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테스트 시나리오

Search Result 22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ttacker Tracing Simulation in the Virtual Network Environment (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공격자 추적 시뮬레이션)

  • 김상영;최진우;우종우;황선태;박재우;남건우;최대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394-396
    • /
    • 2002
  • 최근 인가되지 않은 컴퓨터에 대한 접근이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점차 파괴적인 상황으로까지 악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침입 행위에 대해 침입자들을 추적하여 경고를 줄 수 있는 보다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문제에 대한 많은 해결책이 제시 되었으나 완벽한 대안이 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오히려 대부분의 경우 숙련된 시스템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다. 따라서 침입의 경우에 대비해 어떠한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 관리자들을 훈련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관리자들을 훈련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기반의 공격자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가상의 지역 네트워크 환경에서 시스템의 간섭 없이 약속된 시나리오에 의한 공격 경로를 분석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격 형태를 연습하고 배우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두 가지 주요 문제에 대해 학생들을 훈련시킨다. 첫째, 공격 형태를 발견하는 것이며, 둘째, 다양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격이 이루어진 흔적을 발견해 내는 것이다. 시스템의 테스트 영역은 LINUX 기반의 환경으로 그 범위는 다양한 형태들의 로그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제한 한다.

  • PDF

Comparing Methods to Select Functional Form in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양분선택형 비시장가치평가법에 있어서 함수모형선택을 위한 제 방법론 비교)

  • Lee, Hee-Ch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0 no.1
    • /
    • pp.25-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양분선택질문형 비시장가치평가법을 통한 편익추정에 사용되는 제 함수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론들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여가수렵의 환경적 요인의 변화에 따른 편익추정에 사용된 함수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변이계수접근법, 함수설정 오류 테스트, 그리고 비모수접근법 등이 각 함수에 적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편익추정에 이용된 세 가지 로짓함수(선형, 로그, 쉐어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주어진 함수형태에 적용된 세 방법론간에 밀접한 일치성을 보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호보완적이라는 함축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은 로짓함수로부터 추정된 값들에 Krinsky-Robb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구축한 신뢰구간의 함수간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주어진 환경 시나리오에 대해 각 함수로부터 도출된 평균 추정치의 신뢰구간이 모두 충분히 중복되었기 때문에 편익추정과 관련하여 함수형태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음이 입증된 것이다.

  • PDF

Design of personal possessions checking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RFID 기술 기반 소지품 추적 시스템의 설계)

  • Kim, Kwang-Seong;Cho, Won-Sik;Hwang, Doo-Sung;Kim, Kyo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201-20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RFID 인식기술을 이용한 소지품 추적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실험 환경은 가로 1.19m, 세로 0.9m의 아파트 모형을 제작하였다. 하드웨어 구성은 트랜스포더, 리더, 안테나이며, 사용 주파수는 13.56MHz대역이다. 안테나 간의 간섭은 실딩으로 처리 하여 태그 인식률을 높이고 상호 간섭은 최소화 시켰다. 소지품 정보의 처리는 XML 데이터로 표현하였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설정된 약 5개의 설정한 시나리오의 약 $20{\sim}30$여개의 소지품에 대해 유용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개인 일정정보와 연결되면 높은 응용성 및 효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Data sharing service over KREONET utilizing object storage service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를 활용한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서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방안)

  • Hong, Wontaek;Kwon, Yoonjoo;Chung,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107-109
    • /
    • 2016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은 기존에 어려웠던 응용연구 분야의 실험 환경 구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협업연구 패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연구망 기반의 협업연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공유 및 전송에 관한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서비스 모델은 연구망의 특성을 반영하고, 접근 패턴이 다른 사용자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토대로, 최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활발히 이용되는 서비스 구성 요소들을 분류 및 선택하여 실험 테스트베드를 구성하고, 활용 시나리오별 데이터 전송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안 서비스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 of Node Mobility Using Mininet and ONOS Controller (Mininet과 ONOS 컨트롤러를 이용한 단말 이동성 구현 및 실험)

  • Lim, Hyun-Kyo;Kim, Kyoung-Han;Heo, Joo-Seong;Han, Yo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209-210
    • /
    • 2016
  • 최근 SDN (Software-Defined Network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 학교, 연구소에서 쉽고 간편하게 가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SDN 기반 네트워크를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Mininet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여러 SDN 컨트롤러 중에서 ONOS 컨트롤러는 OpenSource로 공개되어 GUI를 이용해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토폴로지와 Flow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성숙된 컨트롤러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ininet과 ONOS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SDN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노드가 각 스위치를 이동하여 다닐 때에도 통신이 올바르게 유지되도록 컨트롤하는 시나리오를 구현하고 그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Network Simulator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Survey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구조 및 구현에 관한 분석)

  • Jung, Dong-Young;Lee, Byung-Jun;Jung, Young-Gyo;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73-74
    • /
    • 2016
  • 네트워크 연구 분야에서 실시간 시나리오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은 제약 사항이 많다. 단 하나의 테스트 베드도 비용과 시간을 굉장히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실제로 네트워크 전체를 구성하는 것 또한 쉽지 않으며 비용소모가 크다. 시뮬레이터는 이러한 실제 비용과 시간의 제약사항을 완화하여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 할지 알아보는데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몇 가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장점과 단점을 도출해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disaster response using life protection systems (인명지킴이 시스템 기반 사회재난 대응 실증 연구 - 기술과제에 대한 지자체에서의 실증 및 대응시스템 연계구상 -)

  • Yun, Byung-Chul;Lee, Sang-Choon;Choi, Han-Yeong;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85-88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사회재난의 선제예방 및 효과적 대응을 위해 개발되는 인명지킴이 시스템과 관련하여 인명지킴이 시스템 기반 사회재난 대응 실증방안을 제시한다. 실증 추진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시나리오 도출,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시스템 연계, 실증 및 확산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 수행내용을 다룬다. 또한, 김포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안전도시와 연계하여 실증사업 수행 시 주요 고려사항 및 수행 내용을 제시한다.

  • PDF

EFSM based Real-Time Detection GUI Bad Symptom on Mobile Application (EFSM 기반의 사용성 저해 요소 실시간 검출 기법)

  • Ma, Kyeong-Wook;Park, S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015-1018
    • /
    • 2015
  • 모바일 디바이스가 기존이 PC 시장규모를 압도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많은 모바일 앱이 출시되고 있다. 수많은 모바일 앱 중에서 사용자들은 배우기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하기에 용이한 모바일 앱을 선택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모바일 앱 사용성의 중요성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앱에서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현 GUI 사용성 테스트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사용자들이 앱을 조작하는 터치 입력 데이터를 기반하여 EFSM(Extended Finite State Machine)에 인자를 추가한 형태로 모델링 후 개발자의 예상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GUI 사용성 저해요소를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반-자동화된 방법을 통해 모바일 앱 상에서의 사용성을 측정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을 구현한 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고 사용성 저해 요소 검출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Personalized Walking Route App with Schedule and Calorie (스케쥴과 칼로리를 고려한 도보경로 검색 앱 개발)

  • Lee, Ye-Eun;Jeon, Hee-Soo;Kim, Ki-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20-123
    • /
    • 2020
  •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경로 검색 앱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 또는 최소 시간을 기준으로 도보 경로를 추천하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일정 및 본인의 섭취한 칼로리를 기준으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다수의 경로를 추천하는 앱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앱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당 기능을 직접 구현하고 다양한 테스트시나리오들을 이용하였다.

Implementation of Real-Time Channel Module for Applying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s (무선 통신 환경 적용이 가능한 실시간 채널 모듈 구현)

  • Park, Chan Ju;Kim, Woojoong;Jang, Byung-Jun;Yoon, Hyungoo;Yoon, Young Jo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7 no.5
    • /
    • pp.438-444
    • /
    • 2016
  • In this paper, A real-time channel module which can apply the wireless propagation channel was developed using USRP and Lab-VIEW. When the proposed channel module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implemented HW(hardware) simulators for cognitive radio and frequency interference analysis and so on, i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about wireless propagation environments. In addition, the proposed module overcomes the limit of existing HW simulator that data transfer rate is limitative in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design of the inner parts. Along with this, it is possible to apply channel parameters necessary to estimate the easier communication performance. Also,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flexibly applied in implement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upcoming new scenarios. The proposed module can estimat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via constellation and BER using the implemented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