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터널발파설계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Automated Pattern Generation Method for Tunnel Blasting (터널발파설계 자동화를 위한 발파패턴 설계식 개발)

  • Choi Yong-Ku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3 no.4
    • /
    • pp.19-29
    • /
    • 2005
  • Blasting design methods applied in Korea were originally made for foreign rock conditions and blasting environments. Therefore, it has not been fully fitted to the Korean rock renditions. Since 1998, several studies for the automated pattern design of tunnel blasting have been carried out. As the result, a new blasting design method which can settle the problems was developed. Through it is more complex than prior method, it call provide a variety of advantages for us. Through the method, it is possible to vary charge weight according to the changing advance. It ran also be applied to the various design for contour holes. In this study, the newly developed method is introduced.

A study on Tunnel Design Application of Borehole Blasting Data (시추공 발파 자료의 터널설계 적응성에 관한 연구)

  • 임성식;양형식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1 no.2
    • /
    • pp.15-19
    • /
    • 2003
  • 터널 및 지하공동 설계에 이용된 16개 지역 23개 구간의 578개의 시추공 진동 data와 일반터널 4개 지역으로부터 221개 data를 이용하여 시추공발파의 진동전달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추공발파와 일반발파의 진동속도 감쇠 경향을 비교분석한 결과 시추공발파의 입지상수들이 크게 나타났다. 환산거리 증가에 따른 두 진동식의 최대 허용장약량은 시추공발파가 적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추공발파 자료를 터널발파 설계에 사용할 수는 있으나 조심스러운 통계적 처리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Program for Tunnel Blasting (터널발파 패턴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광염;최영민;이정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9.03a
    • /
    • pp.51-54
    • /
    • 1999
  • 현재 국내에서 시공되고 있는 터널 발파 패턴의 경우 현장암반조건과 발파조건 등 발파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여건을 정량적으로 고려한 컴퓨터에 의한 자동설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경험적이고 정성적인 방법에 의하여 터널 발파 설계가 이루어짐으로써 발파설계와 시공이 불일치하고 여굴 및 주변 손상권의 확대로 인한 터널 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와서 터널 발파 공사가 인가 근처에서 이루어 질 경우 발파진동에 의한 민원을 야기하고 있어 이를 고려한 안전 발파 설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A fundamental study on the automation of tunnel blasting design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머신러닝을 이용한 터널발파설계 자동화를 위한 기초연구)

  • Kim, Yangkyun;Lee, Je-Kyum;Lee, Sean Seungw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4 no.5
    • /
    • pp.431-449
    • /
    • 2022
  • As many tunnels generally have been constructed, various experiences and techniques have been accumulated for tunnel design as well as tunnel construction. Hence, there are not a few cases that, for some usual tunnel design works, it is sufficient to perform the design by only modifying or supplementing previous similar design cases unless a tunnel has a unique structure or in geological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a tunnel blast design, it is reasonable to refer to previous similar design cases because the blast design in the stage of design is a preliminary design, considering that it is general to perform additional blast design through test blasts prior to the start of tunnel excavation. Meanwhile, entering the industry 4.0 era, artificial intelligence (AI) of which availability is surging across whole industry sector is broadly utilized to tunnel and blasting. For a drill and blast tunnel, AI is mainly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blast vibration and rock mass classification, etc. however, there are few cases where it is applied to blast pattern design. Thus, this study attempts to automate tunnel blast design by means of machine learning, a branch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is, the data related to a blast design was collected from 25 tunnel design reports for learning as well as 2 additional reports for the test, and from which 4 design parameters, i.e., rock mass class, road type and cross sectional area of upper section as well as bench section as input data as well as16 design elements, i.e., blast cut type, specific charge, the number of drill holes, and spacing and burden for each blast hole group, etc. as output. Based on this design data, three machine learning models, i.e., XGBoost, ANN, SVM, were tested and XGBoost was chosen as the best model and the results show a generally similar trend to an actual design when assumed design parameters were input. It is not enough yet to perform the whole blast design us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owever, it is planned that additional studies will be carried out to make it possible to put it to practical use after collecting more sufficient blast design data and supplementing detailed machine learning processes.

Tunnel Blasting Design with Equations Obtained from Borehole and Crater Blasting (시추공 및 누두공 발파자료의 터널설계 적용)

  • 양형식;임성식;김원범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5
    • /
    • pp.327-333
    • /
    • 2003
  •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propagation of borehole blasting were analyzed with 578 borehole vibration data obtained from 23 sites which were used in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design, and 221 tunnel vibration data fron 4 sites of tunnel under construction. Analysis results on the damping of vibration velocity show that site factors in borehole blast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tunnel blasting. And the critical charge calculated from regression equations at large scaled distance was lower in borehole blasting. Dominant frequency was in the range of 30∼60Hz for the borehole blasting and 60∼90Hz for the tunnel blasting. As a conclusion, the borehole blasting data should not be used on the tunnel blasting design without careful statistical analysis.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Detonator System in Tunnel Blasting (전자기폭시스템을 활용한 터널 시공사례)

  • 이상헌;윤지선;조영곤;안봉도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2 no.1
    • /
    • pp.23-32
    • /
    • 2004
  • 터널 발파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암반조건에 적합한 합리적인 설계와 정밀한 천공, 정확한 기폭초시가 기본요소로서 이는 현재 국내 터널 설계.시공 기술 및 기자재의 발달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터널발파에서 정확한 기폭초시 부여는 굴진율 및 버럭 파쇄율, 굴착예정선 미려도, 잔여 암반 손상도 등의 시공성에서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진동 발생율을 좌우하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폭요소는 최초 도화선을 활용한 공업뇌관에서 전기뇌관, 비전기식뇌관의 순으로 기폭안전성과 정밀성 면에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여 왔으며 특히, 90년대 초에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전자뇌관은 기폭방식에 일대혁신을 이루었다. 전자기폭 시스템은 기존뇌관의 초시를 결정하는 화약성분의 지연요소 대신에 IC board(전자회로)에 의한 Digital timer로 신호를 발생하여 초시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전자기폭시스템을 활용하여 2003년 9원 23일에서 동년 11월 2일까지 강원도 양구 지역의 $\bigcirc\bigcirc$터널에 전자뇌관을 이용한 시험발파를 실시하였고, 발파에 의한 진동 등을 조사하여 그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뇌관의 특성과 장점을 최대한 샅리기 위하여 각공을 발파하는 방식, 즉 1지발에 1공을 발파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일반 뇌관과 전자뇌관으로 설계를 하여 각각의 발파효율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발파진동의 경우 기존뇌관을 이용하여 1공씩을 1지발로 발파를 한 경우에는 18~56%의 진동저감 효과가 있었고. 본선 설계에 의해 진행된 발파에 비하여는 최대 70% 이상의 진동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unnel Blast Design in Consideration of Joint Properties (절리특성을 고려한 터널 발파 설계)

  • 김치환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1 no.2
    • /
    • pp.182-189
    • /
    • 2001
  • Rockmass properties have great influence on blasting performance so that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o analyze rockmass properties and to perform blast design based on them. Up to the present, however blast design is performed either considering only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intact rock or using RMR classification as a blast ability classification scheme. In this paper Ashby's approach is adopted to evaluate blast index. In addition. rockmass classification for the blast design based on joint survey results and pattern design procedure are added to Ashby's original approach. With this extended approach, blastability can be classified considering joint properties and objectiveness of evaluated blast index can be confirmed. This approach is anticipated to enhance the tunnel blast design by considering joint properties and classifying the rockmass for blast design.

  • PDF

절리특성을 고려한 터널 발파 설계

  • 임경호;김치환;남기천;박성록;이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85-94
    • /
    • 2001
  • 터널 발파시 발파효율은 암반의 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암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발파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에서의 발파설계는 무결암의 단축압축강도만으로 발파암을 분류한 후 각 발파암의 발파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공학적 암반분류법의 하나인 RMR 분류를 이용하여 발파암을 분류하되 객관적 근거가 미약한 경험적인 발파계수를 산정 하는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특성을 고려한 발파설계를 위하여 Ashby의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절리조사 결과를 통한 발파암 분류방법과 발파패턴설계를 추가하여 발파설계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Ashby의 접근법을 응용하였다. 따라서 절리 분포 특성을 고려한 발파암 분류가 가능하고, 절리암반 특성을 고려한 발파설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Vibration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unnel Blasting (터널발파의 진동 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영춘;양형식;하태욱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1
    • /
    • pp.41-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터널발파 진동의 전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네 곳의 도로터널의 '터널내부','터널외부','터널직상부 진행방향', '터널직상부' 진행직각방향'의 네 방향으로 발파진동을 계측하였다. 지발당장약량을 해당 지발당장약량과 최대 지발당장약량으로 구분하였으며, 지반의 진동 전달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승근 환산거리와 입방근 환산거리로 회귀분석 하였다. 또한 PPV, 거리별 우세진동수를 구하였다. 터널상부 진행방향의 진동 수준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진동의 감쇠도 크게 이루어졌다. 터널내부는 비교적 고주파성분이 우세하였으나 나머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최대 지발당장약량을 적용한 입방근 환산거리의 경우가 거리별 감쇠특성 및 상관성이 다른 비교대상에 비하여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최대 지발당장약량을 적용한 입방근 환산거리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uitable Specific Charge in Tunnel Blasting Design (터널발파설계에서 적정장약량산정에 관한 연구)

  • Jeong, Dong-Ho;Kim, Seon-Hong;Bae, Hyo-Jin;Seok, Jin-Ho;Choo, Yong-Beom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3 no.1
    • /
    • pp.21-26
    • /
    • 2001
  • Till now a lot of studies has been perform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unnel blasting.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uncertainties of input parameter to determine the specific char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ock types and the charges of 17 road tunnel sit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an empirical formula depending on rock type and charge was developed. Through this formula rational tunnel blasting will be designed by quantitative method rather than by assumption.

  • PDF