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5 no.2
    • /
    • pp.93-104
    • /
    • 2002
  • A field survey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1996 to 1998 to develop rational technology for turfgrass vegetation of runway sid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on the reclaimed tidal land in Young-Jong Island. Backfill of the experimental site was finished on August 1995. The experimental site was 8 ha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nstruction place for the main parking lot in front of the terminal building construction. The experimental field was drained by main open ditch, and divided three main plots, no subsurface tile drain, subsurface tile drain spacing with 22.5m, and with 45 m, respectively. The 17 sub plots were designed to test the effect of soil covering with red earth loam by 5 cm and 20 cm depth, application of chemical compound fertilizers and livestock manures, dressing of artifical soils and hydrophylic soil conditioners. The tested turfgrasses were three transplanting indigenous turfgrasses, Zoysia koreana, Zoysia sinica and Zoysia japonica, and two hydroseeding mixed exotic turgrasses, cool type I(tall fescue 30%, kentucky blue grass 40%, perenial ryegrass 30%), and cool type II(tall fescue 40%, perenial ryegrass 20%, fine fescue 20%, alkaligrass 20%). The soil backfilled with dredged seasand was sand textured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and low fertility. The soil showed high pH, low organic matter and low available phophate contents. The percolation rate was fast with high hydraulic conductivity. Desalinization was fast after installation of the main open drainage system. No subsurface tile drainage effect was found showing little difference in turfgrass growth. The covering and visual growth of turfgrasses were the best in the 20-cm soil covering with compound fertilizer treatment. The covering and visual growth of turfgrasses were satisfactory in the 5 cm soil covering with compound fertilizer treatment and with livestock manure treatments. The hydrophillic soil conditioner treatments were effective but expensive at present. The coverage and visual quality of turfgrasses were good for Zoysia koreana and Zoysia japonica. The coverages of turfgrasses by the hydroseeding with the mixed exotic turfgrasses were less than transplanting of native turfgrasses. In conclusion, for the runway side vegetation purposes, the subsurface tile drainage might not necessary as main open ditch drainage be sufficient due to fast percolation rate of the backfilled dredged seasand. The 5 cm soil covering with red earth might be sufficient for the runway side, but the 20 cm soil covering might be necessary for the runway side where high density of turfgrass coverage was necessary to protect from the airplance air b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