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텍스트 추출

Search Result 97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ext Assocation Pattern Extraction using NFP-tree Algorithm (NFP-Algorithm 알고리즘을 기반한 텍스트 연관 패턴 추출)

  • Yu, Soo-Kung;Kim, Kio-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97-100
    • /
    • 2004
  • 인터넷상에서 존재하는 많은 데이터베이스들 중 현실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은 텍스트 데이타베이스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에서 비구조적인 특징을 가진 텍스트 데이타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분석하고 추출하여 연관된 패턴을 탐색하는 과정은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인터넷에서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를 가지고 기존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연관탐색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연관된 패턴을 찾아서 의미있는 정보를 얻고자 한다. 탐색하기 위해 먼저 전처리 작업으로 용어의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객체들은 대용량 데이터에서 시간적, 공간적면에서 효율적인 연관탐색 기법인 NFP-Algorithm(N-most interesting k-itemsets Using FP-tree and FP-Growth)을 적용시켜서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했다. 또한 Apriori계 Algorithm, FP-Algorithm, NFP-Algorithm을 비교하여 NFP-Algorithm이 시간적면에서 효율적임을 보여주었다.

  • PDF

The Slope Extraction and Compensation Based on Adaptive Edge Enhancement to Extract Scene Text Region (장면 텍스트 영역 추출을 위한 적응적 에지 강화 기반의 기울기 검출 및 보정)

  • Back, Jaegyung;Jang, Jaehyuk;Seo, Yeong Ge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4
    • /
    • pp.777-785
    • /
    • 2017
  • In the modern real world, we can extract and recognize some texts to get a lot of information from the scene containing them, so the techniques for extracting and recognizing text areas from a scene are constantly evolving. The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exture-based method, connected component method, and mixture of both. Texture-based method finds and extracts text based on the fact that text and others have different values such as image color and brightness. Connected component method is determined by using the geometrical properties after making similar pixels adjacent to each pixel to the connection el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daptively chang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ext region extraction, detect and correct the slope of the image using edge and image segmentation. The method only extracts the exact area containing the text by correcting the slope of the image, so that the extracting rate is 15% more accurate than MSER and 10% more accurate than EEMSER.

Text Region Extraction using Pattern Histogram of Character-Edge Map in Natural Images (문자-에지 맵의 패턴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자연이미지에서의 텍스트 영역 추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Lee, Woo-Ram;Kwon, Kyo-Hyu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11a
    • /
    • pp.220-224
    • /
    • 2006
  • The text to be included in the natural images has many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natural image. Therefore, if we can extract the text in natural images, It can be applied to many important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xt region extraction method using pattern histogram of character-edge map. We extract the edges with the Canny edge detector and creates 16 kind of edge map from an extracted edges. And then we make a character-edge map of 8 kinds that have a character feature with a combination of an edge map. We extract text region using 8 kinds of character-edge map and 16 kind of edge map. Verification of text candidate region uses analysis of a character-edge map pattern histogram and structural feature of text region. The method to propose experimented with various kind of the natural images. The proposed approach extracted text region from a natural images to have been composed of a complex background, various letters, various text colors effectively.

  • PDF

HTML Text Extraction Using Frequency Analysis (빈도 분석을 이용한 HTML 텍스트 추출)

  • Kim, Jin-Hwan;Kim, Eun-G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9
    • /
    • pp.1135-1143
    • /
    • 2021
  • Recently, text collection using a web crawler for big data analysis has been frequently performed. However, in order to collect only the necessary text from a web page that is complexly composed of numerous tags and texts, there is a cumbersome requirement to specify HTML tags and style attributes that contain the text required for big data analysis in the web crawl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extracting text using the frequency of text appearing in web pages without specifying HTML tags and style attributes. In the proposed method, the text was extracted from the DOM tree of all collected web pag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text was analyzed, and the main text was extracted by excluding the text with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Through this stud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Scene Text Extraction in Natural Images using Hierarchical Feature Combination and Verification (계층적 특징 결합 및 검증을 이용한 자연이미지에서의 장면 텍스트 추출)

  • 최영우;김길천;송영자;배경숙;조연희;노명철;이성환;변혜란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4
    • /
    • pp.420-438
    • /
    • 2004
  • Artificially or naturally contained texts in the natural images have significant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cenes. If we develop a method that can extract and recognize those texts in real-time, the method can be applied to many important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ethod that extracts the text areas in the natural images using the low-level image features of color continuity. gray-level variation and color valiance and that verifies the extracted candidate regions by using the high-level text feature such as stroke. And the two level features are combined hierarchically. The color continuity is used since most of the characters in the same text lesion have the same color, and the gray-level variation is used since the text strokes are distinctive in their gray-values to the background. Also, the color variance is used since the text strokes are distinctive in their gray-values to the background, and this value is more sensitive than the gray-level variations. The text level stroke features are extracted using a multi-resolution wavelet transforms on the local image areas and the feature vectors are input to a SVM(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for the verification. We have tested the proposed method using various kinds of the natural images and have confirmed that the extraction rates are very high even in complex background images.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for an Efficient Document Automatic Classification (효율적인 문서 자동 분류를 위한 대표 색인어 추출 기법)

  • 김지숙;문현정;김영지;우용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295-302
    • /
    • 2001
  • 최근 대량의 텍스트 문서로부터 의미 있는 패턴이나 연관 규칙을 발견하기 위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비정형 텍스트 문서로부터 추출된 용어의 수는 불규칙적이고 일반적인 용어가 많이 추출되는 관계로 기존의 연관 규칙 탐사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무의미한 연관 규칙이 대량으로 생성되어 지식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연관 규칙 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비감독학습 기법에 의해 대량의 문서를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대표 색인어 추출 기법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분야의 논문을 대상으로 각 분야별 대표 색인어를 추출하여 유사한 문서끼리 분류하는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보였다.

  • PDF

Application of the HTML Image Tag on Triggers for Describing Rules for Information Extraction (정보 추출을 위한 트리거에서 HTML이미지 태그 정보의 이용)

  • Kim, Yeon-Jung;Park, Jea-Hyun;Choi, Jo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721-723
    • /
    • 2005
  • 웹 문서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 추출이나 웹 마이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특히, 웹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패턴을 이용해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구조적 패턴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텍스트에 의존한 추출기를 생성할 수 밖에 없는데 웹 문서에서 시각적 요소가 강해지면서 트리거가 단순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로 처리되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트리거를 단순 텍스트로 보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많았고 이러한 접근 방법은 트리거가 이미지인 경우에 정확한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트리거가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인 경우에도 필요한 정보를 잘 추출해 내기 위한 방법에 관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Learning-based Automatic Keyphrase Indexing from Korean Scientific LIS Articles (자동색인을 위한 학습기반 주요 단어(핵심어) 추출에 관한 연구)

  • Kim, Hea-Jin;Jeoung, Yo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5-18
    • /
    • 2017
  •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데이터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중요한 단어나 단어구를 선별하여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법은 자료의 효과적인 관리와 정보검색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핵심적인 기술임에도, 한글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한글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핵심어 또는 핵심어구 추출 연구들은 단어의 빈도나 동시출현 빈도, 이를 변형한 단어 가중치 등에 근거하여 핵심어(구)를 식별하는 수준에 그쳐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글 학술논문의 초록으로부터 추출한 다양한 자질 요소들을 학습하여 핵심어(구)를 추출하는 모델을 제안하였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Text line extraction based on filtering and peak detection (필터링 및 피크검출을 이용한 텍스트 추출)

  • Jin, Bora;Cho, Nam-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41-4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문서 영상 처리의 중요한 전처리 과정인 텍스트 라인 추출을 위하여 가우시안 필터링 및 피크 검출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문서 영상 내의 글자 영역의 픽셀 강도와 텍스트 라인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강도의 차이로 인해 문서 영상의 각 열마다 높은 피크와 낮은 피크가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것에 기반으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필터 스케일 추정, 필터량 및 피크 검출, 라인 성분 그룹화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필터 스케일 추정 단계에서는 여러 초기 값으로 필터링하여 피크 차이 간의 히스토그램을 만듦으로써 글자 크기를 대략적으로 예축하며, 필터링 및 피크 검출 단계에서 앞서 예측된 스케일의 가우시안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한 후, 각각의 열마다 피크를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라인 성분 그룹화를 통하여 검출된 피크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텍스트 라인을 구성하는 성분들로 그룹화시켜 텍스트 라인을 추출한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이진화 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균일하지 못한 조명환경 등으로 이진화 성능이 좋지 못할 경우에도 텍스트 라인을 추출할 수 있으며, 텍스트 라인 간격이 인정하지 않고 휘어진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PDF

Text Detection and Binarization using Color Variance and an Improved K-means Color Clustering in Camera-captured Images (카메라 획득 영상에서의 색 분산 및 개선된 K-means 색 병합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 추출 및 이진화)

  • Song Young-Ja;Choi Yeong-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3 s.106
    • /
    • pp.205-214
    • /
    • 2006
  • Texts in images have significant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cenes, and if we can automatically detect and recognize those texts in real-time, it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ext detection method that can find texts from the various camera-captured images and propose a text segmentation method from the detected text regions. The detection method proposes color variance as a detection feature in RGB color space, and the segmentation method suggests an improved K-means color clustering in RGB color space. We have tested the proposed methods using various kinds of document style and natural scene images captured by digital cameras and mobile-phone camera, and we also tested the method with a portion of ICDAR[1] contest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