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amendment for turfgrass vegetation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runway side on the Yeongjong reclaimed land

인천국제공항 착륙대 잔디 식재 지반 조성을 위한 영종도 매립 토양 개량

  • 류순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정영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과학연구소) ;
  • 주영규 (연세대학교 문리대학) ;
  • 최병권 (인천국제공항 조경팀) ;
  • 우헌영 (인천국제공항 조경팀) ;
  • 이태영 (인천국제공항 조경팀)
  • Received : 2002.01.25
  • Accepted : 2002.01.07
  • Published : 2002.04.30

Abstract

A field survey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1996 to 1998 to develop rational technology for turfgrass vegetation of runway sid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on the reclaimed tidal land in Young-Jong Island. Backfill of the experimental site was finished on August 1995. The experimental site was 8 ha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nstruction place for the main parking lot in front of the terminal building construction. The experimental field was drained by main open ditch, and divided three main plots, no subsurface tile drain, subsurface tile drain spacing with 22.5m, and with 45 m, respectively. The 17 sub plots were designed to test the effect of soil covering with red earth loam by 5 cm and 20 cm depth, application of chemical compound fertilizers and livestock manures, dressing of artifical soils and hydrophylic soil conditioners. The tested turfgrasses were three transplanting indigenous turfgrasses, Zoysia koreana, Zoysia sinica and Zoysia japonica, and two hydroseeding mixed exotic turgrasses, cool type I(tall fescue 30%, kentucky blue grass 40%, perenial ryegrass 30%), and cool type II(tall fescue 40%, perenial ryegrass 20%, fine fescue 20%, alkaligrass 20%). The soil backfilled with dredged seasand was sand textured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and low fertility. The soil showed high pH, low organic matter and low available phophate contents. The percolation rate was fast with high hydraulic conductivity. Desalinization was fast after installation of the main open drainage system. No subsurface tile drainage effect was found showing little difference in turfgrass growth. The covering and visual growth of turfgrasses were the best in the 20-cm soil covering with compound fertilizer treatment. The covering and visual growth of turfgrasses were satisfactory in the 5 cm soil covering with compound fertilizer treatment and with livestock manure treatments. The hydrophillic soil conditioner treatments were effective but expensive at present. The coverage and visual quality of turfgrasses were good for Zoysia koreana and Zoysia japonica. The coverages of turfgrasses by the hydroseeding with the mixed exotic turfgrasses were less than transplanting of native turfgrasses. In conclusion, for the runway side vegetation purposes, the subsurface tile drainage might not necessary as main open ditch drainage be sufficient due to fast percolation rate of the backfilled dredged seasand. The 5 cm soil covering with red earth might be sufficient for the runway side, but the 20 cm soil covering might be necessary for the runway side where high density of turfgrass coverage was necessary to protect from the airplance air blow.

인천 영종도와 영유도를 잇는 새로운 간척지에 건설되고 있는 인천국제공의 녹지 조경 식재 지반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지표와 효율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현지 연구가 1996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24개월간 수행되었다. 인천국제공항 건설 부지 중 1995년 8월에 매립이 완료된 여객터미날 주차장 예정지에 8 ha의 시험포장을 조성하였다. 갯벌 지역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자생잔디 보호 구역 부근에 염생 식물 종자 채취 구역을 별도로 1.5ha 조성하였다. 조성된 $492{\times}190m^2$의 시험 포장에 암거 배수의 효과 및 적절한 배수 간격을 설정하기 위해 무암거배수구(A), 암거 간격 45m구(B), 암거간격 22.5m구(C)를 설치하였다. 배수 시설은 처리는 단반복으로 하였다. 토양 개량을 위한 식재 지반 처리는 준설 모래로 매립하여 지균작업을 하여 매립고를 맞춘 무처리를 두고, 산토 5-cm 복토구와 20-cm 복토구 처리, 화학비료 사용과 유기질비료의 시용, 인공 토양 조성구, 그리고 보습재의 처리 등을 조합하여 17개 처리를 하였다. 식재된 잔디는 5종으로 한국형 잔디로 들잔디, 영종도 자생 갯잔디, 도입 한지형 잔디로 한지형 혼파I(tall fescue 30%, kentucky blue grass 40%, perenial ryegrass 30%), 한지형 혼파II(tall fescue 40%, perenial ryegrass 20%, fine fescue 20%, alkaligrass 20%)이었다. 시험 포장의 토성은 모래로 염농도가 높았고, 유기물 함량과 비료 성분 함량이 낮아 비옥도가 낮은 토양이었다. 투수속도는 빠른 토양이었다. 암거 배수 후 제염은 빨랐다. 잔디 식재 후 암거 배수 처리간에는 토양의 투수속도가 매우 빠른 때문으로 잔디 생육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토양 개량 처리에 따른 잔디의 피복도와 생육도를 비교한 결과 들잔디 영양체 식재구가 가장 좋았고, 한국잔디도 양호하였다. 양종도 자생 갯잔디의 피복도와 생육도는 이들보다 떨어졌다. 도입 잔디 한지형 혼파는 한국잔디 영양체 식재구에 비하여 떨어졌는 데, 이는 여양체 증식과 파종의 차이로 판단된다. 산토 20cm 복토구와 5cm 복토구의 잔디 생육을 비교한 결과 한국잔디 생육은 20cm복토구에서 좋았으나, 화하비료 사용시 도입 잔디 혼파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토양 개량재 시용구와 화학비료 시용구간에 큰 생육의 차이가 없었다. 축분 유기질 비료의 사용구는 화학비료 사용구에 비하여 한국잔디 영양체 식재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도입잔디 혼파에는 차이가 없었다. 보슘재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효과가 있었고, 산토 복토 보다는 미흡하나, 큰 차이는 없어, 산토 부족시 대체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 인천공항 착륙대 잔디 식재 지반 조성에는 준설토 특성 상 암거 배수는 불필요하며, 토양 개량에는 한국 잔디 영양체가 식재에 산토 5-cm를 복토하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함께 축분 발효 퇴비와 복합비료 기비가 필요하며, 고밀도의 잔디가 요구되는 곳에서는 산토 20cm 복토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류 순호, 정 영상, 주 영규, 안 봉원, 강 병촤, 오 휘영 .1998.인천국제공항 식재 지반조성 학술용역연구 최종보고서. 서올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신공항건설공단:pp337
  2. 조 영길, 조 인상, 엄기태. 1992. 신간척지에서 염농도 저하방법이 토양 톡성과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함. 한토비지25(2): 127-132
  3. 조 인상, 조 영길. 엄기태. 1993. 신간척지에서 객토 및 모래피복과 작물 생육. 농업과학논문집 35(1):270-275
  4. 정 영상, 류 순호, 최 병권, 주 영규, 방 정호, 박 철수. 1998 인천 신공항 잔디밭 조성지 토양의 입단 분포 및 풍식 예측량 산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1(4):315-323
  5. 농업기술연구소.1988.토양화학분석법 :pp450
  6. Beard, J. B., R. L. Green. 1994. The role of turfgrasse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ir benefits to humans. J. Environ. quality. 23(3):452-460 https://doi.org/10.2134/jeq1994.00472425002300030007x
  7. Marcum. K. B., C. L. Murdoch. 1990. Growth responses. ion relations, and osmotic adaptations of eleven C4 turfgrass to salinity. Agron. J. 82:892-896 https://doi.org/10.2134/agronj1990.00021962008200050009x
  8. SAS institute. 1989. SAS/Graph User's guide, version 5 SAS:pp
  9. Tanji. K. K. 1990. Agricultural salin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ASCE Manuals and Repaorts on Engineering Practice No 71:pp619
  10. US Salinity Laboratory Staff. 1953.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s. USDA HB 60: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